(2012.4.7.토)
예언의 말씀을
지키는 자는 복이 있으리라.
(계22:7)
본서의 저자는 ?
본서의 저자는 네 번에 걸쳐 자신이 요한이라고 밝힙니다(1:1, 4, 9, 22:8). 일찍이 2세기의 순교자 저스틴 이후로 이 요한은 사도 요한 즉 세베대의 아들(마10:2)이라고 여졌습니다. 본서의 저자는 ➀성경을 잘 아는 유대인이요 ➁소아시아 일곱 교회에 잘 알려진 지도자요 ➂기독교 신앙이 세상에서 역사하고 있는 마귀의 세력을 곧 물리치고 승리할 것을 굳게 확신하는 깊은 신앙의 인물임이 드러납니다.
본서의 기록연대는 ?
본서는 그리스도인들이 박해를 받기 시작하던 때에 써졌습니다. 가장 자주 언급되는 두 시기는 ➀네로의 통치 후반(주후54~68)과 ➁도미티아누스의 통치 후반(81~96)으로 대부분의 해석자들은 기록 연대를 95년경을 잡습니다.
본서의 기록계기는 ?
당시 로마의 통치자들은 황제 숭배를 강요하기 시작했습니다. 따라서 “가이사”가 아닌 “그리스도”가 “주”라고 주장하는 그리스도인들에 대한 적대감이 고조되었습니다. ➀서머나 교회는 박해를 받게 될 것이라는 경고를 받았고(2:10), ➁빌라델비아 교회는 세상을 시험할 때가 온다는 말을 들었습니다(3:10). ➂교회 안에는 타협론자들도 있었지만 경건하고 성실한 믿음의 사람들을 위해 밧모 섬의 귀양을 택했습니다.
본서의 기록 목적은 ?
요한은 그리스도인들이 황제 숭배의 요구에 참된 신앙으로 굳건히 맞서도록 격려하기 위하여 본서를 기록했습니다. 그는 수신자들에게 하나님과 사탄의 대결이 임박했다고 말합니다. 사탄은 신자들을 더욱더 박해할 것이지만 신자들은 죽음도 불사하고 굳게 서야 합니다.
신자들은 어떤 영적 해악 가운데서도 보장을 받고 그리스도께서 오실 때 곧 회복될 것이며, 그때 악인들은 영원히 멸망당하고 하나님의 백성들은 영원한 영광과 복 가운데로 들어갈 것을 굳게 확인시키기 위해서 본서를 기록했습니다.
본서의 문학 형식은 ?
본서는 묵시 문학이며 고도로 상징적인 글입니다. 환상들이 독자들에게는 기괴하게 보일 수 있지만 다행히 본서는 그 자체의 해석을 위한 실마리를 많이 제공하고 있습니다. 별은 주의 사자(혹은 천사), 촛대는 교회(1:20), 큰 음녀는 바벨론 또는 로마(17:5, 18), 하늘의 예루살렘은 어린양의 아내(21:9~10)로 자체 해석하고 있습니다.
본서의 특징은 ?
7이라는 숫자를 자주 사용합니다(52). ➀7복(1:3), ➁일곱 교회(1:4, 11), ➂일곱영(1:4), ➃일곱 금 촛대(1:12), ➄일곱별(1:16), ➅일곱 인(5:1), ➆일곱 뿔과 일곱 눈(5:6), ➇일곱 나팔(8:2), ➈일곱 우레(10:3), ➉일곱 이적(12:1, 3, 13:13~14, 15:1, 16:14, 19:20), ⑪일곱 왕관(13:3), ⑫일곱 재앙(15:6), ⑬일곱 금 대접(15:7), ⑭일곱 산(17:9), ⑮일곱 왕(17:10)이 있습니다. 상징적으로 7이라는 숫자는 완전을 나타냅니다.
본서의 해석의 원리 ?
➊과거주의자들의 해석입니다. 요한 계시록을 오로지 1세기 상황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그 사건 대부분이 이미 일어난 사건들이라고 주장합니다.
➋역사주의 자들의 해석입니다. 요한 계시록이 밧모 섬에서 역사의 종국까지 긴 사건들의 연속을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봅니다.
➌미래주의 자들의 해석입니다. 요한 계시록의 내용이 주로 마지막 시대에 일어날 것으로 봅니다.
➍이상주의자들의 해석입니다. 선이 악에게 승리하는 것과 같이 시간을 초월한 진리를 상징적으로 묘사한 것으로 봅니다.
요한 계시록의 기본 진리들은 어떠한 관점으로 해석한다고 하여 달라지지 않습니다. 요한 계시록의 메시지를 파악하기 위해 적절하게 사용해야 할 것입니다.
본서의 개요는 ?
➀서론(1:1-8). ➁일곱 교회 가운데 계신예수님(1:9-20). ➂일곱 교회에 보낸 편지 ➃보좌와 두루마리와 어린 양(4-5장). ➄일곱 인(6-8장). ➅일곱 나팔(8:2-11:19). ➆등장인물과 사건들(12-14장). ➇일곱 대접(15-16장). ➈바벨론 큰 음녀(17:1-19:5). ➉어린 양의 혼인 잔치(19:6-10). ⑪그리스도의 재림(19:11-21). ⑫천년 왕국(20:1-6). ⑬사탄의 운명(20:7-10). ⑭흰 보좌 앞의 심판(20:11-15). ⑮새하늘과 새땅과 새 예루살렘(21:1-22:5). ⑯결론과 축복(22:6-21)(이상은 NIV스터디 바이블, 서론).
본서의 핵심 구절은 “보라 내가 속히 오리니 이 두루마리의 예언의 말씀을 지키는 자는 복이 있으리라 하더라”(22:7)는 말씀입니다.
요한 계시록에
나타난 7대 복을 누리시길 주님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
➊예언의 말씀을 읽는 자와 듣는 자가 복이 있으리라. “이 예언의 말씀을 읽는 자와 듣는 자와 그 가운데에 기록한 것을 지키는 자는 복이 있나니 때가 가까움이라”(1:3)고 말씀하셨습니다.
➋주 안에서 죽은 자들이 복이 있느니라. “또 내가 들으니 하늘에서 음성이 나서 이르되 기록하라 지금 이후로 주 안에서 죽는 자들은 복이 있도다 하시매 성령이 이르시되 그러하다 그들이 수고를 그치고 쉬리니 이는 그들의 행한 일이 따름이라 하시더라”(14:13)고 말씀하셨습니다.
➌깨어 자기 옷을 지키는 자가 복이 있느니라. “보라 내가 도둑 같이 오리니 누구든지 깨어 자기 옷을 지켜 벌거벗고 다니지 아니하며 자기의 부끄러움을 보이지 아니하는 자는 복이 있도다”(16:15)라고 말씀하셨습니다.
➍어린 양의 혼인 잔치에 청함을 받은 자들은 복이 있느니라. “천사가 내게 말하기를 기록하라 어린 양의 혼인 잔치에 청함을 받은 자들은 복이 있도다 하고 또 내게 말하되 이것은 하나님의 참되신 말씀이라”(19:9)고 말씀하셨습니다.
➎첫째 부활에 참여하는 자들은 복이 있느니라. “이 첫째 부활에 참여하는 자들은 복이 있고 거룩하도다 둘째 사망이 그들을 다스리는 권세가 없고 도리어 그들이 하나님과 그리스도의 제사장이 되어 천 년 동안 그리스도와 더불어 왕 노릇 하리라”(20:6)고 말씀하셨습니다.
➏예언의 말씀을 지키는 자가 복이 있느니라. “보라 내가 속히 오리니 이 두루마리의 예언의 말씀을 지키는 자는 복이 있으리라 하더라”(22:7)고 말씀하셨습니다.
➐두루마기를 빠는 자들은 복이 있느니라. “자기 두루마기를 빠는 자들은 복이 있으니 이는 그들이 생명나무에 나아가며 문들을 통하여 성에 들어갈 권세를 받으려 함이로다”(22:14)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끝맺는 말씀입니다.
우리 주님은
“보라 내가 속히 오리니
내가 줄 상이 내게 있어 각 사람에게
그가 행한 대로 갚아 주리라 나는 알파와 오메가요
처음과 마지막이요 시작과 마침이라”(22:12-13)는 말씀을 항상
가슴에 안고 살아가야 합니다.
중국 황산의 설경 !
첫댓글 목사님
정말 오랜만에 들어왔습니다. 어버이 처럼 여기면서도 찾아뵙지 못해 죄송합니다.
늘 평안하시길 기도드립니다.
권사님 정말 오랫만이네요.
좋은 소식있으면 전해 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