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27일(토) 정각사에서 부처님 오신 날 기념 법회가 있었습니다.
하늘에 올라 도를 행한다는 '천도무'를 북으로 보여 주었습니다.
.
그리고 '출발점 명상'에 대한 설명도 있었습니다.
『법구경』에 보면 “지나간 과거를 후회하지 말고, 다가오지 않은 미래를 걱정하지 말라.”고, 합니다. 이것이 '출발점 명상'의 근본 토대입니다. 지금 잃거나 없어진 것에 괴로워 하지 말고, 현재 갖고 있는 것에 중점을 둡니다. 그래서 태어날 때 두 손만 달랑 갖고 태어났지만 지금은 가진 것이 많습니다. 그래서 과거나 미래가 아닌 현재를 충실하게 살고자 합니다.
붓다는 태어나면서 “천상천하 유아독존 일체계고 아당안지” 라고 말씀 하였습니다. 인간으로 태어났기에 존귀한 존재가 될 수 있으며, 존재의 괴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출발점 명상'에서는 인간으로서의 존귀함과 자존감의 확립을 우선 시 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출발점 명상'에서는 ‘미인대칭 참가’를 중시합니다. 내가 먼저 미소 짓고, 내가 먼저 인사하며, 내가 먼저 대화하고, 내가 먼저 칭찬합니다. 그리고 지나간 잘못은 참회하고, 일상에 감사하는 모습을 생활화하며, 인간으로서의 존귀함을 찾아나갑니다.
그리고 수행으로는 ‘차크라코드 자애명상’과 ‘차크라 호흡명상1, 2’ 등을 합니다. 이를 통해 자신의 마음에 자애를 키우고, 마음을 평온하게 하며. 자존감을 높여 나아갑니다.
부처님 오신 날을 통해 참다운 명상 자의 길을 가고자 서원합니다.
<깨달음의 문을 들어서며, 부처님 오신날을 경축합니다.>
<룸비니 동산에서 부처님 오신날을 경축하며, 아기 부처님의 욕불식을 진행합니다.>
<대웅전에서 법회와 '출발점명상'에 대한 설명이 있었습니다.>
<대웅전에서 천무도 북을 시연한 후에 도반님들에게 북을 가르치는 모습입니다.>
<불자님들과 보살님들의 모습에서 발심의 모습이 보입니다. "나무 아미타불 관세음보살">
<대웅전 외부에는 비가 내리고 있습니다. 운치가 있는 법당에서 행사가 진행 되고 있습니다.>
<법회와 명상 시연한 후에 불공을 드리는 불자들의 모습입니다. 이번 생에는 존재의 괴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길을 가기를 발원합니다.>
<봉축법회 식순과 정진기도 명상 법회(7월22일)의 일정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