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태科 Platycephalicae
◎ 양태 : Platycephalus indicus (Linnaeus)
► 방 언 : 장대, 장태, 낭태, 망태
► 외국명 : (영) Bartailed flathead, Indian flathead, (일) Kochi (ゴチ), Magochi (マゴチ)
► 형 태 : 크기는 최대 전장 100㎝, 체중 3.5kg까지 자라지만 대개는 전장 60~60㎝ 정도이다. 몸은 편평하며, 특히 머리는 폭이 넓고 얇다. 체색은 등쪽이 암갈색 내지 암청색 이고 배쪽은 백색으로 꼬리지느러미 중축부에 흑색색의 세로띠가 하나 있고 그 위 아래에 각각 2줄의 흑색의 비스듬한 띠가 있다. 등지느러미는 극조부와 연조부로 잘 분리되어 있으며 연조부 기저의 길이가 극조부 기저의 길이보다 2배 이상 길며, 등지느러미 막은 투명하지만 줄기에는 3~4줄 가량의 암갈색 띠가 나타난다. 두부 등쪽의 가시 모양 돌기는 작으며 원활한 편이다. 양 턱에는 폭이 넓은 융털 모양의 이빨 띠가 있고 서골치는 송곳니 모양으로, 2개의 이빨 띠는 반달 모양이고 구개골에는 1줄의 날카로운 송곳니가 있다. 등쪽에는 가시가 없고 새개 전골 변두리에는 2개의 둥근 가시가 있다.
크기는 보통 60㎝ 이하이지만 최대 1m까지 자란다. 몸은 전체적으로 위아래로 납작하고 머리의 등면(두정부;頭頂部)도 매우 편평하다. 배도 편평하여 몸의 단면이 낮은 삼각형이다. 아래턱은 위턱보다 약간 길어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위턱은 비교적 짧아서 동공의 전단부에 이른다. 양턱, 서골, 구개골에 이빨이 있다. 눈은 비교적 작은 편이며 두정부에 있다. 전새개골에 끝이 2분지된 안경 크기의 절반 정도 되는 날카로운 가시가 노출되어 있고, 눈의 바로 아래에는 1개의 가시가 있다. 새막은 협부와 융합되어 있다. 배지느러미는 가슴지느러미 연조 중간지점에서 시작한다. 등지느러미는 2개이다. 등지느러미 가장 앞쪽의 극조(1개 내지 2개)는 매우 작고 떨어져 있다. 극조부(제1등지느러미)는 기부가 짧으나, 연조부(제2등지느러미)는 기부가 매우 길어서 거의 미병부까지 도달한다. 항문은 배지느러미 뒤 말단에 위치한다. 꼬리지느러미의 뒤 가장자리는 수직형이다. 측선은 완전하며 일직선이다. 등쪽과 체측 상단부의 체색은 전반적으로 연한 갈색이면서 동공 보다 작은 짙은 갈색 반점이 산재되어 있고 너비가 넓고 어두운 수직 방향 구름 무늬가 체측 상부에 여러 개 있다. 복부는 연한 회백색으로 반점이 전혀 없다. 등지느러미의 각 극조와 연조에는 짙은 갈색의 점들이 열 지어 있다. 꼬리지느러미의 위와 아래 부분에 굵은 검은 줄 무늬가 있고 살아있을 때 꼬리지느러미의 가운데 부분은 노란색을 띤다.
► 설 명 : 수심 20~200m가지에 서식하지만 근해 정착성 어류로 평상시는 얕은 바다의 모래진흙 바닥에서 살고 있다. 기수에도 침입한다. 전장 25㎝ 이내의 어린 개체들은 대부분 강의 하구와 그 인접 연안에서 서식한다. 갑각류, 다모류, 소형 절지동물, 소형 어류 등을 먹으며, 섭식활동은 가을에 활발하다. 산란기는 4~7월이며, 근해의 모래펄에서 산란한다. 알은 유리성으로 지름 1.10~1.25mm, 유구는 1개로 지름 0.23~0.25mm이다. 최소 성숙 체장은 30㎝(3년생)이며, 성장에 따라 성이 전환되기 때문에 체장 20㎝이하는 모두 수컷이며, 50㎝ 이상에서는 암컷만 나타난다. 주어기는 12월이며 대부분 저인망, 정치망 등으로 어획한다. 가을에는 낚시의 대상어가 된다. 백색육어류로 살이 단단하고 맛이 담백한데 특히 여름에 맛이 좋다. 활어는 생선회로 이용하며, 튀김, 냄비요리, 구이, 찜 요리의 재료로 사용된다.
제철은 봄~여름으로 산란기와 일치한다. 비늘은 작아서 벗기기 어렵다. 껍질은 단단하고 질기지만 뼈는 별로 단단하지 않다. 살은 투명감이 있는 백색이며, 검은 그물 모양의 것이 있는 경우가 많다. 하루가 지나도 단단하게 조이지 않는다. 생선회로도 이용하지만 가식부의 비율이 적다. 생선회는 고급스러우면서도 단맛이 나며 뒷맛이 좋아 여름에 먹으면 상쾌한 맛이 난다. 이노신산 등 맛 성분이 적지만 단맛이 느껴지고 식감이 시원하다. 소테는 밀가루를 묻히고 넉넉한 기름으로 소테한 후 마무리로 마가린(버터)으로 맛을 낸다. 겉은 노릇노릇해지고 속은 촉촉해진다. 튀김은 계란 또는 배터 액을 바른 후 빵가루를 묻혀 튀긴다. 적당히 살이 조여져 단맛을 나며, 살이 알맞은 섬유질로 맛이 매우 좋다. 이 외에도 초무침, 찌개, 소금구이, 찜, 국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한다. 건제품으로 가공하기도 한다.
► 분 포 : 한국(중남부의 각지 연안, 제주도), 일본(혼슈우 중부 이남 연안), 남지나해, 타이완, 말레이야 군도, 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호주, 인도, 홍해, 아프리카 동부연안 등 인도양~서부태평양 연안에 널리 분포한다. 지중해에도 이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