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컴퓨터의 기능이나 자원을 확장하기위하여 추가적으로 장착하는 기판 형태의 장치를 확장 카드(expansion card) 또는 확장 보드(expansion board)라고 합니다. PC에서 사용하는 대표적인 확장카드로는 모니터로 화면을 출력하는 그래픽카드, 음향을 스피커로 전달하는 사운드카드, 네트워크망에 연결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랜(LAN)카드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확장 카드를 메인보드에 연결하기위해 접속 단자로 사용되는 소켓형태의 삽입구를 확장카드 슬롯이라고합니다. 대부분의 PC 메인 보드에는 3~8개의 확장 슬롯이 있습니다.

컴퓨터에서 모든 자료(data)는 버스(bus)라는 전송 통로를 통하여 전송됩니다. 이러한 버스의 종류는 사용 목적과 위치, 전송 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가 있습니다. 개인용 컴퓨터(PC)에는 여러 종류의 버스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주기판상의 기본 버스로는 16비트 폭의 ISA 버스, 32비트 폭의 EISA 버스, MCA 버스 등이 있고, 이와는 별도로 고속의 CPU와 고속 처리 장치 사이에서 직접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달하는 32비트 또는 64비트 폭의 로컬 버스(VL-버스, PCI 버스, 확장 AGP) 등이 있습니다.
통로를 다수 만들어 각종 신호원의 데이터 입출력이 동시 처리되는 것을 병렬 버스(parallel bus), 데이터를 직렬화하여 통로를 최소화한 경우를 직렬 버스(serial bus)라고 합니다. 컴퓨터의 외부 버스는 USB, IEEE-1394 등 직렬 버스가 많이 사용됩니다.
확장 슬롯은 이러한 버스의 단말에 위치하는 접속점으로 버스의 종류에 따라 그 형태가 정해져 있습니다.
(<참조 자료> 슬롯의 종류 : http://ask.nate.com/knote/view.html?num=231347)

2000년대 초반까지는 사운드카드나 랜카드 등의 다양한 확장카드를 꽂는 범용 슬롯인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와 그래픽카드 전용 슬롯인 AGP(Accelerated Graphics Port)를 갖춘 경우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2004년에 PCI나 AGP보다 고속으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범용 슬롯인 PCI 익스프레스(Express)가 개발되면서 AGP는 거의 사라졌고 PCI 슬롯 역시 수가 줄어들거나 삭제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PCI 익스프레스 슬롯은 슬롯의 너비 및 데이터 전송 속도에 따라 몇 가지 규격이 있는데 그중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그래픽카드를 꽂을 때 주로 쓰는 PCI 익스프레스 x16 슬롯입니다.
최근 출시되는 메인보드는 그래픽카드나 사운드카드, 랜카드 등의 기능을 자체적으로 내장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확장카드의 쓰임새가 줄어든 것이 사실이지만, 내장형 장치들은 별도로 장착하는 확장카드에 비하면 성능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아 높은 수준의 성능을 원하는 사용자들은 내장형 장치가 있어도 별도의 확장카드를 장착하곤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