一蠹先生遺集卷之二 / 附錄 / 褒贈祀典
臣等取考諸書。則
大學衍義補。理宗淳祐元年。詔曰。朕惟孔子之道。自孟子之沒。不得其傳。至我朝周敦頤,張載,程顥,程頤。眞見力踐。深探聖域。千載絶學。始有指歸。中興以來。又得朱熹。精思明辨。表裏混融。使中庸,大學,語,孟之書。本末洞徹。孔子之道。益以大明于世。詔令學宮。列諸從祀。以示崇奬之意。
大明集禮。後漢明帝幸闕里。以大牢。祀孔子及七十弟子。章帝,安帝因之。此弟子從祀之始也。唐貞觀二十一年。詔以左丘明以下二十一人從祀廟庭。
開元八年。以十哲爲坐像。享于堂上。七十子及二十一賢。竝圖于壁。
宋元豐間。又以荀況,揚雄,韓愈。從祀于左丘明等之次。
理宗淳祐初。以周敦頤,張載,程顥,程頤,朱熹從祀。
景定中。復以張栻,呂祖謙。
度宗咸淳初。又以司馬光,邵雍。
元武宗至大間。復以許衡從祀。
大學衍義補。正統中。以宋胡安國,蔡沈,眞德秀。元吳澂從祀。自漢唐以來。至于皇明。先儒從祀之擧。無代無之。而從祀儀節。別無現出處。無從可考矣。敢啓。
傳曰。知道。此啓辭下禮曹。禮曹啓曰。從祀節目。儒臣已爲博考入啓。而其位板送于家廟與否。則未有所考焉。此是儀節間事。似無著載之處。大臣收議。咸以爲遣官具敎書。致祭于其廟。且祭告端由於文廟爲當云。本曹之意。亦只如此。若依此爲之。則上丁之前。可以造作位板。升配於聖廡。而然須待祭告之後。方爲入廟。則道里甚遠。日勢未及。莫重之禮。恐不可忙迫擧行也。今此從祀之典。實二百年所未有之擧。扶植道脈。振作斯文。國家之慶。無大於此。
昔宋理宗淳祐初。以周,程,張,朱。從祀聖廟。黜王安石從祀。因頒詔天下。今亦似當陳賀頒敎。布告中外。然臣等不敢擅便。議大臣定奪何如。傳曰允。禮曹啓曰。傳敎云云。議于大臣。則完平府院君李元翼,領議政李德馨,左議政李恒福,領中樞府事尹承勳,右議政沈喜壽,淸平府院君韓應寅。以爲頒敎則可矣。陳賀似不當爲。伏惟上裁。大臣之意如此。敢啓。傳曰。依議事啓下。
嚮前五賢臣致祭事。曹郞廳二員。分左右道。受香下去。祭物措備。執事差定待候。今此賜祭。非尋常例行者比。凡祭物。各別精潔措備事預先知委。急急擧行事本家知委施行。
....................
경산 구씨(瓊山丘氏) : 구준(丘濬, 1420~1495). 자는 중심(仲深), 경산(瓊山) 출신이며, 시호는 문장(文莊)이다. 명나라 경태(景泰) 5년(1454)에 진사가 되고, 예부 상서(禮部尙書)ㆍ태자 태보(太子太保)ㆍ문연각 학사(文淵閣學士)를 지냈다. 경세에 밝고 시폐를 직언하여 황제를 잘 보좌하였다. 저서로 송나라 진덕수(眞德秀)의 《대학연의(大學衍義)》를 보충한 164권의 《대학연의보(大學衍義補)》와 《문공가례의절(文公家禮儀節)》 등이 있다.
대학연의보(大學衍義補) (1487)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구준(丘濬)이 《대학연의(大學衍義)》를 보충하여 지은 경서(經書). 진덕수(眞德秀)의 《대학연의(大學衍義)》에서 밝히지 않은 치국평천하(治國平天下)에 대한 설명에 중점을 둠. 160권.
..........................
성종실록 286권, 성종 25년 1월 7일 丁酉 2번째기사 1494년 명 홍치(弘治) 7년
안침이 《대학연의보》를 바치자 인쇄하여 반포하게 하다
○安琛獻《大學衍義補》, 仍啓曰: "臣赴京所得也, 命印頒。"
안침(安琛)이 《대학연의보(大學衍義補)》를 바치고, 이어서 아뢰기를,
"신이 북경(北京)에 갔을 때 얻은 것입니다."
하니, 명하여 인쇄(印刷)해서 반포(頒布)하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