퉁소를 한자로 적을때는 동소(洞蕭)라고 하는데 이는 소리를 내는 취구와 아래가 관통해 있다는 뜻으로 붙여진 이름이다. 우리가 흔히 대금을 퉁소라고 부르는데 대금과 퉁소는 악기의 생김새와 크기 그리고 악기를 연주하는 방법도 많이 다르다. 악기의 모 양과 연주법은 단소와 비슷하지만 그 크기가 다르고 단소에는 없는 청 구멍이 있다. 옛 문헌인 고려사에 악기의 이름이 소개 되어있고 악학궤범에 의하면 퉁소는 중국계통의 악기이며 당악의 연주에 쓰였다고 소개 되고 있다. 또한 조선 후기의 문헌과 그림에도 퉁소의 모습이 간략히 소개 되고 있다. 퉁소는 단소와 같이 세로로 들고 부는 악기이나 악기의 크기는 단소보다 훨씬 크고 취구와 지공 사이에 대금의 경우와 같이 청공이 있 어 여기에 청을 붙이고 불었다. 그러나 현재 국립국악원에 전하는 퉁소는 청공이 없고 여섯 개의 지공이 있다. 조선시대에는 종묘제례악이나 궁중의 의식음악에 편성 되어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정악에 쓰이지 않고 민속음악에만 조금씩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퉁소는 정악이 아닌 민속음악에 주로 연주되어 서민들의 아픔과 슬픔을 달래주는 악기로 많은 사랑을 받았지만 현재는 북청사자 놀음의 반주에 쓰일뿐 거의 쓰이지 않고 있다. 특히 북청사자놀음의 반주에 쓰이는 퉁소는 퉁애라고도 하며 특이한 음색으로 인하여 관북지방 음악의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내는데 이 악기에는 청공이 있고 다섯 개의 지공이 있다. 퉁소의 명인으로는 작고한 대금의 명인인 한범수 선생이며 퉁소를 이용한 시나위를 만들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