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동장치
01 시동기 일반사항
(1) 의미
① 기관을 시동시키기 위해 흡입과 압축 행정에 필요한 에너지를 외부로 부터 공급하여 기관을 회전시킵니다.
(시동기, 기동기, 기동 전동기)
② 내연기관은 1회의 폭발을 얻어야 기관을 움직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③ 현재 건설기계에 사용되는 시동 장치는 축전기가 전원인 직류 직권 전동기 입니다.
(2) 시동기 (=전동기)의 구성
① 전기차 : 주요 권선과 철심 및 정류자로 구성되는 회전 부분 전체입니다.
② 계자 코일과 계자 철심, 브러시
③ 전자스위치
· 축전지에서 시동 전동기까지 흐르는 대전류를 단속하는 스위치 작용을 한다.
· 솔레노이드 스위치라고도 하며, 피니언을 링 기어에 물려주는 역할을 한다.
· 기동 전동기의 전자석 스위치는 마그넷 스위치라고 한다.
(3) 전동기의 종류
① 직권식 전동기(직렬)
· 계자 코일과 전기자 코일이 전원과 직렬 연결되어 있다.
· 기동 회전력이 분권 전동기에 비해 크다.(회전 속도의 변화 큼.)
· 부하가 걸렸을 때 회전 속도가 낮아진다.
② 분권식 전동기 (병렬)
· 계자 코일과 전기자 코일이 전원과 병렬 연결되어 있다.
· 회전력이 적고, 회전 속도가 거의 일정하다.(전동 팬 모터에 사용)
③ 복권식 전동기 (직권+분권)
· 직권 존덩기와 복권 전동기의 특징을 합한 것이다.
· 회전력이 크고, 회전 속도가 거의 일정하다.(구조가 복잡함.)
포스팅 내용 참조 : 어사화 지게차운전기능사 필기 > 건설기계 전기장치 > 시동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