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정 : 2015년 6월 9일
장 소 : 러닝센타 4층 사무실
7강 곤충의 이해
*곤충:맏형의 의미
*동물분류표 : 진화된 종류로 분류
*절지동물(몸이마디) - 곤충류,거미류,갑각류
-곤충류 : 다리3쌍,날개2쌍,더듬이1쌍,겹눈1쌍,홑눈3개,폐가 없다
-거미류 : 다리4쌍,홑눈8개(더듬이 없음),앞다리 더듬이 처럼 쓴다, 폐가 있다
-갑각류 : 새우,엽새우,가재
*곤충분류표
-날개 없음: 무시아강
-날개 있음: 유시아강 구분
#유시아강 : 날개 겹쳐 접을 수 없다(고시류)/있다(신시류)
##신시류 : 완전변태(알-애벌레-번데기-성충):내시류-나비,파리목
불완전변태-번데기 과정이 없다(사마귀),몸을 덮는 날개 길이로 약충(어린벌레) 성충으로 구분
사마귀:날개를 덮는다-성충/ 날개가 짧다-약충
*곤충의 구조 : 머리,가슴,배
#머리-더듬이,홑눈,겹눈,머리,입틀
#가슴-움직이는 모든 것, 중요기관 :날개,다리
#배 - 기문(숨 쉬는 구멍)
#고막 - 소리를 내는 곤충은 소리를 듣는 곳이 제 각 각 있다
(귀뚜라미 앞다리 허벅지 안쪽 하얀줄)
#눈이 발달된 곤충은 더듬이가 짧다(잠자리,파리,꽃등에,매미,물자라)
- 애벌레 눈 : 명암구별
- 홑눈3개 : 겹눈사이 위치(강아지 앉은 모습)
초록잎의 초록 애벌레 생존본능발달
- 겹 눈 : 각각의 낱눈이 모여(만오천개) 한개의 커다란 큰 눈
-곤충은 자외선을 감지한다 : 노랑색 원추리꽃은 허니가이드가 없다(사람 눈으론 확인 불가)
곤충은 확인가능
#더듬이 : 낮과 밤 활동에 따라 모양이 다르다.
-낮:풍뎅이,개미,벌 :매끈한편
-밤:풍뎅이,모기
정보수집 하기 위해 가지가 많이 발달 되어짐(모기-마디 마디 더듬이,호흡빈도 높을 수록"이산화탄소"증가
풍뎅이 수컷더듬이 3종류: 나뭇잎,빗모양,긴 침모양
#더듬이 길이와 모양으로 곤충 종류를 알 수 있다
##짧으면 눈이 좋고, 길면 눈이 나쁘다
꼬깔콘-하늘소/바구미-꺽이는 ㄴ 모양/ 끝에 통통 곤봉모양-나비/나뭇잎-나방
몸 보다 긴 더듬이ㅡ베짱이,여치/꺽인 ㄴ 빗모양-풍뎅이
#짧는 더듬이 2번째 마디 : 존스톤 기관(정보모집)
###더듬이는 곤충에게 아주 중요하며 눈,귀,코,입과 같은 역할을 한다.
-냄새를 맡아서 먹이 찾고 암커을 찾아감
-공기의 진동을 느낄 수 있어서 소리를 들을 수 있음
-물체에 대봄으로 방해 물체를 알아냄
-검정파리의 더듬이 비행 속도계 역할
-기생벌의 경우 알을 낳을 곤충을 찾는 데 사용(애벌레 찿기)
-점호리병벨의 경우 집 짓는 치수 "자"활용
*가슴
-가슴 가운데 다리 모인 곤충은 활동성 낮다. 다리 굵기가 같다, 날개로 활동(사마귀,노린재)
-가슴 옆 넓은 뒷다리- 점프함(메뚝기,여치,귀투라미,베짱이,방아께비)
#노랜재 종류
식물종류- 식물즙을 먹고
곤충먹는 노린재-몸에 독을 주입후 내장 녹여서 쭈욱 빨아먹는다
#매미 - 3단 우산 처럼 접히는 마디 마디가 있다. 액체만 먹는다
#벌,개매,파리 성충은 육식 못하고 즙만 먹는다 - 혀 (밥상 파리) : 스폰지 같음(물,국물)
#말벌- 꿀벌 사냥 애벌레 주고 성충은 꿀을 먹는다
#가슴
-넓고 좁다,다리 굵기가 같다 - 노린재 가슴이 모여있다(다리가 가슴에 모여 있기 때문에 날개로 활동) - 나비.사마귀
-겨드랑이 다리,뒷다리가 넓다 : 점프를 잘한다 - 메뚜기,여치,귀뚜라미,베짱이,방아깨비
-꿀벌 뒷다리:모음다리(노랑꽃가루)
-갈고리 가시감옥:사마귀
-포크레인:땅강아지
-바닥질질(털),진동감지:집바퀴벌레
-뒷다리 헤엄치게:물방개(빨판있음:수컷)
#배(기문) : 공기가 드나드는 문
-곤충의 12마디 까만점(숨구멍) - 벌,잠자리,메뚜기,딱정벌레
-배판이 아코디언 처럼 움직인다.
-미모 : 꼬리에 있는 털(곤충 모두 있다)
#날개
-딱정벌레,무당벌레:앞날개가 딱딱한 것
-사마귀,바퀴벌레:짧은거리,단시간 이동,여러겹 두껍다
-잠자리:180회전 꺽는다, 방향회전이 빠르다, 1일 모기80마리 먹는다
#산란관 - 알을 낳은 관
-왕귀뚜라미
-베짱이:풀,줄기 잎 사이 얇고 뾰족
-벌:집 깊이만큼 침 길이가 있다
-메뚜기는 산란관 없음, 몸 안에 숨어 있다(땅을 파서 알을 낳는다)
-파리떼 뒷날개 평균곤(겨드랑이)로 바뀜,날개2개
-베짱이:톱니 모양 풀 줄기 옆으로 썰어서 알을 놓은다.
#곤충의 친척
-옆새우,공벌레:갑각류에 속한다
-지네:절지동물 가지류(다리가 많다)
-나비와 나방:공통적으로 비늘가루가 있다
#나비는 천적 피해 접어서 앉는다/ 나방은 펴서 경계를 한다
#나비는 더듬이가 곤봉 모양이다/ 나방은 나뭇잎,빗모양,일자
#나비는 활동 계절이 다르다(이른 봄 나비-낙엽및 체온유지, 날개가 헤져있다-(겨울) 네발 나비
/가을 태어나 겨울 나는 나비는 체온유지 위해 날개를 펼친다-암끝 검은 표범무늬)
#나방은 오후4시부터 추운 밤에 활동 하기 위해 낮에 날개를 펴고 앉는다./암,수 더듬이가 다르다
*흉내내기(가짜모습)
-꽃등에와 벌
-열점잎벌레와 무당벌레(곤충의 빨강색은 경계색/나 독있어!, 무당벌레 무릎관절 노란즙(칸타라닌)
-호랑나비 애벌레:경계시 몸을 새똥모습을 변신
-사마귀:당랑거철(감히~상대가 안되는데 덤빈다...)
*공생
-진딧물과 개미는 상위공생 관계
-벗나무 꿀샘 4월말~5초 개미와 진딧물(사사키 혹 진딧물)
-떼죽나무: 떼죽납작즙 진딧물(바나나 송이처럼 생겼음)
#진딧물은 짝짓기 하지 않고 스스로 새끼를 낳은다. 기생하는 것이 특징 처음1이 나중 수 십 마리됨
-느티나무:외줄연충진딧물(나무가 혹 집을 만들어 준다)/주변에(겨울)소나무,향나무,측백나무,대나무에 진딧물이 산다
-느릅나무 혹 진딧물
-상수리 혹 벌집
-밤나무 혹 벌집
-쇠무릎 혹 파리(노란알)
-쑥 혹 파리
-노랑쐐기 나방 꽃:알처럼 생긴 꽃, 애벌레 시절 나방 몸에 실처럼 연결 되어 있던 것이 뚜껑 열리듯 깨끗하게 나옴
-느티나무 노린재 알
-사마귀 알 집(돌,나무,풀 4월 모기사이즈의 사마귀가 200>10마리 성충이 됨
-느릅나무,등나무,아카시나무 거위벌래(제단사)알집 .노란알 1개
-호리병 벌 더듬이로 "흙"집(공기가 통함)을 짓고 성충이 될 동안 먹이로 나방애벌레 4마리(신경마비 시킴:생존유지) 필요
-부전나비는 개미 집 근처에 알을 낳음, 나비 애벌레에서 개미와 동일한 페로몬이 나옴(먹여주고 진딧물 받아 먹음)
###개미가 공생하고 있으면 새와 곤충이 안온다.
나무와 진딧물은 공생관계이며(나무가 상처 생긴 부분은 광합성은 못하지만 전체적으로 다른 이유가 있는 공생일 것이다)
정말 해충은 있는 것일까?...
>>>매미 5덕 이란?
조선 임금께서 쓰시던 관모 "익선관"
5덕 문,청,염,검,신의 덕입니다.
첫째 머리 모양이 선비가 쓰는 관을 닯았으니 문덕을 갖추었다는 것
둘째 이슬만 먹고 사니 청덕을 지녔다는 것
셋째 메뚜기 등과 달리 농부들이 가꾼 곡식과 채소를 해치지 않으니 염덕이 있으며
넷째 들짐승과 날짐승,곤충 등 모든 생명체들이 살 집이 있는 것과는 달리 매미는 집을 짓지 않으므로 겸덕을 갖추었고
다섯째 철 마추어 왔다가 서리가 내리는 가을이 오면 때를 보아 떠날 줄을 아니 신덕을 갖추고 있다는 것
.
첫댓글 다시 보니 기억이 새록 새록.... 정리하느라 수고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