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현공풍수(玄空風水)의 역사 (1) 한(漢)나라 시대 황석공(黃石公): 청낭경(靑囊經) 上 中 下권 (2) 진(晉)나라 시대 1) 곽박(郭撲) 276-324 자(字)는 곽경순(郭景純) - <장경(葬經)>=<금낭경(錦囊經)> -->청대의 건륭제 때에 제작된 사고전서(四庫全書)에 채택된 명저.
(3) 당(唐)나라 시대 1) 양균송(楊筠松) 834-900(?) 다른 이름은 익(益), 자는 숙무(叔茂), 세칭 구빈(救貧)선생 <감룡경> <의룡경> <장법도장> <청낭오어> <감룡십문> <이십사시장법> <천옥경> <천옥경외편> <도천보조경> ---> 이중 사고전서에 기록된 책은 감룡경, 청낭오어, 천옥경이다. 2) 증구기(曾求己) 아호는 공안(公安) <청낭서> ---> 사고전서 3) 증문천(曾文천) 증공안의 아들, 양균송 선생의 제자 <청낭오지> <심룡기> <음양문답> 증문천의 제자가 <마의상서>의 저자로 잘 알려진 진희이(陳希夷)이고 그의 제자가 오극성(吳克誠)인데, 오극성의 아들이 오경란(吳景鸞) 선생이다. 4) 일행(一行) 스님 <멸만경滅巒經> - 팔택법(八宅法) - 동사택 서사택법 전해지는 말로는 황제의 명을 받아서 다른 종족들은 풍수를 잘못 써서 멸종하라는 의미에서 패망할 자리를 명당이라고 오도(誤導)를 했다고 한다. 그리고 더욱 중요한 것은 그 풍수 이론이 우리나라에 들어와 만연하고 있다는 것이다. 처음에는 한족은 배우지 않고, 만주족과 변방의 종족(오랑캐)들에게 배우도록 했다는데, 이것이 역수입 되어 중국으로 다시 들어오면서 일대 혼란이 벌어졌다는 말도 전한다. (4) 송(宋)나라 시대 1) 오경란(吳景鸞) <망룡경> <도법쌍담> <현공비지> <천기부 = 현기부> 2) 채원정(蔡元定) 1161-1237 <발미론> --> 사고전서 수록 3) 사마두타(司馬頭陀) - 스님 <천우일기우형론> <달승문답> - “달승”이란 사마두타의 별호 4) 사자경(謝子敬) <일촌금혈법> - 재혈법 5) 료금정(료金精) <발사경> (5) 원나라 시대 1) 무착(無着) 혹 목강사(目講師)??? = 막강사, 목강사, 목강승??? <지리색은>=<산양지미> (6) 명.청나라 시대 1) 장대홍(蔣大鴻) 이름은 명가(名珂), 자는 평계(平階) <지리변정> <천원오가> <천원여의> 2) 강요(姜요) <청낭오어>를 주해한 책, <종사수필> 3) 서선계(徐善繼) 서선술(徐善述) 쌍둥이 형제 <인자수지>39권 4) 장종성(張宗城) <지리정종> (7) 청나라 시대 1) 심소훈(沈紹勳) 이름은 죽잉(竹잉) <심씨현공학> 2) 장중산(章仲山) 자를 중산(仲山), 이름은 보(甫), 호는 무심도인(無心道人) <음양이택록험> <지리변정직해> <천원오가> 3) 장심언(張心言) <지리변정소> 4) 마태청(馬泰靑) <삼원지리변혹> 5) 심조면(沈祖綿) - 심소훈 선생의 아들 <심씨현공학>이라는 부친의 자료들을 정리하고 모아서 출판(1925년)함으로써, 현공풍수가 비로소 세상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고, 이후로 부터 현공풍수가 풍수학으로서 꽃을 피우기 시작함. (8) 민국(民國)이후의 시대 01) 오사청(吳師靑) : 지학철골비(地學鐵骨秘)외... 02) 우석음(尤惜陰) : 택운신안(宅運新案)외... 03) 담양오(談養吾) : 대현공로투(大玄空路透)외... 04) 공소소(孔昭蘇) : 공씨현공보감(孔氏玄空寶鑑)외... 05) 당정일(唐正一) : 장대홍선사비지구결(蔣大鴻先師秘旨口訣) 06) 왕정지(王亭之) : 풍수평담(風水平淡)외 07) 종의명(鍾義明) : 현공지리총담(玄空地理叢譚)외... 08) 백학명(白鶴鳴) : 현공자백결정해(玄空紫白訣精解)외... 09) 진설도(陳雪濤) : 양택심요(陽宅心要)외... 10) 황춘발(黃春發) : 현공풍수돌파요결(玄空風水突破要訣)외... 11) 양장화(楊藏華) : 지리건곤국보(地理乾坤國寶) 12) 종진첨(鍾進添) : 감여대감(堪輿大鑑) 13) 양초(梁超) : 현공풍수학강의(玄空風水學講義) 14) 허청천(許淸泉) : 최신방위학(最新方位學) 15) 사문예(謝文藝) : 역경지리고증(易經地理考證)외... 16) 이헌당(李獻堂) : 현공적비(玄空摘秘)외... 17) 왕송한(王松寒) : 왕씨양택학(王氏陽宅學)외... 18) 모창연(毛暢然) : 감여기실(堪輿紀實) 19) 임종(林縱) : 나경집(羅經輯) 20) 유훈승(劉訓昇) : 음양학(陰陽學) 21) 참회학인(懺悔學人) : 이택실험(二宅實驗) 이 외에도 이름만으로만 전하는 선생들은 임읍전(林邑全), 황세평(黃世評), 진관우(陳冠宇), 진하주(陳河舟), 증자남(曾子南)등 여러 학자들이 있다. (9) 한국의 현공풍수 1) 이기목(李奇穆) <지리대성육경정해> 2) 최명우(崔明宇) <한국최고의 명당> <현공풍수의 이론과 실제> <도선국사 명당도> <시간과 공간의 철학 현공풍수> 3) 장태상(張泰相) <풍수총론> = 호경국선생의 저서인 고역현공신탐과 유공증선생의 저서인 감여벽류전진을 잘 정리해서 풀이한 책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