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학적으로 볼 때 텍스트에 접근하는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Bottom Up Approach와 Top Down Approach가 그것인데요. 영어교육과 학습에 있어 이 두 접근법의 의미와 차이점, 그리고 수업에서의 실제 적용사례 등을 살펴보겠습니다.
1. Bottom Up Approach (상향식 접근법)
용어 그대로 아래에서부터 위로 접근해가는 방식입니다. 대표적인 경우가 바로 Phonics 학습입니다. 알파벳 각각의 모양과 소리를 먼저 익힌 후에 그것을 조합하여 전체를 이해하도록 합니다.
[Strength]
Phonics 학습에서는 Bottom Up Approach가 유리할 수 있습니다. 알파벳과 소리의 관계를 우선 터득함으로써 새로운 단어를 접하더라도 배운 규칙에 따라 스스로 읽을 수 있게 됩니다.
[Weakness]
하지만 이 Phonics 학습을 기계적으로 할 경우에는, 의미를 파악하기보다는 글자 자체를 해독하는 데에만 집중하는 현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배운 규칙이 적용되지 않는 예외의 경우에 어려움을 느끼게 됩니다. 즉, 1차적으로 단어 하나하나의 의미나 문법적 특성에 우선 집중하기 때문에, 글의 전체적인 의미와 맥락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는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Example 1]
Have Ss read aloud (큰 소리로 읽기)
: 학생들로 하여금 텍스트를 큰 소리로 읽게 하는 과제는 아이들이 글의 의미 보다는, 단어 각각의 발음이나 그 형태에 더 집중하게 만듭니다.
[Example 2]
Have Ss listen for exact phrases (듣고 특정 구문 찾기)
: 학생들로 하여금 듣기를 통해 문장의 빈칸을 채우게 하거나, 정확한 구문이나 단어를 찾아내도록 하는 과제 역시 전형적인 Bottom Up Approach에 해당합니다.
2. Top Down Approach (하향식 접근법)
위에서부터 아래로 접근해가는 방식입니다. 언어를 이해할 때 먼저 학습자는 자신이 이미 가지고 있는 배경지식 등을 동원하여 글의 종류나 상황, 의미를 추측합니다.
[Strength]
단어나 그 소리 자체에 의존하기 보다는 화자(Listening의 경우)의 표정, 억양, 목소리 톤 등 가능한 모든 것에서 힌트를 얻어 의미를 미리 예측합니다. 스스로 생각하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자신의 예측이 맞고 틀린 지를 확인합니다.
[Weakness]
의미만 너무 강조하는 접근법이다 보니 앞뒤 맥락 없이 단어만 주어진 경우에는 그 뜻을 쉽게 파악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스스로 생각하는 과정을 요하기 때문에Novice 단계의 학습자들에게는 상당히 버거울 수 있습니다.
[Example 1]
Have Ss predict what a newspaper article might be about from the headline
(헤드라인만으로 뉴스 기사 예측하기)
: 학생들로 하여금 뉴스 기사의 헤드라인이나 첫 문장만을 읽게 한 후, 전체 기사 내용을 추측해보라고 하는 과제는 Top Down Approach의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Example 2]
Have Ss listen for gist (듣고 주제 찾기)
: 학생들로 하여금 어떤 내용을 들은 후, 그 주제를 찾도록 하는 것은 전체적인 내용 이해
를 우선적으로 요하는 것이기 때문에 Top Down Approach의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Bottom Up Approach와 Top Down Approach는 서로 다른 장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나온 것이 바로, 이 두 접근법을 적절히 절충한 Interactive Approach 입니다.
3. Interactive Approach(통합적 접근법)
위 두 접근법의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보완해 생긴 접근법으로, Bottom Up과 Top Down Approach를 계속적으로 함께 사용하면서 언어를 이해하는 접근법입니다.
[Strength]
정확한 철자와 발음 학습에 효과적인 동시에, 스스로 글의 내용을 유추해내는 훈련을 가능하게 합니다. Critical reading과 Independent thinking 연습에 효과적이며, 전반적인 Reading comprehension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Example 1: Pre-reading]
Have Ss try to relate various schemata to the text.
: 자신의 언어적, 문법적 지식 혹은 기타 배경 지식을 활용하여 내용을 유추하고 예측하는 연습을 하도록 합니다.
[Example 2: While-reading]
Have Ss read text actively using reading strategies such as predicting or inferring.
: 학생들로 하여금 글을 읽으면서 동시에 주제나 상세 정보를 찾거나 문맥을 통해 작가의 의도를 유추해보도록 합니다.
[Example 3: Post-reading]
Have Ss ask and answer questions.
: 읽기의 마지막 단계에서는 학생들이 내용을 얼마나 잘 이해하고 소화했는지 질문하고 그에 답하는 시간을 갖도록 합니다.
[용어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