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전갱이 : Atropus atropus (Bloch et Schneider)
► 외국명 : (영) Cleftbelly trevally, (일) Kuboaji (クボアジ), (자바) Kumeh
► 형 태 : 크기는 전장 25㎝ 정도이다. 몸은 달걀 모양이며, 몹시 측편되어 있고 머리와 가슴에 현저한 완곡부가 있다. 등쪽은 청색이고 복부는 은백색이다. 배지느러미는 짙은 검정색이고 가슴지느러미는 낫 모양이다. 복면에는 깊은 홈이 중앙에 있고 이 홈 속에 배지느러미를 넣을 수 있는 점이 본종의 특징이다. 양 턱에는 융모상의 이빨띠가 있고 서골, 구개골 및 혀 위 등에는 작은 이빨들이 있다. 제2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중 수개의 연조가 실모양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데 이는 수컷에서는 현저하고 유어 때는 없다. 혀에는 작은 이가 있고 양 턱에는 솔털 모양의 치대가 있다. 옆줄은 완곡이 심하고 등지느러미 제4연조 및 그 뒤쪽부터는 직선이다. 방패 비늘은 약 35매이고 옆줄의 직선부에 존재하나 가시는 약하다.
크기는 체장 25㎝ 정도이다. 두부는 심하게 좌우로 측편되어 있다. 두부 등 쪽은 은회색이며 체측 상단부는 연한 녹백색이다. 두부 측면과 복부, 체측 하단부와 복부는 은백색이다. 제1등지느러미와 제2등지느러미는 투명하거나 백색이며, 외연은 진회색이다. 가슴지느러미는 투명하다. 배지느러미는 흑색이다. 뒷지느러미는 투명하거나 백색이다. 꼬리지느러미의 외연은 진회색이며, 다른 부위는 투명하거나 백색이다. 제1등지느러미는 가슴지느러미 전반부의 위치에서 시작한다. 제1등지느러미의 가장 긴 극조는 제2등지느러미 1-2극의 길이보다 약간 짧다. 제1등지느러미와 제2등지느러미는 깊은 결각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있다. 제2등지느러미 극조와 전반부 연조의 길이는 사상형이 아닌 다른 연조에 비하여 약간 길어서 전반부 외연은 내만되어 있다. 제2등지느러미의 중앙연조는 긴 사상형이다. 가슴지느러미는 체측 중앙에 위치하며, 상단부 외연은 길게 신장되어 제2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의 중앙에 이른다. 배지느러미는 가슴지느러미 기저 전방의 복부에 있으며, 그 후단은 항문을 지나 제1뒷지느러미에 이른다. 항문은 가슴지느러미 전반부의 복부에 위치한다. 제2뒷지느러미 전반부 연조는 사상구조가 아닌 다른 연조에 비하여 길이가 약간 길어서 전반부 외연은 약간 내만되어 있고, 후반부 외연은 일직선이다. 제2뒷지느러미 중앙의 연조는 사상구조이다. 제2뒷지느러미 기저 시점은 제2등지느러미 연조시점보다 약간 후방에 위치한다. 제2뒷지느러미 기저 후단은 제2등지느러미 기저 후단과 동일한 위치에 있다. 꼬리지느러미는 정형이다. 주둥이 전방의 하악은 상악보다 전방에 있다. 상악 후단은 안경 중앙에 이르지 못한다. 안경은 두부의 중앙에 위치한다. 양안간격은 약간 볼록하다. 안경과 인접한 두부 등 쪽의 외연은 둥글다. 안경주변에 기름눈꺼풀은 없다. 새개부의 가시는 부드럽고 약하다. 측선은 완전하며, 제2등지느러미 기저 시점부까지의 측선은 심하게 볼록하고 미병부까지 형성되어 있다. 비늘은 원린이며, 측선의 만곡부에 있다. 복부는 비늘이 덮여 있지 않다. 제2등지느러미 기저 시점의 체측부터 미병부까지 일직선의 측선에 인판이 있다. 상하악, 서골에 작은 이빨이 있다.
► 설 명 : 연안 주변의 해양에 서식하는 어류로 성어는 연안의 얕은 바다에서 흔하게 발견되며, 때로는 표층 근처에서 헤엄친다. 주로 새우와 요각류, 십각류(갑각류), 작은 물고기 등을 먹는다.
► 분 포 : 한국(남해안, 제주도), 일본, 중국, 대만, 필리핀, 베트남, 말레이시아, 호주, 인도, 아프리카 동부연안 등 인도양~서부태평양 연안에 널리 분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