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연평 해전을 보고
연평도 하면 먼저 떠 오른 것이 꽃게와 조깃배다. 꽃게와 조깃배만 오락가락 하던 평화로운 곳에 그것도 2002년 6월 29일 한국과
터키 월드컵 3-4위전으로 온 국민이 축제로 달아올랐을 때 연평해전이 벌어졌고 아깝게 우리 장병 6명이 전사하여 우리의 곁을 떠났다.
이 영화는 2002년 한일 월드컵 당시 축제 분위기 속 NLL을 침범한 북한 경비정을 차단하기 위하여 기동 하던 참수리 고속정 357호를 북한 경비정이 함포로 기습 공격하면서 30분 남짓 치열한 교전이 벌어졌다.
스크린 속 전투 장면 30분은 실제 있었던 교전 시간과 같았다.젊은이들은 나라를 위하여 자기의 목숨을 헌 신짝처럼 버리는 상황에서 우리는 무엇을 했습니까?
우리는 월드컵을 보면서 그 사실을
까맣게 잊었고 당시 군통수권자인 김대중 대통령은 연평해전 발발 다음날 한일 월드컵 폐막 경기를 보려고 일본으로 날아갔다.그 교전 이틀 뒤 치러진 희생 장병 영결식에도 참석하지 않았다.
영결식에는 국무총리도, 국방장관도, 합참의장도 없었다.대북 햇볕정책에 매달린 김대중, 노무현 정부는 북을 자극해서는 안 된다는 이유로 추모행사를 정부가 아닌 해군차원으로 축소해 치르도록 했다.
나는 이 영화를 보면서 평화적 공존을 원치 않고 시시때때로 전쟁만을 획책하는 북한 정권에 대하여 무턱대고 인도적 지원만을 외치는 햇볕정책이 얼마나
허구였나를 알게 됐다.
고 박동혁 병장의 어머니 이경진씨는우리는 대통령이 버린 군인의 부모라고 말했다.이 씨는 세금도 열심히 냈고,아들 낳아서 해군 보낸 죄밖에 없는데 내가 그들에게 뭘 그렇게 잘못했기에 그 정권은 기무사를 시켜 우리를 미행하고, 도청하고, 감시했다며 오늘도 울부짖고 있습니다.
나라를 지키기 위하여 전사한 순국용사를 이렇게 홀대 하는 나라가 지구상에 어디 있습니까? 그러니 자식들을 군대에 보내기를 꺼려하는 것입니다.이 나라를 누가 지켰으며, 누가 버렸습니까? 말은 안 해도 알 만한 사람은 다 압니다. 왜 이런
생생한 기록이 매몰차고, 철저히 묻혀 져야 합니까? 아! 원통하고 슬픈 일입니다.
늦기는 했지만 잊어 질 뻔 했던 진실과 실화들이 밝혀지고영화를 통하여 다소 알려지게 되다니 그나마 다행이며 해군은 연평해전에서 전사한 여섯 용사를 기리기 위해 유도탄 고속함 1-6번 함을 진수해 윤영하함, 한상국함, 조천형함, 황도현함, 서후원함,박동혁함으로 명명했다.
이 또한 잘 한 일이다. 우리는 그 날의 비극을 잊지 말고 기억해야 한다. 그것이 그들을 기리는 우리의 의무다.
고 윤영하 정장의 부친 윤두호씨는 "짧은 인생, 영원한 조국애"라는
묘비명처럼 산 아들이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우리는 나라 없으면 살 수 없다. 물고기는 물의 존재를 모른다. 물의 존재를 알 때는 이미 물 밖으로 끌려나왔을 때라 한다.
우리 일상도 마찬가지다. 국민들은 이들이 나라를 위하여 흘린 고귀한 피를 결코 잊어서는 안 된다.
당하고 나서야 후회해서도 안 된다. 후회한들 이미 때는 늦었다.
역사를 기억하지 못하는 자는 그것을 다시 살게 한다.
The one who does not remember history is bound to live through it again라는 말이 있다.
그것이 간결하게 천안 함에서도 교훈적으로 잘 가르쳐
준다.잊지 말자. 한 순간이라도. 우리는 예전에 비하여 잘 산다.
누구 때문에 이 만큼 살 수 있었겠나.정치가들 천만의 말씀이다. 그 중심에는 항상 자기 일에만 묵묵히 매진 해 온 깨어 있는 국민과 나라를 철통같이 지켜 온 젊은 용사들의 피나는 숨은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 그들을 우리는 돌보기는커녕 오리려 그들을 홀대하고 버렸다.대통령만 장병과 유가족을 버린 것이 아니다 우리 모두가 버렸다.
대한민국이 과연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이들을 제대로 예우(禮遇)하고 있는지.정부는 전사자 1인당 4억여 원 등의 보상금으로
할 일을 다 했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 정도의 보상금이면 됐지 하는 식으로... 이는 보상금의 개념이 아니다. 보상금의 개념이 아닌 전사자로서 예우를 해 주어야 합니다.
늦기는 했지만 그들을 전사자로서 명예를 회복해 준다고 발표 했으니 그나마 반가운 일이다.
또한 연평해전에서 부상한 뒤 전역한 사람들의 신체적 정신적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도 꾸준히 치료해주고, 각별한 관심을 갖고 취업도 보장해 주어야 한다.
그 어느 재난, 참사보다도 더 나은 대우를 해 주어야 한다.과연 그랬을까? 그렇다고 대답하기에는 너무 미흡하다.
나
또한 그들을 한동안 잊고 지냈던 것이 부끄러워 울고, 또 울었다.
이 영화는 순 제작비 60억 원 중 20억 원이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과 후원금으로 만든 영화로서 제작자나 감독만이 만든 영화는 아니다.국민들이 자금을 모아 만든 영화다.
그리고 엔딩 크레디트(Ending Credits)에 담긴 이름만 7,000명에 이른다.
고 윤영하 소령은 살아 있을 때 선상 인터뷰에서 저희들은 경기장에는 갈 수 없지만 온 국민과 함께 16강 진출을 마음으로 응원하겠다고 인터뷰 한 후 2주 후 연평해전에서 6명의 참수리 357호 대원들과 함께 전사 했다.
어이
이리 슬픈 일이 또 있을까? 전사한 장병들의 명복을 빈다.
다소 늦기는 했어도 이 영화를 통하여 전사한 장병들의 넋을 기리며 되새기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