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이편(學而篇) 제14장 해설
子ㅣ 曰君子ㅣ 食無求飽하며 居無求安하며 敏於事而愼於言이오
就有道而正焉이면 可謂好學也已니라
공자 가라사대 군자가 먹는데 배부름을 구하지 아니하며 거함에 편안함을 구하지 아니하며, 일에 민첩하고 말에 삼가고 도 있는 데에 나아가 바루면 가히 배움을 좋아한다 이르느니라.
不求安飽者는 志有在而不暇及也ㅣ오 敏於事者는 勉其所不足이오 謹於言者는 不敢盡其所有餘也ㅣ라 然이나 猶不敢自是하고 而必就有道之人하야 以正其是非면 則可謂好學矣니라 凡言道者는 皆謂事物當然之理니 人之所共由者也ㅣ라
○尹氏 曰君子之學이 能是四者면 可謂篤志力行者矣라 然이나 不取正於有道면 未免有差니 如楊墨이 學仁義而差者也ㅣ라 其流ㅣ 至於無父無君하니 謂之好學이 可乎아
편안하고 배부름을 구하지 않는 자는 뜻이 있음이 있어서 (安飽에) 미침에 여가하지 못하고, 일에 민첩하다는 것은 그 부족한 바에 힘씀이오, 말에 삼간다는 것은 감히 그 남음이 있는 바를 다하지 못함이라. 그러나 오히려 감히 스스로 옳다 여기지 말고 반드시 도 있는 사람에게 나아가서 써 그 옳고 그름을 바룬다면 가히 배움을 좋아한다 이를 것이니라. 무릇 도라고 말한 것은 다 사물 당연의 이치를 이른 것이니 사람이 한가지로 말미암은 바이라.
○윤씨 가로대 군자의 배움이 능히 이 네 가지에 능하다면 가히 독지역행자(뜻을 돈독히 하고 행동에 힘쓰는 자)라 이를 것이라. 그러나 도 있는 데에서 바름을 취하지 아니하면 어긋남이 있음을 면치 못하니, 양주 묵적이 인의를 배우고도 어긋남과 같으니라. 그 흐름이 아비도 없고 인군도 없음에 이르렀으니 배움을 좋아한다 이르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