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값
비함의 무게
신근식
사람에게는 누구나 이름이 있고, 그 이름으로 불리어지기를 바란다. 이름을 알 필요가 없거나 모르는 경우에는 그냥 어떤 사람이라고 할 수도 있지만, 누구에게나 고유의 이름이 있다. 그만큼 이름 하나가 의미 있는 개체요, 중요한 존재이기 때문이다. 속담에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고 하였다. 사람에게 있어서 이름은 단순한 호칭의 수단이 아니라 바로 목적 그 자체이다. 비함의 무게를 단다.
이름에는 자기도 모르는 깊은 뜻이 숨어 있다. 일이 잘 풀리지 않고 고생하게 되면 무엇 때문에 그런지 사주(四柱) 보는데 잘 찾아간다. 막상 그런 곳에 찾아가 보면 대개 이름이 잘 못 지었다고 개명 하라고 한다. 우리 조상들은 함부로 이름을 짓지 않았고, 반드시 유명한 작명가나 덕망 높은 사람에게 이름을 지었다. 나도 일이 뜻대로 되지 않을 때 몇 번이나 이름을 개명하고 싶었다. 그러나 부모님이 지어 주신 이름이기에 아직까지 운명처럼 여기며 사용하고 있을 뿐이다.
국문학박사인 직장선배가 내 이름을 찬찬히 살펴보면서 한글 이름으로 잘 지었다고 풀이를 해 주었다. “신근식(‘ㅅ’자 2개, ‘ㅣ’자 2개, ‘ㄴ’자 2개, ‘ㄱ’자 2개, 중간에 ‘ㅡ’자 1개)” 한글 이름이 마치 천칭처럼 조화롭게 잘 구성되어 있다. 부모님이 어떻게 이런 것을 알고 지었을까? 할아버지 대 항렬이 ‘학(鶴)’자, 아버지 대는 ‘영(泳)’자, 내 대에 ‘식(植)’자가 항렬이다. 아버지에게 이름의 뜻을 물었다. “신근식(辛根植)”은 “우리나라 강산에 나무를 많이 심어 뿌리를 튼튼하게 만드는데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지금에 와서 그 이름값을 못 하고 있어서 개명할 마음이 살짝 들었다. 설령 그것이 이 나이에서도 고쳐야하는 지가 문제다.
우리 아이들의 이름은 항렬에 준하지 않고 작명가의 임의에 맡겼다. 영준(榮埈)은 영화 영, 높을 준 자이다. 우리 가문의 내력은 착하고, 물렁한 성격이라서 아들 이름을 좀 무겁고 신중하라고, 강한 이름으로 지었다. 외손자가 태어났다. 강지호(姜祉豪, 작명가가 지어준 이름 중에서 선택하였다. (지호, 지후, 율언, 태훈, 재헌, 승빈, 지웅, 채성), 이후 부디 건강하고 아름다운 몸과 마음, 큰 지식과 경영능력으로 성공하고, 축복받은 행복한 삶 되어라. 손자가 자라서 반드시 이름값을 하리라 기대한다.
이름의 종류를 보면 정식이름이라고 할 수 있는 관명을 포함해서 아명·별명이 있고, 그 밖에도 자(字), 호(號), 별호(別號), 시호(諡號), 택호(宅號), 법명(法名), 예명(藝名), 가명(假名), 당호(堂號) 등이 있다.
아명은 나면서부터 가정에서 불러지는 이름으로 대개는 고유어로 짓는다. 어릴 때 아명은 천한 이름일수록 오래 산다는 천명장수의 믿음에서 천박하게 짓는 것이 보통이다. ‘똥개’, ‘쇠똥이’, ‘개똥이’가 보통이고, 어른의 회갑에 태어나면 ‘갑이’·‘또갑이’로 지어지며, 튼튼하게 자라라고 ‘바우’라 부르고, 늦게 얻으면 ‘끝봉이’, ‘끝순’이라고 짓는다.
정식이름인 관명인 호적이름을 얻게 되면 아명은 점차 쓰이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하여 얻은 이름은 평생을 두고 소중한 것이기 때문에 아무에게나 함부로 불리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대학도서관에 근무하면서 나타 난 이름을 보면 엄청 재미스럽다. 도서 대출할 때 그 때는 전산업무가 안 되었기 때문에 책 뒷면에 대출자의 목록카드로 사용하도록 하였다. 목록카드 함에 대출자 성명이 가나다순으로 배열하는 것을 수작업으로 하였다. 그 대출카드에는 여러 가지 많은 이름이 있다. 성에 따라 좋은 이름도 많지만, 특이한 이름으로는 ‘강도년’, ‘고기판’, ‘김계년’, ‘문지기’, ‘박아라’, ‘박천민’, ‘변기통’, ‘양아치’, ‘오상연’ 등 뜻이 어찌되었던 간에 잘못 지어진 이름들같이 생각된다. 성인이 되고 사회생활하면서 개명하여 좋은 이름으로 살아가겠지 생각하면서 지난 일을 돌아본다.
장분태(크게 분하다)이라는 이름은 딸이 많은 집안에서 아들로 태어나지 못하자 붙인 이름이다. 특히 김길태(길에서 태어난 아이)는 부산 여중생을 살해했던 김길태로 자기 이름에 얽힌 출생신분을 알고 범죄의 길로 빠졌다. 아무렇게나 이름을 지어서는 안 된다는 좋은 교훈이다.
남자에게는 호 혹은 아호가 주어지고, 여자에게는 당호가 주어진다. 남녀 모두 같이 학문과 덕행이 높아져서 이웃에 널리 알려지고, 존경을 받게 되면 호를 가지게 될지도 모를 일이다. 호란 원래가 학문이나 도덕, 혹은 예술에서 일가(一家)를 이루어 남을 가르칠만한 자리에 이른 사람이 가지는 명예로 쓸 것이다. 호는 대개 스승이 지어주거나 가까운 친구가 짓기도 하고, 때로는 스스로 짓기도 한다. 남이 짓는 경우의 호는 화려한 것이 보통이고, 자신이 지을 경우에는 스스로 낮추어 부르거나 자신의 뜻을 담는 것이 보통 예의이다.
청운로터리클럽에서 활동할 때 주로 회원들의 이름을 “호”로 불러야 하였다. 나는 호가 없어서 스스로 “임원(林園)”이라 하였다. 내 이름의 한자가 나무 목(木)자가 2개 있어서 “수풀이 모여 동산을 이룬다.”는 뜻으로 사용하다가 로터리클럽을 그만두고부터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하기는 성을 붙이니 “신 임원”이 되어 마음에 들지 않아서 버린 것인가?
글쓰기를 배우고 있는 스승으로부터 호를 받았다. 그 호는 “비함(飛含)”이라 하였다. 키가 크고, 명석하며, 달변가다. 비함(飛含)은 飛자는 날 비. 빠를 비, 높을 비, 含자는 머금을 함, 품을 함이다. 첫째, 한글 발음으로 “비함선생”이 될 것이고, 둘째, 그 뜻은 “세상을 살아가면서 (상대방을)높이 품으면 덕(德)이 온다.”, 셋째, 성(姓)을 포함하면 그 발음이 “신비함 선생”으로 참 듣기 좋다. 넷째, 친구끼리는 호만 부른다. 비함! 비함 선생! 이 호를 받고 보니 사용면에 어쩐지 기분이 좋다. 저를 정말로 “신비함”, “신비함 선생”이라 불러주기를 바란다.
비함이라는 호를 지어 받고부터 이름과 호를 한꺼번에 해결 되였다. 신비함, 이름의 염원에 따라 이제 개명을 하지 않아도 이름값을 할 것이다. 그리고 자식도, 손자도, 후대에도 반드시 모두 그 이름값을 꼭 하기를 소망한다.
(2023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