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장三十一章
이른바, (일부러 일삼아) 아름답게 한 군대는 길하지 못한 기물이고, (따라서) 천하가 모두 그것을 미워하며, 따라서 도(道; 無爲)를 가지는 바가 있는 사람은 (그것에) 머물지 않는다. (이른바, 아주 먼 옛날, 도道를 가지는 바가 있었던) 군자는 (군대를 일부러 일삼을 때에는) 따라서 (삶의 자리인) 왼쪽을 귀하게 여기는 바에 머물렀고, 군대를 (일부러) 일삼을 때에는 따라서 (죽음의 자리인) 오른쪽을 귀하게 여겼다. (이른바, 일부러 일삼은) 군대는 길하지 못한 기물이고, (도道를 가지는 바가 있는) 군자의 기물이 아니며, (따라서 아주 먼 옛날, 도道를 가지는 바가 있었던 군자는 군대를 일부러 일삼는 바) 그것을 부득이하게 했을 따름이고, (따라서 유위有爲에 대해) 조용해지는 바와 (무위無爲에 대해) 담백해지는 바가 (자신의) 위로 높여지는 바가 되게 했다. (이른바, 아주 먼 옛날, 도道를 가지는 바가 있었던 군자는 전쟁에서) 이기더라도 아름답게 여기지 않았는데, 왜냐하면 (전쟁에서 이기는 것) 그것을 아름답게 여기는 사람, 그는 세상 사람들을 (일부러 일삼아) 죽이기를 좋아하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이른바, 세상 사람들을 (일부러 일삼아) 죽이기를 즐기는 사람은 이른바 천하에 대해 뜻하는 바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아주 먼 옛날) 길한 일에는 왼쪽을 높이고, 흉한 일에는 오른쪽을 높였다. (따라서 아주 먼 옛날, 전쟁을 치를 때에는) 편장군이 왼쪽에 머물렀고, 상장군이 오른쪽에 머물렀는데, 이른바 (흉한 일인 전쟁을 치를 때에는 평상시에 위세가 낮았던 편장군이 평상시에) 위세가 높았던 (상장군의) 자리에 머물렀는데, 이른바 (일부러 일삼아 사람을 죽이지 않는 바를) 마땅하게 여기는 바로써, (적군敵軍을 대하는 바) 그것에 머물게 했다. (따라서 아주 먼 옛날, 전쟁을 치를 때에는) 죽인 아군我軍이 아주 많을지라도, (적군의 죽음) 그것을 슬프고 슬프게 여긴 채 울었으며, 전쟁에서 승리했을지라도, 상례喪禮로써 (적군의 죽음을 대하는 바) 그것에 머물렀다.
夫佳兵者, 不祥之器, 物或惡之, 故有道者不處. 君子居則貴左, 用兵則貴右. 兵者不祥之器, 非君子之器, 不得已而用之, 恬淡為上. 勝而不美, 而美之者, 是樂殺人. 夫樂殺人者, 則不可得志於天下矣. 吉事尚左, 兇事尚右. 偏將軍居左, 上將軍居右, 言居上勢則以禮處之. 殺人眾多, 以悲哀泣之, 戰勝以喪禮處之.
어찌하여 (아주 먼 옛날의 상장군) 그는 (전쟁을 치른) 후, (죽인 사람이 아주 많은 것) 그것을 슬퍼했는가? 어찌하여 (그는 전쟁을 치르기) 전, (왼쪽에 앉는 것) 그것을 잊어버렸는가? 어찌하여 그는 (전쟁을 치른 후) 이른바 (죽인 사람이 아주 많은) 공功(을 가지는 바가 있는 사람이 앉는 자리)에 나아가거나 머무르는 것을 흉한 것으로 여겼는가? 어찌하여 (그는 전쟁을 치른 후) 이른바 (죽인 사람이 아주 많은) 공功(을 가지는 바가) 없는 (사람이 앉는) 자리에 나아가거나 머무르는 것을 길한 것으로 여겼는가?
與其, 悲之於後. 何如忘之於先. 與其, 以凶禮居功. 何如以吉道處無功之地.
(이른바, 아주 먼 옛날의 상장군은 적군敵軍이 흉해지는) 때를 (일부러 일삼아 가리는 바를) 앞세우지 않았(던 사람이기 때문이)고, (아군我軍이) 길해지는 때를 (일부러 일삼아) 가리지 않았(던 사람이기 때문이)다. (이른바, 그는 적군이 흉해지거나 아군이 길해지는) 때를 (일부러 일삼아) 말미암지 않았(던 사람이기 때문이)다. 이른바, (그는 전쟁을 치르는 데 있어서, 무위無爲가) 남아도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었(던 사람이기 때문이)다. 이른바, 그는 (전쟁을 유위有爲로써 치를 바로) 알아차리거나 (전쟁을 유위有爲로써 치르는 바를) 마땅하게 여기거나 (전쟁을 유위有爲로써 치르고자) 뜻하지 않았던 사람(이기 때문)이다.
不能先機, 不能擇吉. 不能因間, 以有餘. 所謂: 「彼, 惡知禮意」者也.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