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품 소개 교향곡 94번 G 장조(Hoboken I:94)은 요제프 하이든이 1791년에 작곡한 교향곡이다. 그의 12개의 소위 런던 교향곡(93~104번) 가운데 두 번째 작품으로,‘잘로몬 세트'로는 제3번이다. 이 곡은 보통 <놀람>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독일에서는 ‘팀파니 타격이 있는(Mit dem Paukenschlag)’으로 불린다.
놀람”이라는 별명의 유래 하이든은 그의 작품에서 종종 익살과 해학을 보여주곤 했는데, 이 작품의 “놀람”이라는 별명도 그런 이유로 붙게 되었다. 즉, 고요하게 시작된 두 번째 악장의 변주에서 갑자기 팀파니와 더불어 큰 소리의 화음이 나오는데, 이로 인해 “놀람”이라는 별명이 붙여졌다. 이후의 변주는 아무 일 없었던 듯이 다시 부드럽고 약하게 계속되며 '놀람'은 반복되지 않는다.
□ 작곡과 초연 하이든은 그의 첫 번째 영국 방문(1791년-1792년)동안 열린 일련의 연주회를 위해 런던에서 이 교향곡을 작곡하였다. 그리고 1792년 3월 27일에 런던의 ‘하노버 스퀘어 룸’에서 직접 포르테피아노 연주와 지휘를 맡은 하이든에 의해 초연되었다. 하이든의 영국 방문에서 보통 그랬었던 것처럼, 이 작품의 초연은 매우 성공적이었다. 하이든은 훗날 그의 전기 작가인 그리징거에게 다음과 같이 이야기하며 초연 당시를 되새겼다고 한다.
"내 제자였던 플레이엘(註:그는 하이든과 같은 시기에 연주회 시리즈를 열고 있었음)한테 뒤지지 않기 위해서 뭔가 새로운 것으로 청중을 놀라게 하고 화려한 모습으로 데뷔하고 싶었다. 내 교향곡의 첫 번째 알레그로도 수많은 찬사를 받았지만, 안단테에서 케틀드럼 연주가 나오자 청중들의 열광이 그 최고에 이르렀다. 앙코르, 앙코르! 라고 모두들 소리쳤고, 플레이엘 조차도 내 작품에 대해서 경의를 표했다.“
하이든은 작곡 활동을 그만둘 즈음에 두 번째 악장의 주제를 편곡해서 그의 오라토리오 《사계》(1801년)에 나오는 아리아에 사용하였다. 그 작품에서 베이스 독창자는 하이든의 음악을 휘파람 불며 일하고 있는 농부의 모습을 아리아로 묘사한다.
▣ 작품 해설
□ 악기 편성 이곡의 악기편성은플루트 2, 오보에 2, 바순 2, 호른 2, 트럼펫 2, 팀파니, 그리고 제1과 제2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더블베이스로 이루어진 현악기들로 편성된다. 한편 오늘날에는 작곡 당시의 시대 악기를 사용한 원전 연주도 자주 행해지고 있다.
□ 구성 다른 런던 교향곡들과 마찬가지로 4개의 악장으로 되어있다. I. Adagio - vivace assai II. Andante III. Menuetto: Allegro molto IV. Finale: Allegro molto
△ 제1악장 : 아다지오 - 비바체 아사이(Adagio - vivace assai) 3/4박자 (6:32) 주부는 비바체 아사이 g단조 6/8박자로 소나타 형식이다.헝가리 민속 무곡이 처음에는 여리게 연주되다가 점점 세게 연주된다. 신선한 느낌의 음악이다.목관악기가 울리면 현악이 호응하는 4마디로 개시된다. 관악의 울림과 현악의 호응이 이어지면서 딸림음의 반종지를 이끌어내면서 서주를 마친다. 제1주제 속에는 이 악장에서 발전되는 모든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제1주제의 최초의 4마디가 되풀이되어 경과부가 시작되고, 포르테부의 처음 2마디의 저음 뒤에 나오는 음형이 나타나는데, 이것도 제1주제의 두 개의 동기의 발전형이 합쳐서 이루어진 것이다. 이후 제1주제가 딸림 단조로 나타난다. 제2주제의 선율적 성격은 희박하게 보인다. 최초의 4마디 당김음에 의해 리듬형이 제시되며 그 뒤에 달리는 듯한 패시지가 이어지고 있다. 다시 딸림조 부분이 이어지고 현악에 의한 대위법적악상이 나타난다. 간결한 종결부를 거쳐서 전개부로 들어간다. 전개부에서는 먼저, C장조의 제1주제 첫머리 동기에서 시작되어 종결주제의 동기를 쓰면서 f단조에서 F장조에 이른다. 그리고 경과부의 음형을 사용하여 전조를 계속하다가 b단조의 딸림음에 이르고 나서, 제2주제의 빠른 악구나 경과부의 음형 등에 의해서 b단조에서 G장조로 복귀부를 구성하고 있다. 재현부에선 제1주제의 완전한 재현을 한 뒤, 경과부는 지극히 단축되어서 제2주제의 재현을 유도하고, 제1주제의 동기가 화성적으로 부풀어 새로운 전개를 제시한다. 이윽고 호른의 저음을 신호로 코다로 들어가는데, 제1주제의 주요 동기가 취급된 다음에, 종결 주제 이하를 재현하고 종지를 고한다. △ 제2악장 : 안단테 (Andante) 2/4박자 상단에 ★★★★☆ "놀람"이라는 이름이 붙게 된 바로 제2악장. 변주곡 형식으로 매우 간결하고 경쾌한 주제 가락과 4개의 변주곡으로 되어 있다. 장난기 넘치는 가장 친숙한 악장으로 조용하고 아름다운 멜로디가 계속되다 유명한 '팀파니의 울림'으로 듣는 사람을 놀라게 한 후, 다시 듣는 사람들을 도취시킬 만한 조용하고 아름다운 멜로디가 계속된다. * 주제: 크게 2부분으로 이루어짐. 현악기의 스타카토로 조용하고 느리게 연주되다가 모든 악기가 일시에 갑자기 큰소리로 연주하는 부분이 인상적인 주제. * 제1변주 : 다장조. 현악기가 주요 가락을 연주하고 다른 현악기들이 대선율을 덧붙임 * 제2변주 : 다단조. 주제 부분에 비해 큰 소리로 연주. 주제의 형태를 변화시킨 단조의 가락 을 현악기와 목관 악기가 연주함 * 제3변주 : 다장조. 짧은 리듬으로 변화된 주제 가락을 현악기가 연주하고 플루트와 오보에 의 2중주가 주제 가락과 어울림 * 제4변주 : 주제의 앞부분을 모든 악기로 연주하며 소리가 점점 커지고 파도치는 물결처럼 가락이 흐르다가 금관 악기들이 큰 팡파르 소리를 울림 * 코다(종곡) : 짧게 주제가 나오고 곡을 끝냄
△ 제3악장 : 미뉴에트 : 알레그로 몰토 (Minuetto:Allegro molto) 3/4박자 (4:14) 알레그로 몰토 속도의 미뉴에트로 즐겁고 율동적인 멜로디가 맑은 샘에 흐르는 물줄기를 연상시킨다. 미뉴에트에는 항상 제3박에 악센트를 지니고 있어 일종의 독특하고 해학적인 기분을 자아내게 하고 있으며, 미뉴에트와 마찬가지로 G장조로 쓰여진 트리오는 주제적으로 미뉴에트와 동기를 똑같이 한 것으로 미뉴에트의 연장같은 느낌을 준다. 이 트리오의 주제는 하이든이 즐겨서 쓴 제1바이올린과 그리고 1옥타브 낮은 파곳으로 연주된다.
△ 제4악장 : 피날레 : 알레그로 몰토 (Finale : Allegro molto) (3:46) 알레그로 디 몰토의 론도 소나타 형식으로 발랄한 곡조가 인상적이다. 첫머리의 주제부는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8마디의 제1주제가 2회 현악으로 반복되고, 중간에 새로운 동기가 제시되고, 다시 최초의 8마디가 재현된다. 경쾌한 무곡풍의 악상이 펼쳐진다. 제1경과부는 바이올린의 16음표로 선회하고, 저음부에 새로운 동기가 최급 되는데, 제1주제의 동기도 사용된다. 제2주제는 가벼운 리듬을 타고 연주되는 가락으로 나타나고, 제1주제와는 뚜렷한 대조를 이룬다. 제2경과부에서 다시 바이올린의 연주가 있고, 간결하게 으뜸조로 복귀된다. 제1주제의 첫 번째 재현은 첫머리의 8마디에 그치고, 즉각 포르테로 제3경과부로 들어간다. 앞의 경과 동기와 새로운 동기도 나타나고, 제1주제의 동기도 사용하면서 전조를 계속, 전개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1주제의 두 번째 재현에는 플루트와 파곳이 선율에 가담한다. 후에 또 한 번 제1주제가 재현되고, 다음의 제5경과부는 제1경과부 후반의 재현으로서 다시 제2주제가 완전히 재현된다. 코다에선 제1주제의 주요 동기가 목관악기로 연주된 후에, 팀파니의 강타를 계기로 내림E장조로 돌입한 다음에, 으뜸조로 복귀하여 막을 내리고 있다.
<출처 :Wikipedia 발췌 번역,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