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구용어모음
가라꾸 - 일본어 가라꾸(空/から/クッション)에서 온 말로 空/から/クッション(가라쿠숀)에서 앞의 세 글자만 따서 부른 것이며 空/から/는 '빈, 비어있는'의 뜻으로, 흰 공으로 적구를 먼저 치지 않고 당구대의 빈 곳 즉, 고무 쿠션을 먼저 친 후 적구를 맞히는 공략법.
가야시 - 흔히 '가오시'라고 부르는데 '가야시(かやし)'가 맞는 말. 3쿠션 게임의 포지션 플레이와도 의미는 비슷하지만 주로 4구 경기에서 1, 2 적구를 치기 편한 포지션으로 모으는 것을 의미. 'かやし'는 'かやす'가 기본형이며, 'かえす'와 같은 뜻으로 '되돌리다.'의 의미이며 흰공으로 적구를 맞춘 뒤, 적구를 다시 치기 좋게 모이도록 되돌린다는 뜻. 'かやし'는 'よせだま'라고도 하는데, 이때의 'よせ'는 '끌어 모음'의 뜻을 가지고 있다.
개더 샷(GATHER SHOT) - 한 개 이상의 볼을 다른 볼에 쳐서 샷이 끝났을 때 볼이 다시 돌아와 다음에 쉬운 샷을 할 수 있도록 볼을 모으는 것. 가야시, 포지션 플레이 등의 단어와 비슷한 의미.
걸리 테이블 - 영어의 걸리(Gully)라는 단어의 뜻은 '도랑, 협곡, 하수구' 등을 의미하며 당구에서의 걸리 테이블(Gully Table)은 포켓에 들어간 공이 레일을 따라 한 곳으로 모이도록 고안된 종류의 테이블을 의미. 국내에서 생산되는 거의 모든 포켓 테이블은 이 걸리 테이블의 형태를 갖고 있지만 외국산 포켓 테이블 중에는 포켓에서 직접 다시 공을 꺼내야 하는 종류의 테이블도 많다.
게임 볼 - 마지막 한 개의 공을 포팅(포켓에 넣는 것)시켜서 그 게임을 승리로 이끌었을 때 그 마지막 남아있었던 적구를 게임 볼(Game Ball)이라고 한다. 그렇지만 캐롬 게임에서도 승리를 얻기 위해 마지막으로 득점하는 공을 게임 볼이라 함.
겐뻬이 - 당구에서의 겐뻬이(源/げん/+平/へい/=げんぺい)는 두 팀으로 편을 나누어 시합을 한다는 뜻이며 1072년경 일본의 源(げん)씨, 平(へい)씨가 두 패로 갈라 싸운 데서 유래.
겐세이 - 겐세이(牽制/けんせい/)의 한자를 그대로 읽으면 '견제'가 됨. 의미 그대로 상대방의 기술을 방해하거나 견제하기 위해 자신의 흰 공을 상대방 흰 공 앞에 가려 놓는다거나 하는 상태이다. 3쿠션 경기 중의 세이프티 플레이(Safety Play)를 포함하여 상대방이 쉽게 득점하지 못하도록 실수를 유발하려는 행위.
구멍치기 - 3쿠션과 4구의 공략법 중에서 속어로 가라쿠라고 하는 쿠션 먼저치기 패턴의 일종이며 수구가 1적구에 도달하기 전에 쿠션을 먼저 치고 1적구와 쿠션의 안쪽으로 진행.
그랜드 에버리지 - 당구에서의 에버리지(Average)는 총 득점을 총 이닝 수로 나누어 백분률로 표시한 것으로 이닝당 득점수를 나타내게 되며 각 플레이어의 능력치를 표현. 한 대회 혹은 일정 기간 동안의 에버리지를 합산한 것을 그랜드 에버리지(Grand Average)라고 하고 제너럴 에버리지(General Average)도 같은 의미로 쓰임.
그립 - 손에서 나는 땀 등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당구 큐의 밑단에 씌우는 고무, 실 등 재질의 그립 자체를 의미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의 그립(Grip)은 Wrap, Handle이라는 말과 같은 뜻으로 사용. 또한 여러 가지 타법을 구사하기 위해 큐의 밑단을 잡는 방법과 위치 등을 이야기할 때 이 그립이라는 말을 사용하기도 함.
기레이 - 멋진 샷을 성공시킨 상대에 대한 감탄사로 '기레이'라는 표현을 하는데 이 말은 '아름답다, 예쁘다, 깨끗하다.' 등의 뜻을 가진 일본어 기레이(きれい)에서 온 말.
기리까에시 - 3쿠션 게임의 공략법 중 하나이며 일본어 기리까에시(切[き]り返[かえ]し)에서 온 말로 기본형은 切り返す이며 '되받아치다', 혹은 '바꾸다'라는 뜻. '기레까시', '기리까시'는 틀린 말이며 요즘에는 '비껴치기'라는 우리말을 많이 사용.
끌어치기 - 큐볼의 중심 하단 부분을 쳐서 뒤로 돌아오는 성질을 갖도록 하는 샷을 의미. '끌다.'라는 의미의 일본어 '히끼(引[ひ]き)'에서 파생된 '시끼, 식기, 싯기' 등의 속어를 많이 사용. 영어로는 Draw Shot이라고 함.
나메 - 일본어 기본형 なめる(핥다)의 명사형인 나메(なめ)에서 온 말로 큐볼로 적구를 맞출 때 얇게 살짝 스치고 지나가게 치는 기술. 흔히 '나미'라고 부르며 한자의 엷을 박(薄)자를 써서 박구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우리말로 '얇게치기'가 적당.
나사 - 羅紗. '라사'라고도 하며 당구대 위를 덮고 있는 천을 부르는 말로 '모직물'을 뜻하는 포르투갈어 라샤(raxa)에서 온 외래어. 영어로는 (Billiard) Table Cloth.
내추럴 - 내추럴(Natural)은 성공적인 샷을 하는데 자연스러운 각도와 스트로크가 필요할 경우를 말함. 쉽게 볼 수 있고 구사할 수 있는 샷을 총칭하며 흔히 이야기하는 '기본 공'. 이 용어에서 파생된 말로, 비틀기를 가하지 않는 경우의 수구의 구름을 의미하는 말로 내추럴 롤(Natural Roll)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기도 하며, 큐볼을 자연스럽게 구르도록 하며 중심을 칠 때보다 스피드가 빨라지도록 치는 정도의 일반적인 사이드 스핀을 일컬어 내추럴 잉글리시(Natural English)라고 함.
너스 - 너스(Nurse)는 볼을 쿠션이나 볼 사이가 서로 밀접하게 붙도록 하여 쉽게 연속으로 득점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의미. 쿠션을 따라가며 연속득점을 하며 국내에서 많이 쓰이는 세리(Series)치기라는 용어와 같은 의미로 사용. 국내에서는 너스라는 용어보다 세리, 세리치기 등으로 더 많이 불리고 있으며 형태에 따른 구분을 하지 않지만 조금 더 세분화 한다면 쿠션에 붙어있는 1목적구와 큐볼의 키스를 이용하여 제자리에서 계속 득점하는 척 너스(Chuck Nurse), 쿠션에 근접해 있지 않은 상태로 붙어있는 두개의 목적구 사이를 왕복하는 패스 너스(Pass Nurse), 쿠션에 근접한 두개의 목적구를 쿠션을 따라 몰고 가는 레일 너스(Rail Nurse) 등으로 구별할 수 있음.
네지마와시 - 일본어 네지마와시(ねじまわし)에서 온 말로 ねじる는 '비틀다'의 뜻. ねじる와 まわし가 합쳐져서 ねじまわし가 되었는데 이것은 큐볼이 당구대를 한 바퀴 이상 돌아서 적구를 맞추는 기술. 흔히 네지마와시를 우리나라에서 변형시켜 부르는 레지, 두 번 돌린다는 뜻으로 쓰는 니주(세 번 돌리는 것을 산주)등의 용어는 잘못된 것이며 요즘에는 대회전, 두 번 돌리기, 크게 돌리기 등의 용어를 사용.
니꾸 - Double Hit. 한 번의 샷에서 큐팁이 수구를 두 번 이상 치게 되는 파울을 니꾸 혹은 니쿠, 리꾸 등으로 부르며, 공을 두 번 치게 된다는 뜻의 '이구(二球)'를 일본식으로 발음한 것이 속어로 굳어진 경우. 이것은 일종의 미스 샷이며 파울이 되므로 공격권을 상대에게 넘기게 됨. 큐볼과 제1목적구와의 거리, 혹은 쿠션 먼저치기 패턴의 샷에서 쿠션과 큐볼의 거리가 경우 두 번을 치게 될 수 있기 때문에 이 두번치기 파울이 예상되면 다른 공략법을 선택하는 것이 좋음.
닙 드로우 - 일반적인 끌어치기로 미스가 될 가까운 공을 칠 때 쓰이는 짧고 예리한 끌어치기 타법을 닙 드로우(Nip Draw)라고 하며 숙달되지 않은 하점자의 경우에는 구사하기 어렵고 고점자의 경우에 큐볼에 매우 가깝게 근접되어 있는 제1목적구에 대해 짧고 예리하게 끌어치기를 하는 닙 드로우(Nip Draw)라는 타법을 구사할 수 있다.
다마 - 일본어 다마(玉/たま/, 球/たま/)에서 온 말이며 우리말로 '구슬, 공'이란 뜻.
다테 - 일본어 다테(縱/たて/) 는 '세로'를 뜻하는 단어이며 당구에서는 큐볼에 회전을 주지 않거나 약간만 주고 각도만을 이용하여 세로로 길게 치는 공략법. 흔하게 사용되는 '다대'는 틀린 말이며 우리말로 '길게치기' 정도가 어울림.
다이아몬드 - 시스템 사용을 위해 테이블 상부 틀(Rubber Frame)위에 그려놓은 참고 마크. 이것을 표준점으로 삼은 기본 시스템 중에 윌리 호프의 '다이아몬드 시스템'이 있음. 처음에는 다이아몬드 모양이었지만 지금은 여러 가지 모양으로 마킹이 됨. 흔히 '포인트'라는 말로 표현. 시각적으로 잘 구분될 수 있도록 대부분 상부 틀 표면의 색깔과 대비되는 색상을 사용하며 주로 자개, 파이버 등의 재질이 대부분이며 인레이(Inlay)방식으로 제작. 테이블의 긴 쪽에는 7개, 짧은 쪽에는 4개의 다이아몬드가 들어감. 전통적인 당구대 제작에 있어서는 다이아몬드 모양이 대부분이었지만 현재에 와서는 원, 사각, 기타 여러 가지 모양이 사용됨.
다이아몬드 시스템 - 일반적으로 당구에 사용되는 시스템들을 총칭하는 의미로도 사용되지만 더 정확하게 보자면 미국의 전설적인 3쿠션 영웅 중의 한 사람인 윌리 호프에 의해 정리된 시스템의 한 종류를 뜻함. 위리 호프가 창안을 했다기보다는 그의 시대 이전부터 존재해온 시스템을 정립한 것으로 보임. 큐볼이 출발하는 쪽의 코너의 기본값을 50으로 정하고 '큐볼(출발) 포인트 값 = 1쿠션 포인트 값 + 3쿠션 포인트 값', 혹은 '3쿠션 포인트 값 = 큐볼(출발) 포인트 값 - 1쿠션 포인트 값' 등의 공식으로 큐볼의 진로를 구상하는 계산방식.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Five And Half System의 원형.
담프 - 영어의 Tap에서 온 말. Tap은 Tip과 마찬가지로 큐볼의 첨단에 붙여서 큐를 보호하고 공과 큐 끝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회전을 줄 수 있게 하는 큐팁(Que Tip)과 같은 단어.
당점 - 큐팁으로 치는 큐볼상의 지점을 의미. 영문으로는 임팩트 포인트(Impact Point)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큐팁의 지름을 기준으로 상, 하, 좌, 우의 1팁, 2팁, 3팁 등으로 구분하며 다시 '상단 2팁 + 우 1팁' 등으로 표현.
더블 드로우 샷 - 우리말의 끌어치기와 같은 의미인 드로우 스트로크를 강하게 쳐서 큐볼이 적구에 맞은 다음에 쿠션에 닿아 리바운드될 때 언더 스핀이 리바운드의 속도를 이겨내어 수구가 멈춘 다음 다시 방향을 바꾸도록 하는 샷이며, 한 쿠션 위에서 끌어치기로 투쿠션 이상으로 공이 변화하는 것을 의미.
더블 라운드 로빈 - 한 팀의 한 플레이어가 다른 팀의 플레이어와 두 번 경기하는 대회 방식. Double Round Robin
더블 일리미네이션 - 한 플레이어가 두 번 질 때까지 탈락하지 않는 게임 형태를 의미하며 우리말로는 '패자부활전'. Double Elimination
더블 히트 - 한번의 샷으로 큐볼을 두번 치는 것을 의미하며 파울. Double Hit
데드 볼 샷 - 주로 포켓에서 쓰이는 용어. 제 1목적구를 친 후의 큐볼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샷. 큐볼의 스피드나 스핀을 거의 목적구로 전달하여 목적구를 친 후의 수구는 거의 움직임이 없도록 함. 포켓볼 플레이의 특성상 목적구를 포팅시킨 큐볼이 목적구를 따라 포켓에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하여 사용하는 경우나 기타 포지션 플레이에 필요한 경우에 많이 사용. 영어로 Dead Ball (Shot)이라고 하며 큐볼과 목적구 간의 거리, 타구의 힘과 속도 등의 상황에 따라 샷을 각기 다르게 조절해 주어야 하며 목적구를 타구한 큐볼을 그 즉시 세울 것인지, 특정 방향으로 얼마만큼 움직인 이후에 서도록 조종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음. 4구 경기의 세리치기에서도 제1목적구에 맞은 큐볼을 제자리에 세워두고 쿠션으로 달려갔던 제 1목적구가 되돌아 나오면서 큐볼을 다시 맞추게 하여 제 2목적구를 쳐서 득점에 성공하게 하는 일종의 키스샷에도 이 데드볼이 사용됨. 흔히 '스톱볼(샷)'이라고도 함.
데드 컴비네이션 - 한 개의 볼이 컴비네이션 샷으로 포켓에 들어가도록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볼이 위치하는 것을 말하며, 데드 콤보(Dead Combo) 또는 온 콤보(On Combo), 컴비네이션 온(Combination On) 등으로 부르기도 함. 포켓게임에서 컴비네이션 샷으로 성공할 수 있는 포지션 전체를 의미. Dead Combination
덴방 - 다이아몬드 모양 등의 포인트가 찍혀있는 당구대 상부의 틀 윗면. 영어의 Rubber Frame과 같은 뜻이며 우리말로는 윗틀이라는 표현을 사용. 각 모델들마다 이 Rubber Frame의 재질 및 구조, 강도와 탄성등이 다르게 설계되며 그에 따라 공의 구름에 있어서의 미묘한 차이가 나타남.
드로우 샷 - 큐볼 중심 아래쪽을 쳐서 목적구를 맞은 후의 큐볼의 진로가 뒤로 끌리는 형태의 샷을 말하며 우리말의 끌어치기와 같은 의미.
드롭 포켓 - 테이블의 푸트 끝으로 볼을 자동으로 회수하는 레일 장치가 없는 포켓 테이블을 의미. 포켓에서 손으로 직접 공을 들어내야 함. 걸리 테이블과는 반대의 의미이며 외국산 포켓 테이블은 거의 대부분 이 드롭 포켓 스타일이 많음.
디펜스 플레이 - 자신이 공격이 실패했을 경우 다음 선수에게 더 어려운 형태의 공 배치가 만들어지도록 하는 경향의 경기 운영을 의미. 세이프티 플레이(Safety Play)
라미네이티드 - Laminated. '얇은 쪽(판)으로 덧붙여진'의 뜻. 당구에 관련해서든 크게 두 가지 부분에 쓰이는데 첫 번째는 Laminated Tip이다. 두꺼운 한 장의 가죽으로 제작된 단층팁과 달리 얇은 가죽을 층층으로 포개고 접착해서 만드는 팁을 의미하며 국내에서는 쪽팁, 일본 등지에서는 적층팁이라는 단어가 사용됨. 세로로 부가되는 충격을 여러 층의 탄력으로 분산시키는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반면, 얇은 가죽의 조직이 두꺼운 가죽의 것보다 세밀한 까닭에 초크칠이 잘 되지 않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며 특히 각 층 사이의 접착제 성분이 많이 노출된 경우 초크가 덜 묻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 단어가 사용되는 또 하나는 상대(Shaft)인데 여러 층의 나무를 층층으로 포개고 접착해서 강한 탄력을 발생시키는 상대가 만들어진다. 국내에서는 모든 것이 '쪽상대'라는 용어 안에 다 뭉뚱그려져 있지만 사실은 국내 메이커인 한밭의 플러스 파이브 모델이나 유니버설의 스마트 샤프트, 미국 프레데터사의 314 혹은 Z상대처럼 생긴 상대보다는 Meucci사의 Black Dot Shaft와 같이 여러 층을 세로로 포개서 만든 상대를 주로 표현하는 말로 사용.
라운드 로빈 - 한 팀의 플레이어가 다른 팀의 플레이어와 한 번씩만 경기하도록 하는 경기 방식을 부르는 말. Round Robin
래그 - Lag. 두 선수가 초구의 권리를 획득하기 위해 순서를 정하는 방식. 흔히 당구에서는 뱅킹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세계 대회의 룰북 등을 보더라도 뱅킹보다 래그라는 단어를 주로 사용함. 당구에만 쓰이는 단어는 아니며 흔히 볼 수 있는 '동전을 던져 나오는 앞, 뒷면으로' 순서를 정하는 따위도 모두 래그의 범주에 들어간다. 당구 경기의 래그 방식은 대부분 같으며 그 방법은 ① 두 선수 각자의 공을, 당구대 단축 레일 두 번째 포인트 선상에 두고 ② 각기 그 공을 타구하여 반대편 단축 레일을 향해 샷을 하고 ③ 반대편 단축 레일을 맞고 되돌아 온 공들이 정지를 하게 되면 최초 타구를 했던 단축 레일에 더 가까이 근접하게 한 선수가 초구에 대한 권리를 갖게 됨. ④ 몇 가지 세칙들이 있으며 이 부분에 대해서는 각 대회 주최 측이 밝힌 요강에 따라 변경이 가능. 그러나 의도적으로 룰을 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공통 세칙에 따라 래그를 진행. 대표적인 것으로 래그 도중에 사이드 레일(긴 쿠션)에 공이 닿은 경우 파울이 아니며, 두 선수의 공이 충돌한 경우에는 중앙을 넘어간 선수가 패하게 됨. 반대편 짧은 쿠션에 맞고 되돌아온 공이 최초 타구를 했던 짧은 쿠션에 닿거나 닿지 않거나 모두 파울이 아니며 일반적으로 심판의 'Play!' 선언에 따라 동시에 타구를 해야 하지만 동시에 타구를 하지 못했더라도 나중에 타구를 하는 선수는 먼저 타구한 선수의 공이 반대편 짧은 쿠션에 닿기 전에 타구를 하여야 함. 그러나 심판의 시작 선언이 있기 전에 먼저 급하게 타구하여 상대 선수의 마음을 급하게 만들어 이득을 가지려는 것 또한 명백한 파울행위이다.
래그 포 브레이크(LAG FOR BREAK) - 스타트 플레이어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절차. 각 플레이어는 헤드열 뒤에서 샷을 하여 헤드 쿠션에 될 수 있는 한 가까이 가도록 한다.
랙 - 포켓볼에서 초구 모양으로 공을 만드는 행위를 랙이라 하며, 이를 위해 사용하는 삼각형의 도구 역시 랙(트라이앵글)으로 부른다. Rack
러닝 잉글리시 - 사이드 스핀을 수구에 가하여 비틀기를 사용하지 않은 때보다 빠른 속도와 예리한 각도로 적구나 쿠션으로부터 리바운드 되도록 하는 샷을 의미. Running English
러버 쿠션 - 테이블 내측에 공이 리바운드 되도록 부착해 놓은 고무쿠션. Rubber
런 - 한 이닝 내에서의 득점수를 뜻하는 말. 캐롬 종목에서는 한 경기를 통해 가장 높은 런을 기록한 이닝을 하이 런High Run)으로 부르며 포켓 경기에서는 초구 브레이크 샷 이후 단큐로 모든 공을 포팅시켜 경기를 끝내는 일을 런 아웃(Run Out)이라 하기도 함.
런 아웃 - 연속으로 득점을 계속하여 상대방에게 경기를 못하게 한 상태로 세트를 끝내는 일을 뜻하며 포켓볼에서는 이것을 '박스'로 부르기도 함. Run Out
레일 - 당구대 프레임 안쪽과 고무 쿠션을 일컫는 말. Rail
레일 너스 - 4구 등 스트레이트 빌리어드 종목에서 쿠션을 따라가며 공을 일정한 형태로 모아 연속득점을 하는 방법을 말하며 세리(Series), 혹은 세리치기와 같은 의미. Rail Nurse
로스트 - 게임을 지는 것을 의미하며 경기 기록지 상에는 'L'로 기록. Lost
리버스 - 3쿠션 종목 공략법 중의 하나로 첫 번째 쿠션에 입사된 수구가 역회전력을 갖게 하는 샷을 의미. '리보이스'라고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은 잘못된 표현. Reverse
리버스 잉글리시(REVERSE ENGLISH) - 수구의 방향이 거꾸로 되도록 수구에 가하는 사이드 스핀. 볼이 적구나 쿠션에 맞고 리바운드되어 비틀기를 사용하지 않고 칠 때보다 속도가 줄어든다.
링 워크 - Ring Work. 큐를 만드는 몇 가지 공법 중에서 주로 장식을 위해 사용되는 한 방법. 링의 재질은 무척이나 다양하며 링 위에 인레이 장식이 덧붙여지는 경우도 많은데 링워크는 섬세한 장식이지만 사실은 중심에 축이 되는 목재가 있고 거기에 장식된 링을 끼워 넣는 작업. 목재를 위주로 표현한다면 이것도 하나의 인레이라고 볼 수 있는데 목재를 파내고 그 부분에 링을 끼워 넣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외부 표면에 인레이 작업이 가해진 링이라면 가격이 높아지게 되며 얇은 링만 있는 것이 아니라 장식에 목적을 두고 큰 링을 끼우는 경우도 많다. 고급 수제큐의 경우 상아 등의 고급 소재도 사용. 메이커의 제작 방식에 따라 링 모양으로 가공될 수 있는 소재라면 어떤 재질이어도 상관이 없다. 또한 링의 크기나 색상, 재질에는 정해진 규격이 없다.
마세 - 큐를 수직으로 30도 이상 90도까지 세워서 내려쳐 수구에 일반적인 샷으로 가능한 것 이상의 회전을 줄 수 있는 타구법으로 프랑스어 Masse에서 온 말. 흔히 맛세이 등으로 부르지만 잘못된 표현.
마와시 -흔히 사용되는 왜색의 당구 용어 중에 하꼬마와시, 우라마와시, 오마와시, 네지마와시 등 단어의 접미사로 사용되고 있으며, 일본어 まわし는 '돌리다'의 뜻. 우리말로는 제각돌리기, 뒤돌리기, 앞돌리기, 크게(비틀어)돌리기 등으로 표현.
메카니컬 브리지 - 일반적인 브리지(큐걸이)가 힘든 배치에서 손을 대신할 수 있는 기구(레스트 등)를 사용하는 브리지를 매캐니컬 브리지라고 함. Mechanical Bridge
미스 큐 - 큐로 공의 당점을 정확하게 치지 못하여 미끌어지는 경우. Miss Que
밀어치기 - 수구의 중간 이상, 상단을 쳐서 최초 진행방향과 같은 앞쪽으로 수구를 계속 진행시키는 샷이며 영어로는 Follow Shot이라고 함.
바킹 - 罰金/ばっきん. 흔히 '빠킹'등으로 부르지만 정확한 발음은 '바킹'. '벌금'이란 뜻으로 しろ(시로)를 했을 경우 벌점을 받는다는 뜻. 우리말로는 벌점 정도가 적당.
반사각 - 공이 쿠션, 혹은 다른 공과 부딪친 후 되튀어 나오는 각을 의미.
뱅킹 - 공격 순서를 정하기 위해 테이블 긴 쪽으로 횡단시키는 뱅크샷을 흔히 뱅킹이라 하지만 이 용어의 근거는 확인된 바 없으며, 원래는 래그(Lag)라는 용어를 사용.
밸런스 포인트 - 큐의 무게중심점으로 큐대를 받침대에 올려 놓았을 때 균형을 이루는 지점. 보통 밑둥에서 한 뼘 정도(약 18인치)되는 지점. Balance Point
버트 - 상대(Shaft)와 함께 큐를 구성하는 하대를 영문으로 표시할 때 쓰이는 말로, 큐 조인트 부분에서 밑둥 고무에 이르는 부분. Butt
뱅크 샷(BANK SHOT) - 적구가 포켓에 들어가기 전에 한 개 이상의 쿠션에 맞을 경우. 우연히 맞거나 쿠션에 붙어 있는 경우는 쿠션이나 뱅크로 인정하지 않는다. 이 샷은 분명하지 않기 때문에 콜을 하여야 하는 샷의 경우 이를 구두로 지정하여야 한다.
브레이크(샷) - Break Shot. 포켓볼에서 랙으로 모아둔 공을 분산시키는 샷(초구)을 의미하며, 일반적인 플레이를 위한 메인 큐와 달리 브레이크 시에는 이 샷에 어울리는 큐를 따로 사용하며 브레이크 큐라고 함.
브레이킹 바이얼레이션(BREAKING BIOLATION) - 오프닝 브레이크 샷에만 적용되는 일정한 룰의 위반. 개별 게임에서 특별히 규정하지 않았을 경우 브레이킹 바이얼레이션은 파울이 된다.
브리지(BRIDGE : 전체 게임) - 큐걸이라고도 하며 플레이 중에 큐의 샤프트 끝을 고정시키는 손의 모양. 메커니컬 브리지.
블라인드 드로(BLIND DRAW) - 토너먼트 게임에서 플레이어들을 완전히 임의로 짝을 짓는 방식.
상대 - 상, 하대로 나누어지는 2피스 큐를 분리했을 때의 윗부분을 의미하며 영문으로는 Shaft라고 함.
선골 - 큐 앞쪽 끝부분의 팁이 붙는 지점, 팁 바로 밑의 하얀 부분을 의미하며 타구시의 충격에서 상대의 목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함. 현재는 파이버 종류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예전에는 주로 코끼리 등 동물의 뼈나 이빨을 사용했었기 때문에 앞 선(先)자와 뼈 골(骨), 혹은 뿔 각(角)자를 써서 선골, 선각이라고 부름. 영문으로는 Ferrule이라고 하며 흔히 송골, 성골 등으로 부르는 것은 잘못된 표현.
세이프티 배틀 - Safety Battle. 3쿠션 등 캐롬 종목에서도 볼 수 있지만 주로 포켓 경기에서 더 많이 볼 수 있는 광경. 서로 상대방에게 어려운 포지션을 주기 위해 득점을 포기한 상태로 서로 세이프티 플레이만을 계속하게 되는 상황을 세이프티 배틀이라고 함.
세이프티 플레이 - Safety Play. 자신이 공격이 실패했을 경우 다음 선수에게 더 어려운 형태의 공 배치가 만들어지도록 하는 경향의 경기 운영을 의미. 디펜스 플레이(Depense Play)와도 거의 동일한 의미로 사용.
센터 스포트(CENTER SPOT) - 테이블의 정확한 센터 지점
스네이크 샷 - 두개의 쿠션만을 이용하여 3번의 쿠션을 만드는 샷으로 영문으로는 더블 레일(Double Rail)이라 부름
스누커 - 52.5mm 사이즈인 22개(큐볼 포함) 공으로 즐기는 당구 경기 종목.
스로우 - Throw. 큐볼에 회전을 실은 상태로 목적구를 타격하거나, 혹은 큐볼에는 회전이 없지만 1목적구의 어느 한 측면을 타격하여 자연발생적인 회전을 일으켜 2목적구를 맞추는 경우 등에서 이 스로우 현상을 목격할 수 있다. 큐볼이든 아니든 어떤 공이 가지고 있는 회전력이 다음에 충돌하는 공에게는 그 반대의 회전력을 부여하면서 톱니바퀴처럼 맞물려 돌아가게 되는 현상을 스로우라고 함. 물론 구형체인 공이 회전력을 지닌 상태로 나사지 위를 구르다보면 회전 방향에 따라 일직선이 아닌 한쪽 방향으로 흘러가게 되는데 그 현상 역시 마찬가지로 스로우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국내식 4구나 3쿠션 경기 등의 캐롬 종목에서도 많이 응용이 되는 현상이지만 특히 포켓 종목에서 같은 두께로 목적구를 맞추거나 컴비네이션 샷을 했을 경우에 처음에 부가한 회전력의 방향과 양에 따라 그 회전력을 전이 받은 다음 공의 '흘러가는 정도'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최초의 회전력이 부여된 후 공들의 충돌에 의해 톱니바퀴처럼 회전력이 반대로 맞물려 돌아가며 A라는 진행 방향에 대하여 B라는 방향으로 흘러가게 되는 현상.
스크래치(SCRATCH) - 예상하지 않은 키스 샷이나 예정하지 않은 타임 샷으로 인해 우연히 득점하는 경우
스탠스 - 타구시의 몸 자세 중 다리와 발의 위치와 모양을 전체적으로 부르는 용어이며 이 스탠스에 따라 몸의 무게 중심의 이동 및 상체 포즈의 열림과 닫힘이 표현되므로 대단히 중요한 기초 개념.
스톱 샷 - 타구후 큐볼이 느리게 진행하거나 멈추도록 하는 타법. 데드 볼 샷 참조.
스트로크 - 우리 표현으로는 '타법'에 가깝다고 볼 수 있는데 타구 전후의 큐의 이동 모양을 의미하며 이 모양에 따라 공의 성질이 변화됨
시로 - 白, しろ. 흔히 '히로'라고 말하는데 잘못된 발음. しろ는 흰 색을 의미하며 즉, 국내식 4구 경기 중에 흰 공(큐볼)으로 상대방의 흰 공을 맞추는 파울을 범했을 때 쓰는 용어이다.
에버리지 - Average. 한 게임의 총 득점을 총 이닝수로 나눈 평균 득점률. 10이닝에 20점을 득점했다고 가정할때의 에버리지는 2.0
앵글드(ANGLED) - 포켓의 코너가 수구를 적구에 직접 샷하는 것을 방해할 경우
앵글 샷(ANGLE SHOT : 포켓 게임) - 적구에 샷을 하여 적구를 일직선이 아닌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의 샷.
어라운드 더 테이블(AROUND THE TABLE) - 수구가 보통 두 개의 짧은 쿠션을 포함하여 3개 이상이 쿠션을 쳐야 하는 샷.
오마와시 - 일본어 大回[おおまわ]し이며, 大(おお) + 回(まわ)し, まわし는 "돌리다/まわす"의 명사형. 따라서, 大回し는 당구대를 크게 돌려치는 기술을 의미이다. '오마오시', '오마시'등은 틀린 말.
오사마리 - 일본어 동사 중에 おさまる(오사마루)라는 단어가 있는데 발음은 같아도 한자에 따라 뜻이 달라지며 '?まる : 수습되다. 진정되다. / 納まる : 수납되다, 정착, 안주하다. / 治まる : 안정되다. 평온해지다. (아픔)가라앉다. / 修まる : 행실이 바로잡히다.' 등의 뜻으로 볼 수 있으며 이 4가지의 단어는 모두 '오사마루'라고 발음. 이 동사들의 전체적인 의미를 보자면 '어떠한 일이나 혼란이 가라앉고 진정되어 안정된 상태로 이르다'라고 할 수 있다. 이 동사 おさまる(오사마루)의 명사형이 바로 おさまり(오사마리)이다. 뜻은 역시 한자에 따라 다르나 '진정, 안정, 수습. 해결. 납입' 정도의 의미가 되며, 결국 '당구대위에 남아있던 당구공을 한번에 깨끗하게 수습(해결) 했다' 혹은 '남아있던 점수를 모두 끝내다.'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경향이다. '토리키리'도 이 오사마리와 비슷한 상황에서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데 '토리키리'에 다소의 강조성이 있다.
오시 - 수구의 상단을 쳐서 밀어친다는 뜻으로 우리말로는 밀어치기 정도가 적당. 일본어 '오시(押[お]し)'는 ひき와 반대되는 기술로, 큐볼이 제 1 목적구를 타격한 후에도 앞으로 밀고나가는 타격법이다. 기본형 '押(お)す (밀다,누르다)'의 명사형.
우라가에 - 흔히 우라까이라고 부르지만 사실은 일본어 우라가에(裏返, うらがえし)에서 온 말로서 당구에 관련해서는 나사의 한쪽 면을 사용한 후, 다른 한면을 사용하기 위해 뒤집어서 까는 것을 의미. 뉴스 기자들 사이에서는 '(기사를) 베껴쓰다.'의 의미로도 사용.
우라마와시 - 우라마와시(裏回[うらまわ]し)는 裏(うら) + 回(まわ)し, うら는 '뒷쪽', '반대편', '(외형에 반대되는) 안쪽'등의 뜻. 따라서 裏回し는 적구의 뒤쪽으로 흰공을 돌려 치는 기술을 의미. 옷의 안감을 우라라고 하며 그 안감을 바깥으로 '뒤집는' 일을 '우라가에'라고 하는 것도 같은 의미이며 '우라마시'는 잘못된 표현.
원 포켓 - 풀 게임의 일종으로 한 개의 포켓에만 포팅을 시키는 종목.
이닝 - 공격권이 다음 경기자에게 넘어가기까지의 진행 타임을 의미. 일반적으로 '한 큐에 몇 점을 쳤다.'라는 표현. Inning.
이미지 볼(포인트) - 큐볼과 목적구의 충돌 시 두 공의 중심이 위치할 곳을 미리 예상하는 조준 방법을 이미지 볼이라고 하며, 충돌 당시에 큐볼의 중심이 위치할 것으로 예상하는 지점을 이미지 포인트라고 함.
입사각 - 공이 리바운딩되어 나오기 전까지 목표지점을 향해 진행해 가는 각을 의미하며 반사각과는 반대 개념.
적구 - 플레이어의 큐볼을 수구라고 부르기도 하며 이 수구를 제외한 나머지 표적이 되는 공들을 목적구 혹은 적구라고 함. 수구와 접촉하는 순서에 따라 제 1(목)적구, 제 2(목)적구 등으로 불리며 영문으로는 Object Ball이라고 함.
접시(샷) - 두개의 쿠션만을 이용하여 3번의 쿠션을 만드는 샷이라는 점에서 위의 스네이크 샷과 상당히 비슷하지만 스네이크 샷은 이름 그대로 구불거리는 모양, 즉 과도한 스핀으로 인해 정상적인(Natural) 구름이 아닌 상태에서 득점하려는 샷에 가까운 의미이며, 접시 샷은 그에 반하여 정상적인 회전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는 차이점이 있다. 영문으로 플레이트 샷(Plate Shot)이라는 이름을 우리말로 표현한 이름.
조단조 - 더블 레일(Double Rail) 샷을 의미하는 속어.
조인트 - 현재의 2피스 큐의 중간에서 상, 하대를 분리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고안된 중간 연결 부분. 둘이지만 하나인 것 같은 타구감을 주기 위해 각 큐 메이커들은 여러 가지 소재와 기술을 사용. Joint
조인트 컬러 - Joint Collar. 상, 하대의 조인트 부분은 상, 하대의 목재 부분과 다른 재질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주로 링 워크(Ring Work)를 통해 링들을 삽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상, 하대의 목재와 다른 재질과 색깔로 되어 있으며 파손 시에는 수리도 가능.
처크 너스(CHUCK NURSE) - 한 개의 적구가 쿠션에 붙어 있고 두 번째 적구는 쿠션과 떨어져 첫 번째 볼에 붙어 있을 때의 샷.
초구 - Braek(Shot). 경기를 시작하는 처음 샷을 의미.
초크 - 당구에서 사용되는 초크는 큐로 공을 칠 때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루의 덩어리. 사전적 의미를 보면 '유공충 또는 기타 미생물이 쌓여 만들어진 흰가루 모양의 부드러운 탄산석회'라고 설명하고 있으며 복잡한 기타 과학적 설명을 빼고 현재 분필(백묵)이나 당구 재료용 초크로 쓰이고 있는 부분만 살펴보면 '현재 초크라 해서 같은 용도로 쓰이고 있는 백묵은 구운 석고와 탄산칼슘 분말을 물에 개어 틀에 넣고 일정한 모양으로 굳힌 것이다.'라고 소개가 되어 있다. 당구의 유래가 어디에서 시작되었는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로 이견이 많지만 고대의 당구와 근대의 당구의 경계를 이루는 시점은 아마도 공에 '회전력'을 줄 수 있게 된 때인데 큐팁을 발명한 밍고(M. Mingaud)와 초크를 발명한 카(John Carr)의 획기적인 발상 이후가 되어서야 근대 당구의 틀이 완성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각 검색 사이트의 지식 검색에서 초크에 대한 지식을 찾아보면 당구용 초크를 발명한 사람의 이름을 '잭 카(Jack Carr)'로 말하고 있지만 이 'Jack'은 Carr가 사용하던 일종의 닉네임이었으며 그의 본명은 John Carr가 맞다. 당구 역사의 초창기를 보면 그저 막대기 끝으로 공의 중심을 밀어대고 있었을 뿐 현재의 플레이와는 확연히 다른 점이 있었으며 그것은 큐미스를 방지할 대책이 없었기 때문에 공에 회전을 가하지 못했다. 19세기 초 Carr가 초크를 발명-발명이라기보다는 '발견'이라고 보아야 하겠지만-하여 '매직 파우더'라는 상표를 붙여 판매를 하게 된 이후 사람들은 공에 회전을 주는 일 자체를 'English'라고 부르게 되었다. Carr의 발견 이후, 초크의 내용 성분상의 큰 변화는 없었다고 볼 수 있으며 혹 특별한 노하우가 적용된 제품이 제작되었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해당 제작사들의 기밀로 다루어지기 때문에 일반인들에게 공개되지 않고 있다. 다만 확실한 것은 분말이 미세하고 팁에 잘 발라질수록 고급으로 판매되고 있지만 그러한 느낌상의 차이가 실제의 플레이에 끼치는 영향은 그리 크지는 않다.
캐롬(CAROM) - 적구나 쿠션을 칠 때 수구가 적구를 치고 또 다른 적구를 칠 때.
컴비네이션 - Combination. 풀 게임에서 큐볼로 1목적구를 타격하고, 그 1목적구로 다른 공을 재차 타격하게 하여 득점에 이르는 종류의 샷. 수구가 포켓에 들어갈 볼을 치기에 앞서 다른 볼을 치는 것.
컴비네이션 온(COMBINATION ON) - 한 개의 볼이 컴비네이션 샷으로 포켓에 들어가도록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볼이 위치하는 것. 데드 콤보(Dead Combo) 또는 온 콤보(On Combo)라고 부르기도 한다.
컨텍트 포인트 - Contact Point. 큐볼과 1목적구 등, 공과 공이 부딪칠 때 서로 접촉하게 되는 정확한 지점을 의미.
컷 샷(CUT SHOT : 포켓 게임) - 수구를 적구의 중심 이외 부분에 쳐서 처음 수구의 방향과 다른 부분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샷.
콜 샷(CALL SHOT : 포켓 게임) - 샷을 하기 전에 플레이어가 볼과 볼이 들어갈 포켓을 지정해야 하는 조건.
쿠션 - Cushion. 당구대에서 당구지로 덮여있는 고무부분. 레일(Rail), 뱅크(Bank), 혹은 러버(Rubber) 쿠션이라고도 함. 쿠션의 탄력을 표현하는 단위로는 하드니스(Hardness)가 사용되며 국제 경기용 당구대에 쓰이는 쿠션의 경우 44하드니스를 정식 규격으로 하고 있다. 국내에서 흔히 '로구로 쿠션'이라고 잘못 표현하는 K-33호 쿠션은 22하드니스이다.
큐 - 당구를 칠 때 사용하는 막대로 상대(Shaft)와 하대(Butt)로 구분되며 큐 역사의 초기에는 메이스(Mace)라고 불리던 곡선.
큐 버트(BUTT OF CUE) - 팁의 반대쪽에 있는 큐의 두꺼운 부분. 두 쪽으로 된 큐의 경우에는 조인트 부분까지를 버트라 한다.
큐 볼 인 핸드(CUE BALL IN HAND) - 수구는 테이블 위의 어느 지점에든지 놓고 샷을 할 수 있다. 헤드열 뒤에서의 큐 볼 인 핸드(CUE BALL IN HAND BEHIND THE HEAD STRING : 포켓 게임) 수구는 헤드열과 테이블의 헤드 끝 사이 임의 지점에 놓고 플레이를 개시할 수 있다.
크로스 코너(CROSS CORNER) - 쿠션을 치고 코너 포켓에 들어가는 뱅크 샷.
크로스 사이드(CROSS SIDE) - 쿠션을 치고 사이드 포켓에 들어가는 뱅크 샷.
크로스 테이블 샷(CROSS TABLE SHOT) - 긴 쿠션 사이의 테이블을 가로질러 득점할 경우의 샷.
클리어 볼(CLEAR BALL) - 캐롬 게임에서 사용하는 아무런 표시가 없는 흰색 볼.
클린 뱅크(CLEAN BANK) - 적구가 다른 적구에 닿지 않도록 하는 샷.
키스 - Kiss. 흔히 '쫑'이라는 말이 사용되는데 공과 공이 부딪치는 일을 모두 다 키스라고 할 수 있으며 득점을 위하여 의도적으로 키스 상황을 만드는 일도 전혀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키스로 인해 득점이 되는 경우를 키스 인(Kiss In), 반대로 득점에 실패하는 경우를 키스 아웃(Kiss Out)이라 함.
토리키리 - 取り切る(とりきる, 토리키루)란 동사가 있는데 取る+切る의 복합적인 형태를 띄며 뜻은 '1. 다 취하다, 모두 가지다, 2. 차단하다'. 이 とりきる의 명사형이 바로 とりきり(토리키리)이다. 한 번에 다 취했다(넣었다)는 뜻으로 쓰인다. 오사마리와도 비슷한 의미로 국내에서는 도리끼리라는 발음으로 많이 쓰지만 토리키리가 정확한 발음이며 오사마리에 비해 상당히 강조적인 표현. 굳이 구분을 한다면 오사마리의 경우에는 이기고 있던 게임에서 남은 여러 점을 몰아쳐서 끝낸 경우, 토리키리는 뒤져 있다가 남은 여러 점을 한 번에 다 득점하여 경기를 끝낸 상황에 대해 사용한다고 볼 수 있다.
트라이앵글 랙 - Triangle Rack. 포켓볼 종목에서 브레이크 샷을 위해 공을 모아 쌓는데 사용하는 삼각형의 기구.
트라이앵글 에이펙스(APEX OF TRIANGLE) - 적구의 그룹에서 푸트 스포트의 지점. 피라미드나 랙의 꼭대기 볼의 위치.
팁 - 당구에서 쓰이는 팁(Tip)이라는 용어는 각기 다른 세 가지 의미로 사용. 첫 번째는 레슨 등 당구를 가르치는 일에 있어서 '조언', '어드바이스' 등의 의미로 사용. 두 번째는 큐의 한 부분으로서의 팁이다. 큐의 본체를 이루는 목재와 공의 충돌에서 일어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붙여지는 가죽 덩어리를 말하며 통가죽팁도 있고 여러 장의 얇은 가죽을 포개서 접착한 쪽팁(Multi-Layerd-Tip) 등 그 종류가 무척 다양. 세 번째는 당점을 표현할 때 사용. 예를 들어 '우하단 1팁'이라면 오른쪽+아래쪽+큐팁 직경의 1배 떨어진 지점을 의미. 탭(Tap)이라고도 함.
파이브 앤드 하프 시스템 - Five & Half System. 테이블 안에서 진행하는 공들의 진로에 일정한 규칙을 부여하여 조금 더 수월한 득점이 가능하도록 고안된 몇 가지의 시스템들이 있다. 그중에서도 가장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시스템중의 하나로, 미국 3쿠션의 영웅 윌리 호프가 집대성한 다이아몬드 시스템이 모태가 되었다.
파우더 - 브리지를 한 손과 큐가 타구 시에 원활하게 미끄러지도록 바르는 분말.
팔로우 샷(FOLLOW SHOT) - 수구를 중심 위 부분에 쳐서 볼이 적구와 같은 방향으로 가도록 하는 샷. 수구에 가해지는 오버 스핀으로 인하여 수구의 속도는 정상적인 속도보다 빨라진다.
팔로우 스로우 - Follow Through. 일반적으로 득점을 위해 플레이되는 스트로크의 과정 중에서도 임팩트 타이밍의 바로 다음부터 진행되는 큐의 움직임을 의미.
페더 샷(FEATHER SHOT) - 수구가 적구를 매우 얇게 치는 샷.
페럴(FERRULE) - 큐대의 끝에 있는 보통 상아나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는 보호 기구. 이곳에 큐팁을 부착시킨다.
포스 드로(FORCE DRAW) - 수구에 극심하게 언더 스핀을 가하는 경우. 보통 수구가 처음에 볼을 치는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스핀이 적용되어 수구가 멈추었다가 뒤쪽으로 끌림.
포스 팔로우(FORCE FOLLOW) - 극심한 팔로우 샷. 수구를 친 다음에 오버 스핀이 적용되어 잠시 동안 멈추었다가 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
포지션 플레이 - Position Play. 득점에 성공한 이후 다음에 배치될 공의 포지션을 상상하며 더 유리한 형태의 배치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일을 포지션 플레이라고 함.
프로즌 - Frozen. 두 개 이상의 공들 혹은 공과 쿠션 등이 완전히 접촉되어 붙어있는 상황을 프로즌이라하며 국내에서는 '떡'이라는 속어도 많이 사용. 캐롬 종목의 경우에는 프로즌 상태의 공을 푸시(Push)하는 일이 파울로 규정되어 있으며 3쿠션 종목의 경우에는 공격권을 가진 사람이 원하는 바에 따라 그대로 두고 경기를 진행할 수도 있고, 공의 색깔에 따라 정해진 각각의 스포트(Spot)에 다시 놓고 경기를 진행할 수도 있다. 그러나 포켓 경기에서는 프로즌 상황을 포함하여 7mm이내로 근접한 공에 대한 푸시가 하나의 플레이 방법으로 인정하고 있기에 파울로 규정하지 않는다.
플루크 - 운 좋게 의도하지 않은 상황이 발생하여 득점하게 되는 일을 일컬어 흔히 '후루꾸', '뽀록'등의 단어를 사용하는데 이것은 영어의 [Fluke:요행]에서 온 말이며, 일본식 발음으로 フルク. 정식 기술로 친 것이 아니라 어쩌다가 맞은 요행수라는 뜻.
피(PEAS) - 1번부터 15번 또는 16번까지 표시된 작은 플라스틱 볼. 필(PILL).
하이 런 - High Run. 전체 게임을 통해 가장 많은 득점을 한 이닝의 득점 수.
하꼬마와시- はこまわし. 오마와시(大回し)와 비슷한 기술로 大回し는 당구대의 긴 쪽으로 공을 돌리지만 はこまわし는 당구대의 짧은 쪽으로 공을 돌려 치는 기술. 그러므로 흔히 사용되고 있는 '하꾸', '학구'등은 틀린 발음.
히까께 - ひっかけ. 기본형은 引っかける이며 의미는 '걸치다', '걸다'. 즉, 흰공으로 먼저 당구대의 쿠션부분을 치고, 다시 적구에 걸리게 치는 기술을 의미. '히까끼', '시까끼'는 틀린 말이며 걸친 공이 뒤쪽으로 끌려오도록 하는 것을 '뒤깎기'로 부르는 것 역시 잘못된 표현. 우리말로 표현한다면 걸어치기 정도가 적당.
히끼 - 引[ひ]き. 흔히 '시끼', '식끼'라고 하는데 정확한 발음은 '히끼'. 引く, '끌다'의 명사형으로 큐볼이 목적구를 맞춘 다음 뒤로 끌려오게 하는 기술. 흔히 '빽시끼'라고 부르는 것을 일본어로 정확히 표현한다면 パックひき가 맞지만 끌어치기 정도의 우리말로 표현하는 것이 좋다. 영어로는 Drow Shot이라고 함.
히도쯔(히돗쯔) - 보통 '돗대', '돚대' 등으로 부르는 말로 ひとつ는 한개, 하나를 의미.
히네리(히네루) - ひねり/ひねる. 기본형은 ひねる으로 '비틀다', '뒤틀다'의 뜻을 가지고 있다. 즉, 흰 공에 회전을 주어 비틀어 친다는 의미이며 흔히 사용되는 '시네루', '히나리'등은 틀린 말이며 우리말로 표현한다면 비틀기, 혹은 회전 등으로 부르는 것이 맞다. 영어로는 회전, 회전력을 뜻하는 English가 사용.
출처: http://jjang89.tistory.com/entry/당구용어모음 [짱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