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상병동 / 박원희
전쟁터에서 아군과 적군들이 싸우다
다치면 가는 곳이 부상병동이다.
부상병동은 전쟁터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바로 가정이다.
남편이 말 화살을 부인에게 쏘면
부인은 더 뾰족한 화살을 쏴대고,
부모와 자녀 간도 예외가 아니다.
부상병 집합소가 된다.
가정만 그런가.
타이틀을 갖는 직책을 놓고 겨룰 때,
자신들의 좋은 정책들만 내놓으면 좋으련만
옳고 그름에는 관심 없고
상대 비방에 온 힘을 다 쓰며
전임자의 행적은 모두 부정하고
자기만이 최고라 외친다.
목에 핏대를 세운 그 자리,
모두가 상처만 가득한 부상병동을 만든다.
사회에서 하던 버릇을
자신이 속한 종교 단체까지 가져와,
종교의 취지는 관심 없고
편을 나누며
좋은 뜻으로 일하려는 사람에게
정죄의 화살과 눈총을 쏘아댄다.
눌러 앉히거나,
심지어 밖으로 밀어내기도 해
부상병들이 속출한다.
이제 이 화살을 남보다
나 자신에게 쏴보면 어떨까.
이 세상의 부상병동들이
문을 닫는 곳이 많아지지 않을까.
나부터 실천해야겠다.
The Ward for the Wounded
by Wonhee Park
On the battlefield,
when friend and foe collide,
the wounded are carried
to the ward for the wounded.
But that ward
does not belong to the battlefield alone.
It exists also
in the home.
When a husband's words
become arrows toward his wife,
she returns sharper ones still.
Parents and children are no exception—
the home turns into
a gathering place for the wounded.
And not only the home.
When people compete
for a title or a seat,
they speak of better plans,
yet care little for what is right or true.
They pour their strength
into slandering each other,
deny all who came before,
and claim to be the only righteous one.
Soon the place is filled
with unseen wounds—
a new ward for the wounded.
Old habits learned in society
are brought into faith communities.
They divide into sides,
ignore the true purpose of religion,
and shoot arrows of judgment
at those who try to do good.
Some are silenced,
others are cast out.
The wounded multiply.
But what if—
instead of aiming outward,
we turned the arrow toward ourselves?
Would not many of these wards
finally close their doors?
I will begin
with myself.
첫댓글 시 속의 부상 병동은 곧 우리의 사회,
상처의 원인을 타인에게서 찾지 않고
내 안에서 발견한 시인의 시선이 깊이 와 닿습니다.
감사합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