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속 이어지는 글입니다. 출처는 <용어>철강용어 총정리 |작성자 메탈가드
철강용어(아)
아연 볼(zinc ball)
전기아연도 강판 제조시 아연 도금용 소재.
아연괴
원석인 섬아연석을 부유선광(浮游選鑛)에 의해서 아연 함유량을 60 % 정도로 높인 다음 배소(焙燒)한다 (이를 소광(燒鑛)이라 함) 이것을 건식법 또는 습식법으로 제련하여 아연괴를 생산함
아연도 철선
보통 철선에 아연 도금한 철선 [KSD 3552 #8~#22]
아연도 C-형강
아연도금 강판을 소재로 C자 형태로 압연한 강재
아연도금 경강선
경강선재를 상온에서 신선한 후 부식 방지를 위해 아연 도금한 선재 / 와이어로프의 소재
아연도금강관(비닐하우스용)
내식성을 높이기 위해 전기용접 강관에 아연 도금한 강관 / 농원이나 비닐 하우스 골재용 강관
아연도금강관(수도용)
내식성을 높이기 위해 전기용접 강관에 아연 도금한 강관 / 수도 배관용
아연말
아연괴를 200℃ 이상 가열하면 연성, 전성이 취약해지는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조된 아연 분말
아연선
고순도의 아연지금을 사용하여 제조. 아연,알루미늄 증착 필름콘덴서의 용사용재료,철골구조물의 방식용 용사용재료.
아연판
아연괴를 100℃ 이상으로 가열, 전성(展性) ·연성(延性)이 풍부하도록 하여 판재로 가공
아연합금
이온화 경향이 철보다 높은 점을 이용 합금을 통해 화학적 내성을 높임 / 다이캐스트합금, 베어링합금, 놋쇠, 양은 등은 아연 합금 재료
알루미늄 복합패널
알루미늄판을 소재로 불소수지 도장 후 심재로 폴리에틸렌폼이나 기타 단열재를 부착시켜 만든 패널
알루미늄도금강판
아연 대신 알루미늄을 도금한 강판. 도금방식은 아연도와 유사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고압유체 등의 수송용으로 사용되는 배관용 탄소강관
압연 : Rolling
압연가공은 두개의 회전하는 롤(roll)사이에 소재를 통과시켜 단면의 형상이 일정한 판재나 형재등을 성형하는 방법이다. 압연은 연속적인 단조작업으로 볼 수 있으며 생산단가가 저렴하게 든다. 롤몸체의 형상을 여러가지로 하여 소재가 통과하는 공간,즉 패스(pass)의 형상이 결정되어 원하는 형재를 성형할 수 있다. 보통 1회의 압하량은 재료와 동력의 관계로 크게 할 수 없으므로 한정된 양으로 여러번 패스를 지나게 한다. 압연도 단조와 마찬가지로 열간압연과 냉간압연이 있다
압연롤 : Rolling Roll
압연에서 압연소재의 형상을 결정하는 것이 롤이다. 롤은 webbler, neck, body의 3부분으로 나뉜다. webbler는 구동계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롤을 회전시키는 부분이며 neck은 몸체를 지지 하는 부분으로 강도설계의 기준이 되는 곳이다. 몸체는 그 형태에 따라 소재에 원하는 형상을 주는 곳으로 패스가 형성되는 부분이다. 롤은 소재와 직접 접촉하여 마찰이 일어나므로 내마모성이 있는 재질을 사용해야한다. 따라서 롤의 재질은 냉강주철이나 표면 경화 처리를 한 탄소강 등이 주로 쓰인다.
압출 : Extrusion
금속재료를 힘을 가하여 다이구멍을 통과시켜 원하는 단면을 갖는 부품을 만드는 공정. 열간압출과 냉간압출이 있다. 소량생산일 때는 압연보다 경제적이다. 압출을 위해서는 먼저 형상을 결정할 다이와 소재를 밀어주는 가압판(plunger), 그리고 소재가 다른 방향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밀폐시켜주는 용기(container)가 필요하다. 인발보다 설비에 비용이 많이 든다. 압출은 주로 열간작업을 한다. 강종류의 재료는 거의 압출이 가능하지만 주로 비철금속이나 고합금강 등 고가의 재료가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앵커볼트
철구조물이나 기타 구조물의 고정용으로 고정할 곳을 미리 타공 후 앵커를 심고 고정
어닐링 : Annealing
철 또는 강의 조직을 연화시키기위해 제어된 온도에서 가열한후 다시 냉각시키는 것을 말한다. 박스어닐링에서는 산화를 최소화하기위해 금속용기, 포장재를 사용한다. 변태점 주변 온도까지 서서히 가열한후 서서히 냉각시킨다.
어닐링(철)선
보통 철선을 어닐링 온도에서 아연도금한 제품 [KS D 3552] / 포장용으로 사용
에폭시 피복철근
철근 외부에 에폭시 코팅 처리하여 내식성을 향상시킨 철근.구조물의 수명이 오랫동안 지속 (KSD 3629)
에폭시피복강관
비중 1.230~1.189, 굽힘강도 ·굳기등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에폭시 수지를 표면에 피복한 강관으로 내약품성이 강함
연강선(재)
보통선재와 특수선재중 저탄소 선재에 속함.철선,전신선 및 아연도꼬임선 등의 소재로 사용(KSD 3554)
연성 : Ductility
강재가 압연, 압출, 성형등 가공중 파열없이 변형될 수 있는 정도를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인장강도 테스트에서 파열되기전 연신 혹은 단면수축으로 측정된 장력으로 표시한다.
연속주조 : Continuous Casting
제강공정을 거친 쇳물(용강)을 주형(Mold)에 주입하여 일정한 모양을 만들고 연속주조기를 통과하면서 냉각, 응고시켜 연속적으로 슬래브나 블룸, 빌릿 등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반대로 전통적인 방식에서는 용강을 주형에 부어 인고트(강괴)를 만든후 다시 인고트를 가열후 반제품으로 압연했다.
연신율 : Elogation rate
지정된 점간의 길이와 축방향으로 하중을 주어 파열되었을때 늘어난 길이의 증가분 비율을 백분율로 표시한다. 예)2인치에서 25% 연신율
열연 아연도금 강판 (HGI)
열연강판을 냉간압연 공정없이 바로 아연도금한 강판
열연박판(HR)
반제품인 Slab를 두께 3mm 이하로 열간압연후 Sheet 및 Coil 타입으로 제조된 강판
열연후판(HR)
반제품인 슬래브(Slab)를 두께 6mm이상으로 열간압연 후 Sheet 타입으로 절단한 강판
열처리 : Heat Treatment
열처리란 금속의 내부조직을 변화시켜서 그 금속부품 또는 공구의 사용시 필요로 하는 기계적 성질을 얻기위해서 행하는 가열 및 냉각 과정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Quenching(급랭), Normalizing(공랭), Annealing(서냉)등으로 나뉜다. 철강재료가 공업적으로 매우 널리 사용되는 이유 중의 하나는 열처리 효과가 크고, 열처리 방법에 따라서 여러 가지 다양한 성질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동일한 화학조성을 갖는 강재라 할지라도 annealing처리에 의해서 강재의 성질은 연해지고, quenching처리에 의해서 매우 단단해 진다.
와이어로프
경강선, 아연도금 강선을 꼬아 스트랜드를 만들고, 마봉강등의 심강 둘레를 몇 개의 Strand로 감아서 꼰 선재 [KS D 3514, 7010]
완전소둔 : Full Annealing
냉간가공이나 소입열처리 등으로 생긴 철강내부의 응력을 완전히 제거하기위해 오스테나이트조직 구간온도(약900~1000도)로 가열 하고 일정기간 고온상태를 유지한 후 서냉하여주는 열처리를 말한다.
용융아연도금강판 (GI)
미소둔강판을 냉간압연하고, 아연욕을 통과시켜 Hot Dipping 방식에 의해 표면을 도금한 강판
용접봉심선
피복아크용접봉심선용 선재를 신선한 후 절단기에서 교정하여 일정 길이로 절단한 제품
원형봉강
반제품 빌릿을 봉강 압연기를 거쳐 원형 형태로 생산한 강재 의 원소재로 철판에 천공(타공) 작업한 가공품
유공판
흡음, 방음벽등
육각볼트
육각머리 형태를 이루고 몸체 일부에 나사산을 가공한 제품.
응력제거소둔 : Stress Relief Annealing
주조,단조,소입,냉간가공 및 용접등으로 생긴 잔류응력을 제거 하기 위해 500~600도의 저온으로 유지, 서냉하는 열처리를 말한다.
이중보온관(단열강관)
내.외관 사이에 보온.단열재를 삽입하여 현장배관작업 공정을 단순화하여 보온 및 공기단축,비용절감을 기한 강관제품
이형PC강선(봉)
피아노선재를 상온에서 신선한 후 고주파 열처리한 제품 / 콘크리트파일, 전선주 등에 사용
인장강도 : Tensile strength
응력을 가하여 시험편이 파괴될때까지의 취성을 측정하는 기계적시험으로 최대인장하중을 평행부의 원단면적으로 나누어 얻는 값으로 표시한다.
AISI(American Iron and Steel Institute)
북미 철강생산자, 공급자, 수요가들의 비영리협회를 말한다. 주로 북미철강산업과 회원들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철강재 사용을 홍보하는 역활을 한다.
ASTM(American Standard of Testing and Materials)
제조업체, 수요가, 소비자 그리고 정부, 학회가 포럼을 열어 재료, 제품, 시스템, 서비스에 대한 표준안을 정하는 비영리단체.
E.C.A. Number
열처리모델을 분류하는 컴퓨터로 제어된 연속열처리 번호를 말한다.
ECCS
전기크롬도금강재
Eddy Current Test
표면의 결함- seam등- 검출을 위한 전자장 비파괴시험방법
Electrolytic Tin Coated Sheets (ETCS)
산이나 알칼리공정에의해 전기전해방법으로 주석을 도금한 냉연박판
I 형강
반제품인 빌릿이나 블룸을 소재로 I 자 형태로 압연한 강재
Off Gauge
강판두께가 지정된 두께와 허용치를 벗어난 것을
U-RIB(강상판)
장대교량,또는 높이가 제한된 교량등에 사용되는 강재이며 선박,토목,해양구조물, 건축관계등의 구조물재로 사용
철강용어(자)
작은 나사
구조물이나 기계부품용 / 은, 황동, 스테인레스 재질을 가공, 생산하기도 한다
전기강판 (규소강판)
규소를 다량(1~5%) 함유시켜 자기 특성을 강화시킴, 주로 모터, 변압기등 전기 기기의 소재로 사용됨
전기동도금강판
냉연강판을 소재로 전기동을 전기도금표면처리한 강판
전기아연
소광을 황산에 녹여서 황산아연을 만들고, 이것은 양극에 납판, 음극에 알루미늄판(소량의 은 포함)을 사용해서 전기분해하여 음극판(陰極板) 위에 석출된 순수 아연을 주조(鑄造)하여 만든게 전기 아연이다.
전기아연도금강판(EGI)
냉연강판을 소재로 전기 도금욕조를 통과시켜 아연도금한 강판. 가전용 칼라강판의 소재및 가전용으로 사용
전기주석도금강판
석도원판을 소재로 전기 도금욕조를 통과시켜 주석 도금한 강판. 식관/잡관자재 및 식음료 캔으로 사용
전조가공 : Roll Forming
전조가공(roll forming)은 공구의 형상을 소재에 복사시키는 방법이며 가공방법은 공구(roll)나 소재, 또는 이 양쪽을 회전시키거나 왕복시킴으로써 공구의 형상을 찍어내는 것이다. 이 방법은 단조나 압출 등의 비합리적인 요소를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한 가공법으로 작업이 간단하고 자동화가 편리하며 진동이나 소음이 제거되므로 양산에 적합한 가공법이다. 전조된 재료의 조직을 살펴보면 연속된 섬유상조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절삭가공된 제품보다 강도와 기계적 성질이 개선됨을 알 수 있다. 또한 표면이 압착되므로 피로 강도가 증가하고 충격에 강하며 재료의 절약에도 도움이 되는 가공법이다. 전조시 사용되는 재료는 강 또는 구리나 경합금 등이 사용된다. 전조가공의 가장 효과적인 가공이 나사전조이다. 나사전조에는 평판식전조와 롤식전조의 두가지가 있는데 나사부붐의 양산으로는 평판식 나사전조가 많이 쓰인다.
전해크롬산처리강판 : Tin free steel TFS
주석강판을 대체하기위하여 tin대신 크롬을 사용하여 도금한 강재. 현재는 석도원판에 크롬과 전해크롬산을 얇게 도금한다.
절곡
철판 또는 형강류를 기계나 열을 이용하여 그 형상을 바꾸거나 여러 각도로 소성 변형시키는 작업
절단(shear)
스트립 코일의 양끝을 잘라 정돈하든가 일정 칫수로 폭방향 절단하는 작업
제강공정
고로에서 생산된 쇳물(용선)은 탄소(C) 함유량이 많고 인(P), 유황(S)과 같은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어 부스러지기 쉽다. 이러한 쇳물을 강인한 강(鋼)으로 만들려면 탄소의 양을 줄이고 불순물을 제거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러한 과정이 제강공정에서 이루어진다. 제강공정은 용선예비처리, 전로제강, 2차정련이라는 세가지 과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용선예비처리는 쇳물에 포함된 불순물 인과 유황 성분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둘째, 전로제강공정은 전로에 쇳물을 부은 후 고압, 고순도의 산소를 불어넣어 탄소를 태우고 불순물을 없애는 공정으로서 철강의 기본적인 품질을 결정하는 공정이다. 마지막으로 2차정련은 최종제품 내부품질(성분, 재질 등) 요구조건에 맞게 제어하는 공정이다.
제선공정
철광석(소결광), 코크스, 석회석이 고로 윗부분에서 서서히 아래로 떨어질때 코크스가 고로 밑부분에 유입되는 열풍에 의해 연소되는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CO)가 철광석과 환원반응을 일으키면서 쇳물(용선)이 생산되는 공정을 말한다. 이때 코크스는 철광석을 녹이는 열원으로서의 역할과 산화철인 철광석에서 산소와 쇳물(용선)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고로에 장입된 철광석이 쇳물로 나오기까지 5 ~ 6시간 정도 소요되고, 이때 쇳물의 온도는 1,500℃ 정도이다.
조립식 패널(샌드위치 패널)
양면의 강판 내부에 우레탄이나 EPS등의 발포재나 G/W등의 불연재를 삽입하여 단열성, 불연성을 높인 건자재 / 건축물의 내.외장재로 사용
주강품
강(Steel)의 주물로서 주철에비해 강인하다. 용강을 주형에 주입하여 만든것.주로 부품용으로 많이 사용.
주조 : Casting
금속가공법의 일종으로 금속을 용해해서 주형에 흘려넣고 굳은 후에 꺼내어 제품화 한다. 현재 주조 제품은 공장기계, 원동기, 펌프, 트랙터 등 근대산업에 이용되는 모든 기계의 부품이다. 단조에 비해 복잡한 형상인 것이나 대형인 것을 간단하고 빨리 만들 수 있고 가공비용도 저렴하지만 제품의 기계적 성질이나 신뢰성 면에서 다소 뒤떨어 진다. 주조에 이용되는 금속 중에 보통 주철은 주로 큐폴라에서 용해 되며 가단주철, 합금주철, 구상흑연주철 등은 전기로에서 용해된다.
주철 : Cast iron
주철은 강도는 다소 낮으나, 주조성이 좋고, 값이 싸며, 기계가공성이 좋아 널리 사용된다. 주철에는 주조시에 흑연이 석출하여 파단면이 회색인 회주철(灰鑄鐵; grey cast iron)과 흑연의 존재가 적은 백주철(白鑄鐵; white cast iron)이 있으며, 이 두가지의 중간에 속하는 반주철(斑鑄鐵; mottled cast iron)이 있다.
zinc calots
아연 배터리캔용 소재
[출처] 철강용어 정리 <4> (아~자)|작성자 먹거리탐방
他人雨 (타닝아메,
타인의 비) - テレサ·テン (테레사 텡, 등려군)
1)
棘を 刺すように そぼ降る 雨が
토게오 사스요-니 소보후루 아메가
보슬보슬 내리는 비가 가시를 찌르듯이
服を 通して 心に しみる
후쿠오 토-시테 코코로니 시미루
옷을 뚫고 마음에 저미어와요
逢えば 別れの
아에바 와카레노
만나면 이별이
来る 恋ならば
쿠루 코이나라바
찾아오는 사랑이라면
なんで 添わせた 結ばせた
난데 소와세타 무스바세타
왜 곁에 있게 했나요? 맺게 했나요?
泣いて 泣いて 水に 流す
나이테 나이테 미즈니 나가스
울면서, 울면서 물에 흘려보내는
泣いて 泣いて 水に 流す
나이테 나이테 미즈니 나가스
울면서, 울면서 물에 흘려보내는
あなた 濡れない 他人雨
아나타 누레나이 타닝아메
당신은 젖지 않은 타인의 비
2)
傘を ひとつに からんで 歩く
카사오 히토쯔니 카란데 아루쿠
하나의 우산으로 서로 껴안고 걷는
前の 二人の 背中が 痛い
마에노 후타리노 세나카가 이타이
앞의 두 사람의 뒷모습이 날 아프게 해요
濡れて 消えても
누레테 키에테모
비에 젖어 사라져도
あなたの匂い
아나타노니오이
당신의 체취와
肌が 忘れぬ 憶えてる
하다가 와스레누 오보에테루
살갗이 잊혀지지 않아 기억하고 있어요
つらい つらい 女の夢
쯔라이 쯔라이 온나노유메
괴롭고 쓰라린 여자의 꿈
つらい つらい 女の夢
쯔라이 쯔라이 온나노유메
괴롭고 쓰라린 여자의 꿈
あなた 見えない 他人雨
아나타 미에나이 타닝아메
당신은 보이지 않는 타인의 비
(후렴)
逢えば 別れの
아에바 와카레노
만나면 이별이
来る 恋ならば
쿠루 코이나라바
찾아오는 사랑이라면
なんで 添わせた 結ばせた
난데 소와세타 무스바세타
왜 곁에 있게 했나요? 맺게 했나요?
泣いて 泣いて 水に 流す
나이테 나이테 미즈니 나가스
울면서, 울면서 물에 흘려보내는
泣いて 泣いて 水に 流す
나이테 나이테 미즈니 나가스
울면서, 울면서 물에 흘려보내는
あなた 濡れない 他人雨
아나타 누레나이 타닝아메
당신은 젖지 않은 타인의 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