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육식물 분류
다육식물은 크게 다음 3가지 형태 즉, 잎이 다육인 식물, 줄기가 다육인 식물, 주로 줄기하부나 지하부가 비대한 식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형태별 대표과명과 이에 따른 주요 속명은 다음과 같다. |
잎이 다육인 식물 석류풀과, 번행초과(石榴-科, 蕃杏草科 ; Aizoaceae) 백합과(百合科 ; Liliaceae) 용설란과(龍舌蘭科, Agavaceae) 돌나물과, 꿩의 비름과(石上菜科, 景天科, Crassulaceae) 쇠비름과(Portulacaceae) 줄기가 다육인 식물 박주가리과(蕪薏科, Asclepiadaceae) 등대풀과, 대극과(大戟科, Euphorbiaceae) 선인장과(Cactaceae)
주로 줄기하부나 지하부가 비대한 식물 협죽도과(夾竹桃科, Apocynaceae) 수선화과(석산과; Amaryllidaceae): Haemanthus |
잎이 다육인 식물인 석류풀과(Aizoaceae)의 분류 | |
석류풀과의 아과(亞科) : ① AIZOOIDEAE ② SESUVIOIDEAE ③ TETRAGONIOIDEA ④ MESEMBRYANTHEMOIDEAE * ⑤ RUSCHIOIDEAE * | |
① AIZOOIDEAE | Acrosanthes, Aizoanthemum, Aizoon(이명 : Veslingia), Galenia, Gunniopsis(이명 : Gunnia, Neogunnia), Plinthus |
② SESUVIOIDEAE | Cypselea(이명 : Radiana), Sesuvium(이명 : Diplochonium, Psammanthe, Pyxipoma), Trianthema(이명 : Ancistrostigma, Papularia, Portulacastrum, Reme), Zaleya(이명 : Zaleja) |
③ TETRAGONIOIDEA | 번행초속(Tetragonia ; (테트라고니아, 이명 : Anisostigma, Demidovia, Ludolfia, Tetragonella), Tribulocarpus |
④ MESEMBRYANTHEMOIDEAE * | 노초속(露草屬, Aptenia ; 압테니아, 이명 : Litocarpus, Platythyra, Tetracoilanthus), Aridaria, Mesembryanthemum(향명 : 채송화(iceplant ; 아이스플랜트), 이명 : Callistigma, Cryophytum, Derenbergiella, Eurystigma, Gasoul, Halenbergia, Hydrodea, Opophytum, Perapentacoilanthus, Pteropentacoilanthus, Schickia), Phyllobolus(이명 : Amoebophyllum, Aridaria, Nycteranthus, Nycterianthemum, Pentacoilanthus, Prenia, Sceletium, Sphalmanthus), Platythyra, Prenia, Sceletium, Synaptophyllum 노초속(露草屬, 압테니아, 이명 : 리토카르푸스, 플라티티라, 테트라코일란투스), 아리다리아, 메셈브리안테뭄(향명 : 채송화(아이스플랜트), 이명 : 칼리스티그마, 크리오피툼, 데렌베르지엘라, 유리스티그마, 가소울, 할렌베르자, 히드로데, 오포피툼, 페라펜타코일란투스, 프테로펜타코일란투스, 스킥키아), 필로볼루스(이명 : 아뫼보필룸, 아리다리아, 닉테란투스, 닉테리안테움, 펜타코일란투스, 프레니아, 쉘레티움, 스팔만투스), 플라티티라, 프레니아, 쉘레티움, 시납토필룸 |
⑤ RUSCHIOIDEAE * |
Apatesia계열 Apatesia, Carpanthea(이명 : Macrocaulon), Conicosia(향명 : 잎이 좁은 채송화(iceplant), 이명 : Herrea), Hymenogyne(이명 : Thyrasperma) 아파테시아, 카르판테(이명 : 마크로카울론), 코니코시아(향명 : 잎이 좁은 채송화(아이스플랜트), 이명 : 헤레), 히메노지네(이명 : 티라스페르마) Cleretum계열 Aethephyllum, Cleretum(이명 : Micropterum), Dorotheanthus(이명 : Pherelobus, Pherolobus, Sineoperculum, Stigmatocarpum) 에테필룸, 클레레툼(이명 : 미크롭테룸), 도로테안투스(이명 : 페렐로부스, 페롤로부스, 시네오페르쿨룸, 스티그마토카르품) Mitrophyllum계열 Dicrocaulon, Diplosoma(이명 : Maughania, Maughaniella), Jacobsenia, Meyerophytum(이명 : Depacarpus), 기조국속(奇鳥菊屬, Mitrophyllum, 이명 : Conophyllum, Mimetophytum), Monilaria, Oophytum 설엽화속(舌葉花屬, Glottiphyllum) Disphyma 디크로카울론, 디플로소마(이명 : 마우가니아, 마우가니엘라), 야콥세니아, 메예로피툼(이명 : 데파카르푸스), 기조국속(奇鳥菊屬, 미트로필룸, 이명 : 코노필룸, 미메토피툼), 모닐라리아, 오피툼 설엽화속(舌葉花屬, 글로티필룸) 디스피마
Delosperma계열 Corpuscularia(이명 : Schonlandia), 노자화속(露子花屬, Delosperma), Drosanthemum(향명 : 이슬꽃), Malephora(이명 : Crocanthus, Hymenocyclus), Mestoklema, 선보속(仙寶屬, Trichodiadema) 델로스페르마계열 코르푸스쿨라리아(이명 : 스콘란디아), 노자화속(露子花屬, 델로스페르마), 드로산테뭄(향명 : 이슬꽃), 말레포라(이명 : 크로칸투스, 히메노치클루스), 메스토클레마, 선보속(仙寶屬, 트리코디아데마)
Stomatium계열 광옥속(光玉屬, Frithia) Titanopsis계열 당선속(唐扇屬, Aloinopsis), Deilanthe, Ihlenfeldtia , Nananthus(이명 : Prepodesma), Prepodesma, 천녀속(天女屬, Titanopsis), Vanheerdea 당선속(唐扇屬, 알로이놉시스), 데일란테, 일렌펠드티아 , 나난투스(이명 : 프레포데스마), 프레포데스마, 천녀속(天女屬, 티탄놉시스), 바네르데 Dracophilus계열 Dracophilus, Hartmanthus, Jensenobotrya, Juttadinteria, Namibia, Nelia(이명 : Sterropetalum), Psammophora, Ruschianthus 드라코필루스, 하르트만투스, 옌세노보트리야, 유타딘테리아, 나미비아, 넬리아(이명 : 스테로페탈룸), 프삼모포라, 루스키안투스 Bergeranthus계열 조파속(照波屬, Bergeranthus), Machairophyllum(이명 : Perissolobus) 조파속(照波屬, 베르제란투스), 마카이로필룸(이명 : 페리스솔로부스) Lampranthus계열 Antegibbaeum, Braunsia, Carpobrotus(이명 : Sarcozona), Circandra, Enarganthe, Erepsia(이명 : Kensitia, Piquetia, Semnanthe), Esterhuysenia, Lampranthus ss., Namaquanthus, Scopelogena, Smicrostigma, Vlokia, Wooleya, Zeuktophyllum 안테집베움, 브라운시아, 카르포브로투스(이명 : 사르코조나), 치르칸드라, 에나르간테, 에렙시아(이명 : 켄시티아, 피쾌티아, 셈난테), 에스테루이세니아, 람프란투스 ss., 나마콴투스, 스코펠로제나, 스미크로스티그마, 블로키아, 울레야, 제우크토필룸 Ruschia계열 Acrodon, Arenifera, Astridia, Ebracteola, Khadia, Marlothistella, Polymita, Ruschia (= Echinus속), Stayneria 아크로돈, 아레니페라, 아스트리디아, 에브락테올라, 카디아, 마를로티스텔라, 폴리미타, 루스키아 (= 에키누스속), 스테이네리아 Leipoldtia계열 Antimima, 은엽화속(銀葉花屬, Argyroderma), Cephalophyllum속, 하겸화속(蝦鉗花屬, Cheiridopsis), Cylindrophyllum(이명 : Calamophyllum), 봉엽화속(棒葉花屬, Fenestraria), Hallianthus, Jordaaniella , Leipoldtia (이명 : Rhopalocyclus), Octopoma ss., Odontophorus, Ottosonderia, 대엽화속(對葉花屬, Pleiospilos), Schlechteranthus, Vanzijlia 안티미마, 은엽화속(銀葉花屬, 아르지로데르마), 체팔로필룸속, 하겸화속(蝦鉗花屬, 케이리돕시스), 칠린드로필룸(이명 : 칼라모필룸), 봉엽화속(棒葉花屬, 페네스트라리아), 할리안투스, 요르다아니엘라 , 레이폴드티아 (이명 : 로팔로치클루스), 옥토포마 ss., 오돈토포루스, 오토손데리아, 대엽화속(對葉花屬, 플레이오스필로스), 스클레크테란투스, 반쟐리아 Eberlanzia계열 Amphibolia, Eberlanzia, Ruschianthemum, Stoeberia 암피볼리아, 에베를란지아, 루스키안테움, 스퇴베리아 |
[기타 다육식물과별 속명]
파인애플과, 봉리과(鳳梨科, Bromeliaceae)
작설란속(雀舌蘭屬, Dyckia), 검산속(劍山屬, Hechtia), 보야속(普椰屬, Puya)
닭의장풀과(Commelinaceae) : 은모관속(銀毛冠屬, Cyanotis), 중선속(重扇屬, Tradescantia)
국화과(菊花科, Compositae), 후돈국속(厚敦菊屬, Othonna), 천리광속(千里光屬, Senecio)
참외과, 박과(葫芦科, Cucurbitaceae)
수포대속(睡布袋屬, Gerrardanthus), 소포대속(笑布袋屬, Ibervillea), 벽뢰고속(碧雷 鼓屬, Xerosicyos)
용수과(龍樹科, Didiereaceae) : 아룡목속(亞龍木屬, Alluaudia), 용수속(龍樹屬, Didierea)
참마과, 마과(麻科, 薯藷科, Dioscoreaceae) : 귀갑룡속(龜甲龍屬, Dioscorea)
복계화과(福桂花科, Fouquieriaceae), 복계화속(福桂花屬, Fouquieriea)
쥐손이풀과(Geraniaceae)
제라늄속(天竺葵屬, Pelargonium), 용골규속(龍骨葵屬, Sarcocaulon), 월지연속(月之宴屬, Rechsteineria), 대암동속(大岩桐屬, Sinningia)
뽕나무과, 상과(桑科, Moraceae) : 용속(榕屬, Ficus), 유상속(琉桑屬, Dorstenia)
시계풀과(西番蓮科, Passifloraceae) : 아단등속(阿丹藤屬, Adenia)
후추과(胡椒科, Piperaceae) : 두판록속(豆瓣綠屬, Peperomia)
포도과(葡萄科) : 백분등속(白粉藤屬, Cissus), 포도옹속(葡萄甕屬, Cyphostemma)
마등과(麻藤科, Welwitschiac
| ||||||||||||||||||||||||||||||||||||||||||||||||||||||||||||||||||||||||||||||||||||||||||||||||||||
원산지 선인장과는 원산지가 라틴 아메리카인데 비해, 다육식물은 아프리카 남부를 중심으로 아프리카 대륙 전체, 카나리아 제도, 마다가스칼 섬, 아라비안 반도 남부인도 등이며, 기후적으로 우기와 건기(乾期)가 구별되는 지역이다. 그 다음으로 많이 자생하고 있는 지역으로는 아메리카 남서부, 멕시코에서 중미와 남미서부이다. 〔생육지〕 일반적으로 온대에서 열대에 걸친 건조지역에 분포하는데 드물게는 한랭지에 서식하는 것도 있다. 사하라사막·중앙아시아·오스트레일리아 등 대사막이나 그 주변에는 그다지 많지 않고 남아프리카공화국과 그 주변, 케냐·소말리아 등 동아프리카 여러 나라에 많다. 또 사막보다도 건조한 고원지대에 많다. 대형다육식물은 산지의 경사면에 듬성듬성 군락을 만드는 것이 많으며, 꿩의비름과의 다육식물은 바위산의 급경사면에 많다. 작은 선인장류를 포함한 그 외의 고도다육식물은 덤불 속 그늘이나 바위의 갈라진 틈에 군락을 이루는 것이 많다. | ||||||||||||||||||||||||||||||||||||||||||||||||||||||||||||||||||||||||||||||||||||||||||||||||||||
| ||||||||||||||||||||||||||||||||||||||||||||||||||||||||||||||||||||||||||||||||||||||||||||||||||||
다육식물의 주요 과명별 특징 | ||||||||||||||||||||||||||||||||||||||||||||||||||||||||||||||||||||||||||||||||||||||||||||||||||||
석류풀과(石榴-科,蕃杏草科 ; Aizoaceae) | ||||||||||||||||||||||||||||||||||||||||||||||||||||||||||||||||||||||||||||||||||||||||||||||||||||
Aizoaceae과는 6개의 아과로 분류되고, 이중 2개 아과는 다육식물로서 중요한 종류는 포함하지 않고 있지만 나머지 4개 아과는 Mesem류, 또는 Mesem아과군이라고 불리운다. 이 Mesem류는 120여속 약 3천종의 다육식물로 이중에는 다육원예상 관상가치가 높은 종류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Aizoaceae과의 다육식물을 편의상 Mesem류라 분류하기도 한다. Mesem는 그리스어로 [한낮의 꽃]이란 의미로 그 많은 종이 낮 전후에 개화해서 저녁무렵에 지기 때문이지만, 일부는 저녁부터 개화하는 것도 있고, 이런 종류의 대부분은 방향성을 갖고 있다. Mesembryanthemum(메셈브리안테뭄)속 번행초과에 속하며 75종(種)의 키가 작은 다육식물의 총칭으로 흔히 아이스플랜트(ice plant, 일명 sea fig, sea marigold )라 불리어 지고 있다. 이것은 식용의 잎이 투명하고 반짝거리며 부풀어 있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여진 것 같다. 예전에는 메셈브리안테뭄속이었으나 현재에는 약 120속 2400종을 묶은 하나의 과로서 분류된다. 잘 알려진 리빙스톤 데이지는 한해살이풀이지만 대부분은 고도로 다육화된 잎(두터운 다육의 잎)이 마주나고, 과자같은 모양으로 지표에 접해 군생 또는 가지를 직립시키는 여러해살이의 다육식물이다. 대부분의 종이 남아프리카건조지대에서 자라며 형태와 변이가 많다. 비가 와야 삭과(殼果)가 열려 종자를 뿌린다. 람프란수스속·세팔로필룸(Cephalophyllum)속 : 낮게 가지를 뻗어 군생 파우카리아(Faucaria)속·모닐라리아(Monilaria)속·알로이놉시스(Aloinopsis)속·코노피툼속(Conophytum)·리톱스(Lithops)속 : 가지는 거의 뻗지 않고 비대한 삼각형·혀꼴·구형인 잎이 모여 빽빽히 자란다.
생석화속(Lithops) ;Lithos (stone) + opsis (like) _ 돌과 같은 모습 흔히 살아 있는 돌 혹은 꽃피는 돌로 알려진 50여종(種)의 생석화속은 남아프리카에 자생하고 있으며, 줄기는 거의 없고, 매우 두터운 5~10cm 크기의 잎은 땅속이나 자갈에 파묻혀 있어 잎 상부만 보이게 자라는 식물이다.광합성을 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잎넓이가 필요한데, 그것을 최소한도로 제한하고 있는 리톱스는 잎몸을 땅속에 묻고 있으며, 창구조에서는 빛을 받아들이고 있다.비가 오는 계절마다 2장의 잎이 만들어져 다육질의 둥그런 구조를 이루며 윗부분이 길게 갈라진다. 오래된 잎은 주름이 지면서 시든다. 옆으로 퍼지면서 자라고 하나의 식물체가 여러 개의 돌처럼 보이기도 한다.아프리카 남부가 원산지인 자생지에서 부근의 돌과 색·모양이 매우 닮아 살아 있는 돌 또는 석식물이라 불리며 의태의 예로도 인용된다. 꽃은 대부분 낮에 피지만 방향을 내며 밤에 피는 종류도 있다. 배수가 잘 되는 흙에서 자라고 여름의 고온다습기에는 통풍을 잘 하여 재배한다. 이 속의 식물은 아주 신기하게 생겨 세계적으로 집 안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다.꽃은 채송화처럼 생겼으며 , Lithops turbiniformis를 노미옥(현재, 부귀옥 [Lithops hookeri])로 부른다. [생석화속 종의 식별방법] ♡ 윗 잎면의 볼록 정도 : 편평하거나 튀어 나온 정도 식물 구조 : 잎 중앙을 중심으로 벌어진 2장의 잎은 매우 두터운 다육질로서 뿌리는 가늘고 길 게 잘 발달되어 있다. 광합성 작용 : 광합성을 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잎넓이가 필요한데, 생석화속은 창을 통해 들어온 빛이 식물 밑부분 내면의 가장자리에 분포된 엽록체를 통해 광합성을 한다. 원산지 : 남아프리카와 나미비아를 동서로 횡단하는 오렌지 강 유역에 주로 분포 원산지 강수량 : 연간 50mm 내외의 건조한 지역으로, 강의 안개를 수분 섭취의 방법으로 이용 좀더 상세한 사진, 정보는 click!
외떡잎식물 백합목의 한 과. 대개 초본으로 전 세계에 4,000여 종이 분포하는데 우리나라에는 123여 종이 있다. 여우꼬리풀, 부추, 양파, 마늘, 비비추 따위가 있다.
Haworthia속 아프리카 남부에 150종 이상이 자생하고 있다. 넓은 의미에서는 알로에속에 속하기도 하는데, 소형식물로 잎이 로젯트상으로 총생한다. 대표종으로는 십이지권(十二之卷; Haworthia fasciata) 등이 있다. 알로에(Aloe)속 이 속은 관목성 다육식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에 약 300종이 자생하고 있다. 대형종에서 소형종까지 다양하게 있으나 대부분은 육질이 두터운 잎이 로젯트상으로 총생하며 줄기가 없다. 몇몇 종은 끝이 뾰족하고 가시가 달린 잎과, 노란색 또는 붉은색의 화려하게 무리지어 피는 꽃을 보기 위해 관상용으로 재배되고 있다. 알로에 잎에는 알로인이라는 성분이 있어서 화상·외상·궤양 등에 유효하다. 잎에 무늬가 들어 있는 변이품종과 종간교배종이 많다. 대표종으로 알로에(A. arborescens)와 베라(A. vera)가 있다. 약용으로 쓰이는 것으로는 알로에 아르보레스켄스(Aloe arborescens), 알로에 베라(A.vera), 알로에 사포나리아(Aloe saponaria), 알로에 페리이(Aloe perryi), 알로에 페록스(Aloe ferox), 알로에 아프리카나(Aloe africana) 등이 있다. 최근 알로에 베라를 비롯해 알로에를 이용한 건강식품과 화장품이 널리 알려져 있다. 가스테리아(Gasteria)속 아프리카 남부에 80종 정도가 있다. 알로에속(屬)과 유사하나 빨간 꽃이 피는 것이 다르다. 꽃은 위장 모양으로 작고, 줄기가 없다. 클로로피툼속(Chlorophytum) : 일명 "거미식물(spider plant)"로 아프리카산 식물 속이다.
쌍떡잎식물 갈래꽃류의 한 과. 전 세계에 약 500종이 분포하는데 우리나라에는 쇠비름, 채송화의 2종이 분포한다. Anacampseros속 Anacampseros속은 많은 종류가 있고, 현재 아프리카 동부에서 서식하고 있는 Anacampseros, Avonia속과 미국이나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자생하고 있는 Grahamia속 3개의 속으로 분할되었다. 서리에 매우 약하며, 여름에 매우 맑은 날만을 골라 꽃이 피는 습성을 가지고 있다.
쌍떡잎식물 통꽃류 용담목의 한 과. 전 세계에 100속 1,700종이 분포하는데 우리나라에는 5속 10종이 자란다. 나도은조롱, 박주가리, 백미꽃 따위가 있다. ≒나마과. 스타펠리아(Stapelia)속 - 일명 캐리언플라워(carrion flower)라 불리운다.
아스클레피아스(Asclepias)속 높이는 1미터 정도이고, 잎은 마주나며 긴 타원형이다. 꽃은 산형꽃차례로 피고, 열매는 방추형이며 종자에 털이 있다. 아메리카와 아프리카에서 80여 종이 자란다. 아스클레피아스 시리아카(Asclepias syriaca)와 아스클레피아스 쿠라사비카(Asclepias curassavica)는 관상용으로 심고 있다. 북아메리카산 아스클레피아스 투베로사(Asclepias tuberosa)는 밝은 오렌지색 꽃이 핀다. 솜은 부드럽고 물에 뜨며 광택이 나는데, 노란빛이 도는 흰색이며, 각 섬유가 길이 약 1~3㎝, 지름 20~50㎛ 정도이다. 솜이 들어 있는 씨꼬투리를 기계로 가공하거나 돌려서 씨에 달라붙어 있는 섬유를 분리해낸다. 섬유에는 기름 성분과 나무에 많은 리그닌이 들어 있는데, 리그닌 때문에 실을 자을 때 부서지기가 쉽다. 솜은 구명 재킷, 구명대와 같은 수중안전장치를 만드는 데 쓰이며 자신의 무게보다 30배 지탱하며 물에 떠 있을 수 있다. 또한 실내 장식용품의 속이나 절연재로도 쓰인다. 다른 유사한 종자섬유처럼 베지터블 실크(vegetable silk)로 부르기도 한다.
외떡잎식물의 한 과. 용설란, 유카, 실유카가 있는데, 약 22속(屬)과 종종 목질로 된 짧은 줄기를 가진 720여 종(種)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세계의 열대·아열대·온대 지역에 널리 퍼져 있다.이 과 식물의 잎은 폭이 좁고 창 모양이며 때때로 다육질이거나 가장자리에 톱니가 나 있는데, 각 식물의 아래쪽에 모여 난다. 대부분의 종들은 많은 꽃이 큰 꽃줄기에 모여 달린다. 열매는 삭과( 果) 또는 장과(漿果)이다. 용설란(Agave)속 멕시코를 중심으로 북미, 남미, 서인도제도 등이 원산이며 약 300여종이 있다. 잎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가시가 있으며 다육의 잎이 로젯트상으로 총생한다.
유카(Yucca)속
북아메리카 남부가 원산지이며, 40여 종(種)의 다육식물로 이루어진 이 속의 대부분종들은 줄기가 없으며 뻣뻣한 잎은 칼 모양으로 아랫부분에서 로제트를 이루고 매끈한 흰꽃은 무리지어 핀다.
천세란(Sansevieria)속 - 일명 'snake plant', 'leopard lily'등으로 불리운다.
호미란(Sansevieria thyrsiflara)은 밝은 녹색 띠무늬에 가장자리가 노란색인 잎이 달리며, 향기가 나는 푸르스름한 흰 꽃이 길게 무리지어 핀다. 한국에는 1958년경 복륜산세비에리아를 비롯해 몇 종류가 들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잎을 보기 위해 집 안의 화분에 널리 심고 있다.
쌍떡잎식물 장미목의 한 과. 대개 육질(肉質)의 초본 또는 관목으로 전 세계에 33속 1,300여 종이 분포하는데 우리나라에는 돌나물, 바위솔, 돌꽃, 기린초 따위의 30여 종이 있다. 칼랑코에(Kalanchoe)속
독특한 잎 때문에 주목을 받는 가장 흔한 종(種)에는 마다가스카르 바위솔(Kalanchoe tomentosa), 칼랑코에 마르모라타(Kalanchoe marmorata), 만손초(Kalanchoe pinnata), 선녀무(Kalanchoe beharensis), 화호접 또는 천손초(Kalanchoe daigremontiana), 칼랑코에 페드츠켄코이(Kalanchoe fedtschenkoi) 등이 있다. 화려한 꽃을 보기 위해 화분에 심는 식물들은 칼랑코에 블로스펠디아나(Kalanchoe blossfeldiana)의 변종으로, 이들의 꽃은 6주간이나 피어 있어 겨울에도 널리 팔리고 있다. 이 속 식물은 세심한 주위를 기울이지 않아도 비교적 잘 자라는데, 간접적인 빛에서도 살 수 있지만 많은 양의 직사광선이 필요하며 식물 전체가 완전히 말랐을 때만 물을 주어야 한다. 모든 종은 잎꺾꽂이 또는 줄기꺾꽂이로 쉽게 번식시킬 수 있다. 로케아(Rochea)속 남아프리카에 수 종이 자생하고 있다. 다육의 정도는 낮으나 분 식물로서의 가치가 높아 상품화되고 있는 것은 Rochea coccinea이다. 크라슐라(Crassula)속 아프리카대륙에 300종 이상이 자생하고 있다.
에케베리아(Echeveria)속 - 일명 암탉과 병아리(hen-and-chickens)라 불리운다. 멕시코에서 남미 북서부에 약 100여종이 분포하는데 종간교배에 의해 나온 원예종이 많다.
잎은 다육으로 로젯트상으로 총생하는 것이 많은데 표면이 밀랍, 부드러운 털 또는 가루로 덮여 있으며, 흔히 무지개빛을 띠고 밝은 햇빛을 받으면 가장자리가 붉게 보이기도 한다. 에케베리아속 식물은 촘촘하게 로제트로 나는 대칭되는 잎과 보통 잎 위로 높게 올라오는 꽃자루가 유난히 긴 꽃차례 때문에 식물 수집가들에게 인기가 있다. 에케베리아 길바(Echeveria ×gilva), 에케베리아 엘레간스(Echeveria elegans), 우단풀(=꽃바위솔)(Echeveria pulvinata) 등과 같이 크기가 작은 종들은 작은 화분에 심거나 다른 다육식물과 함께 배수 구멍이 없는 접시 등에 심어 기른다. 에케베리아 기비플로라(Echeveria gibbiflora), 에케베리아 코키네아(Echeveria coccinea), 에케베리아 물티카울리스(Echeveria multicaulis) 같이 크기가 큰 종들은 멕시코와 아메리카 남서부의 정원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셈페르비붐속(Sempervivum) - 하우스리크(houseleek, 일명 live-forever)
40여 종(種)으로 이루어진 이 속은 키가 작은 다육식물로 유럽, 모로코, 아시아 서부가 원산지이다. 'houseleek'라는 이름은 유럽에서 초가지붕 위에서 자라는 몇몇 종의 모양에서 따온 것이며, 'live-forever'는 이들의 내한성과 내구성을 가리켜 붙여졌다. 보통 두꺼운 다육질의 잎이 빽빽하게 로제트를 이룬다.
돌나무속(Sedum)속 - stonecrop, 일명 sedum, orpine라 불리우고 있다. 주로 북반구의 온난지에 400종 이상이 자생하고 있다. 종이 많은 만큼 형태도 다양하다.
쌍떡잎식물의 갈래꽃류의 한 과. 초본이나 목본으로 한국에 10속 21종이 있는데 전 세계에 약 280속 8,000여 종이 분포한다. 대극(大戟), 등대풀, 피마자 따위가 있다. 대극속(大戟屬, Euphorbia)속 - 일명 "spurge"라고도 불리운다. 꽃피는식물로 종류가 2000종 이상이나 될 정도로 많은 종이 있다. 중요한 분화도의 하나인 포인세티아와 같이 다육이 아닌 것들도 여기에 속한다. 다육인 유포르비아는「다육 유포르비아」라고 한다. 다육 유포르비아는 선인장 못지 않게 종류도 많고 형태도 다양하여 실용성이 있는 종 들이 많이 있다. 실제로 재배되고 있는 종으로는 꽃기린(Euphorbia milii var. splendens)과 목기린류가 있다.
유포르비아의 유액은 독성이 있으나 테르펜계 탄화수소가 함유되어 있어 석유식물로서 최근 주목받고 있다. 이 속의 식물을 영어로 'spurge'라고 하는데, 하제(下劑)로 쓰이는 1년생초에서 따온 것으로 여겨진다. 많은 종들이 관상식물, 약재 또는 잡초로서 사람들과 중요한 관계를 맺고 있다. 이 가운데 키가 1m에 이르는 유럽산 소파두(Euphorbia lathyris)의 씨는 한때 완하제로 쓰이기도 했다. 대극속 식물은 전세계 곳곳에서 여러 가지 모습으로 자라고 있는데, 아프리카와 인도의 메마른 지역에서 자라는 많은 종들은 그 모습이 선인장과 비슷하다. 그러나 선인장과는 달리 대극속 식물들은 하얀 수액을 지니고 있다. 이 속의 식물들은 인도의 틈새에서 잡초로 자라는 북아메리카산 애기땅빈대(Euphorbia supine)처럼 옆으로 기면서 납작하게 자라는 풀부터 관목이나 교목에 이르기까지 여러 형태를 나타낸다. 꽃은 암술 1개로 된 암꽃과 수술 1개로 된 많은 수꽃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수꽃이 암꽃을 둘러싼다. 모든 꽃은 축소되어 술잔처럼 생긴 꽃턱[花床]이 에워싸고 있으며, 꽃턱 끝에는 5개의 잎처럼 생긴 선체(腺體)에 조그만 돌기처럼 샘[腺]이 하나씩 달려 있다. 이처럼 꽃이 달리는 것을 배상(杯狀)꽃차례라고 한다. 열매는 쉽게 터지는 삭과( 果)이며 3개의 씨가 들어 있다. 선인장처럼 보이는 종들은 가시가 달려 있고, 각이 진 줄기에는 즙이 많은데 키가 15m까지 자라는 교목인 동아프리카의 유포르비아 칸델라브룸(Euphorbia candelabrum)과 유포르비아 니이카이(Euphorbia nyikae), 키가 6m 정도 되는 관목인 아프리카 남부산 기린관(Euphorbia grandicornis)과 동인도 지방의 제금(Euphorbia lactea) 등이 이에 속하며 뒤의 2종은 따뜻한 지역에서 울타리용으로 심고 있다.
즙이 많지만 가시가 없으며, 곧게 6m 정도까지 자라는 줄기에 많은 가지가 손가락 모양으로 달리는 청산호(Euphorbia tirucalli)는 인도가 원산지이며, 아프리카와 열대지방 곳곳에서는 오두막 주변이나 가축우리의 울타리로 심고 있다. 멕시코산 유포르비아 안티시필리티카(Euphorbia antisyphilitica)는 청산호와 비슷하나 막대 모양의 회녹색 줄기는 1m 정도 자라고 가지가 없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는데, 줄기 겉에서 광택제·양초·윤활유·종이방수제 등을 만드는 밀랍이 나온다. 약간 덩굴처럼 자라며 목본성 줄기에 가시와 잎이 무성한 꽃기린(Euphorbia milii/Euphorbia splendens)은 마다가스카르가 원산지로 온대지역에서는 집 안에서 화분에 널리 심고 있으며, 열대지방에서는 뜰을 화려하게 꾸며주는 식물이다. 열대지방에서 자라는 대극속 식물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멕시코 남부와 과테말라가 원산지인 포인세티아이다. 이 식물에는 주홍색을 띠는 포(苞:꽃 바로 밑에 붙어 있는 잎처럼 생긴 것)가 달려 있으며, 성탄절에 많이 쓰인다. 포인세티아말고도 멕시코 남부와 중앙아메리카에서 성탄절에 널리쓰는 식물로는 파스쿠타(Euphorbia leucocephala)가 있는데, 이는 키가 1.5~4m 정도인 관목이며 겨울에 조그맣고 하얀 많은 포들이 안개가 피는 것처럼 달린다. 이 나무의 어떤 변종들은 짙은 붉은색을 띠는 잎들이 달리기도 한다. 멕시코산 유포르비아 풀겐스(Euphorbia fulgens)는 키가 90㎝ 정도 되는 관목이며 줄기가 가늘고 주황색 포가 무리지어 있는데, 화분에 심어 기르기도 하며 겨울이 따뜻한 곳에서는 뜰을 꾸미는 관목으로 심기도 한다. 온대지방에서 자라는 다년생 관상식물로는 유럽이 원산지인 유포르비아 키파리시아스(Euphorbia cyparissias), 유포르비아 베나타(Euphorbia venata/Euphorbia wulfenii), 유포르비아 에피티모이데스(Euphorbia epithymoides), 유포르비아 카라키아스(Euphorbia characias) 등과 히말라야산 유포르비아 그리피티이(Euphorbia griffithii)가 있다. 유포르비아 키파리시아스는 공처럼 둥그렇게 생겼고 잎이 바늘 모양이며, 봄에는 금빛이 도는 포들이 식물체를 감싼다. 유포르비아 베나타는 키가 0.9~1.2m 정도이고 초록빛이 도는 노란색 꽃이 두상(頭狀)꽃차례로 피며 파란색이 도는 잎이 달린다. 유포르비아 에피티모이데스는 키가 약 30.5㎝ 정도이고 둥근 공처럼 생겼으며, 봄에 금색에서 밝고 옅은 황록색까지의 색을 띠는 꽃이 핀다. 유포르비아 카라키아스는 키가 0.9~1.2m 정도이고 여름에 구릿빛이 도는 노란 포가 달린다. 유포르비아 그리피티의 한 변종은 이른 여름에 불 타는 듯한 오렌지색 두상꽃차례로 달린다. 1년생 관상식물로는 북아메리카 서부지방이 원산지인 설악초(Euphorbia marginata), 미국 동부와 중부에서 페루가 원산지인 산불꽃(Euphorbia heterophylla)의 많은 변종들이 있다. 산불꽃은 키가 90㎝ 정도이고 포가 포인세티아의 포처럼 초록색을 띠고 붉은 점들이 나 있으며, 잎의 모양이 다양하다. 잡초로서 중요한 종으로는 미국 중부와 동부에서 자라는 꽃대극(Euphorbia corollata), 유럽이 원산지이나 미국 북부와 캐나다에서 귀화식물로 자라는 흰대극(Euphorbia escula)·큰땅빈대(Euphorbia maculata)·애기땅빈대(Euphorbia supina)와 이와 유연관계가 깊은 유럽산 작은땅빈대(Euphorbia peplus)·등대풀(Euphorbia helioscopia)등이 있다. 어떤 식물학자들은 대극속을 포인세티아속(Poinsettia)·티티말루스속(Tithy-malus)·티티말롭시스속(Tithymalopsis)·디크로필룸속(Dichrophyllum) 등 여러 개의 속으로 나누기도 한다. 개감수(Euphorbia sieboldiana)·대극(Euphorbia pekinensis) 등은 깊은 산 속에서 볼 수 있으며, 두메대극(Euphorbia fauriei)은 한라산 꼭대기 근처에서만 자라는 우리나라 고유식물이다. 야트로파속(Jatropha) 신대륙과 구대륙의 열대지방이 원산지이며 우유빛 즙액이 있는 풀, 관목, 교목 등 약 125종(種)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중 몇몇은 열대지방에서 정원에 관상용으로 심거나 이들에 함유된 기름을 얻기 위해 심고 있다. 짧은 줄기로 아래쪽 부위가 부풀어 있는 산호유동(Jatropha podagrica)의 붉은색의 작은 꽃송이는 1년 내내 달려 있으며, 잎은 3~5 갈래로 갈라져 있다.
요리용 기름, 비누, 강한 하제(下劑)를 만드는 데 쓰는 씨를 얻을 수 있다. 씨 자체는 독을 없애기 위해 구운 다음 먹을 수 있다. Jatropha속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크니도스쿨로스속(Cnidosculos)은 꽃받침 잎이 꽃부리처럼 피지만 꽃에 꽃잎이 없어 야트로파속과 쉽게 구분할 수 있다. 한국에는 1965년에 산호유동이 들어와 주로 온실 안에 심으며 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붉은색 꽃이 핀다.
| ||||||||||||||||||||||||||||||||||||||||||||||||||||||||||||||||||||||||||||||||||||||||||||||||||||
기타 다육식물의 과명과 대표속 수선화과(水仙花科 ; 석산과; Amaryllidaceae) :Haemanthus속 케이프튤립(Cape tulip, 일명 bloodlily)이라 불리는 하이만투스속은 남아프리카 원산인 약 50종(種)의 풀로 이루어진 외떡잎식물의 한 속이다.대부분의 종들이 빽빽하게 무리지어 피는 붉은색 꽃과 식물체 아래쪽에 뭉쳐 달리는 끝이 무딘 넓은 잎을 가진다.주로 땅속에 비늘줄기를 가지며 잎은 비스듬히 서 있고 두껍다.영어로 'natal paintbrush', 'catherine wheel', 'giant paintbrush', 'African bloodlily' 등으로 알려진 다양한 종들이 있다. 협죽도과(夾竹桃科 ; Apocynaceae): Pachypodium속,Adenium속 쌍떡잎 식물 통꽃류의 한 과. 대개 관목이며 초본도 있다. 열대와 아열대에 1,300여 종이 분포하는데 우리나라에는 마삭줄, 정향풀, 협죽도 따위가 있다.
아데니움속(Adenium)·파키포디움속(Pachypodium)은 아프리카의 다육식물로 잎이 어긋나 있으며 줄기하부가 비대한 상태로 성장한다. 아데니움 물티플로룸(Adenium multiflorum)은 별 모양의 꽃과 커다란 땅속덩이줄기를 갖는 관상용 관목이다. 국화과(Compositae) :Senecio속
| ||||||||||||||||||||||||||||||||||||||||||||||||||||||||||||||||||||||||||||||||||||||||||||||||||||
다육식물의 과명괭이밥과[초장초과(酢奬草,Oxalidaceae], ※ 국화과[Compositae], ※ 꼭두서니과[천초과, 薦草科,Rubiaceae], ※ 꿀풀과[Labiatae], ※ 남가새과[질려과(疾藜科,Zygophyllaceae], ※ 닭의장풀과[압척초과(鴨?草科,Commelinaceae], ※ 대극과(등대풀과)[大戟科,Euphorbiaceae], ※ 돌나물과(꿩의 비름과)[景天科,Crassulaceae], ※ 두릅나무과[오가과(五加科,Araliaceae], ※ 마과(참마과)[서여과,Dioscoreaceae], ※ 메꽃과[선화과(旋花科,Convolvulaceae], ※ 미나리과(산형과)[Umbelliferae], ※ 박과(참외과)[호로과(葫蘆科,Cucurbitaceae], ※ 박주가리과[라마과(蘿摩科,Asclepiadaceae], ※ 백합과[百合科,Liliaceae], ※ 번행초과(석류풀과)[番杏草科,Aizoaceae], ※ 베고니아과[추해당과秋海棠科,Begoniaceae], ※ 벽오동과[Sterculiaceae], ※ 뽕나무과[Moraceae], ※ 새모래덩굴과[Menispermaceae], ※ 석류풀과[Ficoidaceae], ※ 소철과[Zamiaceae], ※ 쇠비름과[마치현과(馬齒현科,Portulacaceae], ※ 수선화과(석산과,石蒜科,Amaryllidaceae], ※ 시계풀과[달리아과(서번련과, 西番蓮科,Passifloraceae], ※ 쐐기풀과[담마과(蕁麻科,Urticaceae], ※ 앵초과[보춘화과(報春花科,Primulaceae], ※ 옻나무과[칠수과(漆樹科,Anacardiaceae], ※ 용담과[龍膽科,Gentianaceae], ※ 용설란과[龍舌蘭科,Agavaceae], ※ 자리공과[상륙과(商陸科,Phytolaccaceae], ※ 쥐손이풀과[Geraniaceae], ※ 참깨과[호마과(胡麻科,Pedaliaceae], ※ 초롱꽃과(도라지과)[길경과(桔梗科,Campanulaceae], ※ 콩과[Leguminosae], ※ 파인애풀과[봉리과(鳳梨科,Bromeliaceae], ※ 포도나무과[포도과(葡萄科,Vitaceae], ※ 협죽도과[협죽도과(夾竹桃科,Apocynaceae], ※ 후추과[호초과(胡椒科,Piperaceae], ※ 해바라기과[낙규과(落葵科,Basellaceae], ※목면과[木棉科,Bombacaceae], ※올리브과[감람과, 橄欖科,Burseraceae], ※파파야과(번목과과, 番木瓜科,Caricaceae], ※ Didiereaceae, ※ Fouquieriaceae, ※다수유과[茶茱萸科,Icacinaceae], |
eae), 백세란속(百勢蘭屬, Welwitschia)
Echeveria
RS Choi의 선인장 정원/다육식물 특징/잎이 다육인 식물/석연화속(石蓮花屬, Echeveria, 에케베리아) | 에케베리아 속 다육식물 도감
돌나물과(石上菜科, Crassulaceae) 석연화(石蓮花屬, 에케베리아 Echeveria)속 |
일명 암탉과 병아리(hen-and-chickens)라 불리운다. 멕시코에서 남미 북서부에 약 100여종이 분포하는데 종간교배에 의해 나온 원예종이 많다. |
매혹의 창(魅惑의 窓) 계열의 품종별 특징 |
동운(東雲), 서(曙), 선봉(仙鳳) 매혹의 창(魅惑의 窓) | |||||
| |||||
♠ 이명 : Cotyledon agavoides, Urbinia agavoides, Echeveria yuccoides, Echeveria obscura | |||||
동운철화(東雲綴化), 호(琥) Echeveria agavoides f. cristata cf. 일본명 : 사치, 샤치(동운철화), 사치철화(x) | |||||
| |||||
매혹의 창 변이종 | |||||
상부련(相府蓮) Echeveria agavoides var. prolifera | |||||
|
| ||||
화려, 야월화(夜月花) "꽃안등(화안등) Echeveria pulidonis | |||||
|
| ||||
매혹의 창 재배종 | |||||
매혹의 밤(매혹의 소, 魅惑宵) (립스틱) | |||||
| 동운의 재배종으로 로제트 폭은 20~25cm까지 자란다. 동운 : 잎 모양이 도톰하고, 통통하면서 뾰족 | ||||
붉은 별(적성, 赤星) Echeveria agavoides 'Akaihosi | |||||
|
| ||||
상생산(相生傘) Echeveria agavoides 'AIOIGASA | |||||
|
| ||||
코드로이 Echeveria agavoides "Corderoy"(Corderoyi) | |||||
|
| ||||
에보니 Echeveria agavoides 'Ebony' | |||||
| 잎 가장자리가 암갈색(Dark brown)으로 물 드는 특징. 즉 테두리가 진한 갈색으로 물 든 것 | ||||
맥카베나 Echeveria agavoides 'Macabeana' | |||||
| 잎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분홍색으로 물 드는 특징 | ||||
마리아 Echeveria agavoides 'Maria' | |||||
| 립스틱보다 잎이 더 크고 잎 가장자리의 붉은색이 좀 더 옅은 편 | ||||
로제아 Echeveria Agavoides "Rosea" | |||||
|
| ||||
훔멜즈 미니벨 Echeveria 'Hummel's Minibelle' (훔멜) | |||||
|
| ||||
매혹의 창 교배종 | |||||
매혹의 달(魅惑의 月) Echeveria 'Miwakunotsuki | |||||
| 매혹의 밤(Echeveria agavoides 'Lipstick')과 월영(月影, Echeveria elegans) 교배종 | ||||
옥배(玉盃) Echeveria 'Gilva' | |||||
| 동운(東雲, Echeveria agavoides)과 월영(月影, Echeveria elegans) 교배종 | ||||
제이드 포인트 Echeveria agavoides 'Jade Point' | |||||
| 동운(東雲, Echeveria agavoides)과 미상의 에케베리아종의 교배종 | ||||
콜로라타 Echeveria agavoides x colorata | |||||
|
| ||||
린제이아나 Echeveria agavoides x lindsayana | |||||
| 동운(東雲, Echeveria agavoides)과 린제이아나의 교배종 | ||||
프랭크 라이넬트 Echeveria agavoides "Frank Reinelt" | |||||
| 아가보이데스 프롤리페라(agavoides "prolifera")와 에케베리아 콜로라타(colorata)의 교배종 | ||||
아이보리 or "반 케펠" Echeveria agavoides "Van keppel" | |||||
| |||||
축송(祝松, 大明月) Echeveria 'Scaphophylla' | |||||
| 동운(東雲, Echeveria agavoides)과 Cremnophila linguifolia(= Echeveria linguaefolia)의 교배종 | ||||
하게아나 Echeveria Haageana | |||||
| 아가보이데스 코드로이와 정야의 교배종 | ||||
길바 Echeveria 'Gilva' | |||||
길바 "블루서프라이즈" | |||||
| 에케베리아 길바의 변이종 | ||||
루벨라(루베리아) Echeveria Rubella(ruberia) | |||||
| 동운(東雲, Echeveria agavoides)과 Echeveria cuspidata 의 교배종 | ||||
크리스마스 Echeveria "Christmas" | |||||
| 동운(東雲, Echeveria agavoides)과 화려의 교배종 | ||||
바이올렛퀸 | |||||
| 동운(東雲, Echeveria agavoides)과 미상의 에케베리아종의 교배종 | ||||
배션 Echeveria "Vashon" | |||||
| 동운(東雲, Echeveria agavoides)과 미상의 에케베리아종의 교배종 | ||||
| |||||
| 동운(東雲, Echeveria agavoides)과 린제아나 교배종 | ||||
| |||||
| 동운(東雲, Echeveria agavoides)과 대화금 교배종 | ||||
| |||||
| 동운(東雲, Echeveria agavoides)과 콜로라타(colorata)의 교배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