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작산은 정상에서 바라보면 홍천군 일원이 한눈에 들어오며, 풍치가 아름답고 깎아 세운 듯한 암벽이 장관을 이루는 곳이다.
산세의 아름답기가 공작새와 같다하여 공작산으로 불리는 듯하며, 몇년 전부터 점차 이산을 찾는 등산객 수가 증가 추세에 있다.
봄에는 철쭉과 가을철에는 단, 눈 덮인 겨울산 역시 등산객들을 매료시킨다.
정상이 암벽과 암릉으로 되어 있으며, 정상 일대의 철쭉군락지에 철쭉이 필 때면 지리산의 세석평전을 방불케한다.
정상에서 서남능선 수타사와 노천리에 이르는 약 8km의 수타 계곡은 멋진 암반, 커다란 소, 울창한 수림으로 수량도 풍부하고 기암절벽이 어울려 장관을 이루는 비경 지대다.
수타사
수타사는 홍천군 동면(東面) 덕치리 공작산(孔雀山)에 있는 절로서, 영서지방의 사찰중 가장 오래된 고찰이다.
공작산을 배 경으로 신라 성덕왕 7년(서기 708년)에 원효대사에 의하여 창건되었으며, 당시에는 우적산(牛寂山) 일월사(日月寺)라는 이름으로 불렀다.
창건 이후 영서 지방의 유명한 사찰로 꼽히다가 1457년(세조 3)에 현 위치로 옮기면서 수타사(水墮寺)라 칭하였다.
월인석보와 삼층석탑, 홍우당부도 등 지정문화재 이외에도 1364년에 만든 종과 부도거리 등 역사적으로 가치가 높은 유물들을 소장하고 있다.
수타사 계곡
동면 노천리 공작산에서 발원, 신봉리를 거쳐 덕치리로 이어 흐르는 계곡으로 봄에는 철쭉, 가을엔 단풍 이 어우러져 있다.
이곳에서부터 계속 계곡을 따라가 보면, 맑은 물을 끼고 있 는 갈대숲이 나온다.
산림청 100대 명산
울창한 산림과 수타계곡 등 경관이 수려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되었다.
산의 형세가 마치 한 마리의 공작이 날개를 펼친 듯하다는데서 산 이름이 유래. 보물 제745호인 월인석보 제17권과 18권이 보존되어 있는 수타사(壽陀寺)와 수타사에서 노천리에 이르는 20리계곡인 수타계곡이 특히 유명하다
등산코스
공작골 입구- 공작골- 삼거리- 공작재- 정상- 안부- 삼거리- 공작골- 공작골 입구 (5시간)
공작골- 좌계곡- 안공작재- 주봉- 동남능선- 공작골 (8km, 4시간)
굴운저수지 앞- 삼거리- 정상- 803봉 안부- 삼거리- 굴운저수지 앞 (6시간)
물골-계곡- 정상- 화촌면 군업리, 당무 (5Km, 5시간)
물골-계곡-정상-화촌면 굴운리 저수지 (5Km, 5시간)
공작고개정상→능선→정상→화촌면 굴운리 저수지(5km, 5시간 소요)
등산방법
산행기점은 공작골입구이다.
공작현으로 넘어가는 도로를 따라 걸으면 4-5채의 민가가 있다.
여기서 서북쪽 계곡을 향하여 가다가 갈림길에서 왼쪽길로 접어 든다.
낙엽송지대를 거쳐 암벽을 몇차레 지나 바위벼랑을 타고 오르면 정상이다.
* 출처:한국의산하 (상기 산에 대한 설명은 한국의 산하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블랙야크 명산100 인증장소
인증장소 : 정상
포인트적립 : 887
해피스텝적립 : 887
산림청 자료
특징 및 100대산 선정사유
울창한 산림과 수타계곡 등 경관이 수려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산의 형세가 마치 한 마리의 공작이 날개를 펼친 듯하다는데서 산 이름이 유래. 보물 제745호인 월인석보 제17권과 18권이 보존되어 있는 수타사(壽陀寺)와 수타사에서 노천리에 이르는 20리계곡인 수타계곡이 특히 유명
개관
<비경의 수타계곡 품은 홍천의 명산>
산이 동물 모습을 빼다박으면 영기가 있다고 한다. 영취산, 사자산, 정상부를 봉정이라 불렀던 설악산….
그래서 자장율사는 이들 기슭에 진신사리를 묻었다.
하지만 진신사리가 다 떨어졌을 때 그런 산이 발견되었다면 무릎을 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공작산이 그 대표적 사례다.
홍천강 양쪽에 벌여있는 화촌면의 동부 전역을 물받이로 삼고있는 군업천을 거슬러가며 보면 산 머리가 영락없이 새 모양이다.
양 날개를 내삼포리와 응봉산 경계까지 펼치고있는. 안공작재 이서(以西)의 산줄기들은 소용돌이처럼 돌아가면서 홍천강으로 긴 꼬리를 흔들고있다.
이를 발견한 산 감정사의 안타까운 마음이 손에 잡히는 순간이다.
남쪽 경계를 이루는 수타사계곡으로 더 잘 알려져있다.
들판을 흐르던 물이 산 속으로 들어가 비경을 연출하는 까닭이다.
누워있긴 하지만 40m 길이의 공작폭포도 있고 보물(745, 746호의 월인석보)이 발견된 유서 깊은 절도 있으니 갖출 건 다 갖췄다.
이 어찌 명산이 아니라 하겠는가?
상세정보
공작산은 강원도 홍천군 동면과 화촌면의 경계를 이루는 산으로, 공작이 날개를 펼친 듯한 산세에 암봉과 노송이 어우러져 한 폭의 동양화를 연상케 하는 산이다.
정상에서 서남쪽 능선을 따라 6km 산자락에 있는 수타사에서 노천리에 이르는 약 8km길이의 수타계곡은 암반과 계곡의 경치가 뛰어나 여름철 계곡 피서지로 이름난 곳이다.
정상에서 바라보면 홍천군 일원이 한눈에 들어오며, 풍치가 아름답고 깎아 세운 듯한 암벽이 장관을 이루는 곳이다.
정상에서 서남쪽 능선 약 6km 아래에 있는 수타사와 노천리까지 이어지는 약 8km의 수타계곡은 갖가지 멋진 바위들과 아름다운 풍경이 비할 데 없다.
산 정상에서 바라보면 홍천군 일원이 한눈에 들어오며, 봄에는 철쭉과 가을철에는 단풍이 노송과 함께 깍아 지른 듯한 바위와의 모습이 보는이의 마음을 사로잡고 눈덮인 겨울산 역시 등산객들을 매료시키는 곳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