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요 실습 일정
시 간 | 프로그램 | 대 상 자 | 내 용 | 실습생 역할 |
9:00~10:00 | 문서 작업 | 실습생 | -실습일지 기록 -종결평가서 기록 -기획단 아이들 편지 작성 | 기록 |
10:30~12:00 | 기획단 만남 | 성현동 실습생 | -감사 편지 전달 -놀이 -수료식 | 학습, 경청 |
12:30~13:30 | 점심식사 | - | - | - |
14:00~15:00 | 감사편지 전달 | 성현동 지역주민 | -감사편지 전달 | 경청 |
15:00~18:00 | 문서 작업 | 실습생 | -실습일지 기록 -프로그램일지 기록 -종결평가 기록 -종결평가 PPT 작성 | 기록 |
2. 실습 일정 세부 내용
기획단 만남 (10:00~12:00)
: 오늘도 기획단 아이들과 만나는 시간이 왔습니다. 10시가 되자 연주가 신나는 발걸음 소리로 올라왔습니다. 연주와 잠깐 다른 아이들을 기다렸지만, 다른 발소리는 들리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아쉽지만 오늘은 연주와 함께 즐겁고 의미 있는 시간을 보내야겠다고 결심했습니다. 저는 연주에게 우리가 만든 포토북을 전해주었습니다. 연주는 동그란 눈으로 “오, 이게 뭐예요?!”라며 놀라면서 한 장씩 살펴보며 그동안 있었던 일을 떠올리는 듯했습니다. 연주는 사진을 보면서 아 이땐 이랬지 라면서 이야기가 오갔고 만드시는 데 힘드셨다고 저희를 수고를 알아줬습니다. 포토북의 마지막 페이지에는 실습 선생님들이 쓴 편지가 있었습니다. 연주는 마지막으로 실습생들이 연주를 위해 쓴 편지를 읽고 연주는 아쉬운 표정을 지었습니다. 연주도 그동간의 있었던 일들이 주마등처럼 스쳐지나가면서 벌써 끝나는 시간이 아쉽게만 느껴졌나 봅니다. 간단하게 포토북을 보고 연주와 함께 간단한 수료식을 진행하고 기념사진을 찍었습니다.
그 후 병욱에게 전화를 걸었고, 병욱이는 배앓이 때문에 잠시 늦을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연주와 같이 대화하면서 기다리던 중 우다다다 하는 소리가 들렸고, 그 발소리는 분명 병욱이의 발소리였습니다. 병욱이는 배앓이에도 불구하고 선생님들과 함께 나눌 과자를 가져왔습니다. 병욱이가 오자 병욱이 특유의 에너지가 전달 돼서 401호의 분위기도 순식간에 바뀌었습니다.
이후 병욱이와 연주와 오늘 일정에 있었던 감사 편지를 전달하러 갔습니다. 모모카페에 도착하자 사장님은 언제나처럼 밝은 미소로 아이들을 맞이해 주셨습니다. 아이들에게 격려의 말을 건네고 초코하임도 챙겨주셨습니다. 모모카페 사장님의 인자하신 미소가 저희 기획단 아이들에게도 잘 전달됐을 법한 분위기로 보였습니다.
돌아와서는 아이들과 신나게 가가볼을 했고, 슬슬 지쳐서 누워서 잠깐 쉬었습니다. 401호에 구석에 루미큐브가 있어서 아이들과 숨 돌릴 겸 루미큐브를 했습니다. 가가볼과 루미큐브를 하면서 놀았던 놀이 시간은 항상 빠르게 지나갔고, 언제나처럼 포옹으로 인사를 마쳤습니다. 연주는 오늘이 겨울방학 기획단 아이들의 시간이 마지막 이었고 연주는 아쉬운 듯한 표정은 감출 수가 없었습니다.
감사편지 전달(14:00~15:00)
: 오후가 되자 오늘밖에 감사 편지를 전달할 수 있는 시간이 없을 것 같아, 성현동 실습생들과 함께 그동안 기획단 아이들과 함께 감사 편지를 쓴 분들에게 오늘 찾아뵐 수 있을지 전화를 드렸습니다. 배 선생님은 오늘 일정이 있어서 따로 찾아뵙지는 못했습니다. 저희가 따로 찾아뵐 수 있는 분들은 음주영 선생님, 이명순 선생님, 조윤완, 조인완 형제들이었습니다. 연락을 드릴 때 우연히 음주영 선생님과 이명순 선생님이 함께 집에 계셨습니다. 그래서 저희는 허락을 받고 음주영 선생님 댁으로 갔고, 언제나처럼 저희 실습생들을 반갑게 맞아주셨습니다. 먼저 선생님들께 저희가 어린이 기획단 아이들과 함께 쓴 편지를 전달했습니다. 선생님들은 활짝 웃으시며 너무나도 좋아하셨습니다. 아이들과 함께 보낼 수 있었던 시간 자체가 행복한 시간이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리고 저희를 위해 덕담을 나누시기도 하고 초코바를 챙겨 주시기도 했습니다.
음주영 선생님은 저희에게 물어볼 것이 있다고 컴퓨터를 켰습니다. 원래는 컴퓨터에서 고스톱 게임을 할 수 있었는데, 이제는 업데이트를 하게 되어 할 수 없게 되었다고 하셨습니다. 그래서 제가 다시 그 게임을 다운로드하여 회원가입을 시켜드렸습니다. 선생님이 알기 쉽게 바탕화면에 바로가기 버튼도 만들었습니다. 음주영 선생님은 이제 다시 고스톱 게임을 할 수 있게 되셨고, 함박웃음을 지으셨습니다. 덕분에 다시 게임을 하게 되어 기쁘다고 표현해주셨습니다. 저에게는 컴퓨터에 게임을 다운로드하고 회원가입을 하는 절차가 너무나도 쉬운 일이지만, 선생님들에게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저의 작은 호의로 선생님들에게 함박웃음을 짓게 해서 저 또한 너무 행복했던 시간이었습니다. 그리고 조윤완, 조인완 고등학생 형제들을 만나러 갔습니다. 갑자기 찾아온 바람에 두 형제는 문 앞에서 저희를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준비되지 않은 상태라 잠깐 인사를 하고 감사 편지를 전달한 후 다시 복지관으로 돌아왔습니다. 갑작스럽게 찾아와서 당황했을 법도 하지만, 웃으면서 반겨주셔서 고마웠습니다.
음주영 선생님 덕담 / 고스톱 게임 알려주는 저
3. 실습 일정 평가
1) 배운 점
사회복지사의 역량은 무엇일까요? “노인들을 어린아이 보듯이 보면 좋겠어”
: 오늘 음주영 선생님 댁에 가서 이야기를 나누던 중 이명순 선생님이 “사회복지사에게는 인격이 정말 중요하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리고 그동안의 약간 속상했던 일들을 이야기해주셨습니다. 젊은 사람들은 나이가 많은 분들을 ‘어른’이라고 생각해 어려운 말들을 사용하고 기대치가 높아 답답해 한다고 하셨습니다. 그래서 사회복지사는 정말 인격이 중요한 직업이라고 강조하셨습니다.
또한, 어른들을 잘 대해주는 성현동 유민 과장님과 문 선생님을 칭찬하셨습니다. 이명순 선생님의 말씀에 이어 음주영 선생님도 “노인을 대할 때는 어린아이를 대하듯이 하면 좋겠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이야기를 듣다 보니, 복지요결에서 배웠던 약자를 대할 때의 태도에 대한 내용이 떠올랐습니다. 약자를 대할 때는 더욱 조심하고 신중해야 한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저도 사회복지학을 전공하면서 알게 모르게 타인을 대하는 방법을 많이 배웠습니다. 특히 약자를 대하는 태도에서는 어떻게 하면 낙인감을 줄이면서 배려할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음주영 선생님과 이명순 선생님은 “우리는 나이가 많고 마음은 앞서지만 몸이 따라주지 않는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래서 사회복지사는 약자에 대해 배려가 자연스럽게 나와야 하는 역량을 가져야 하고, 그 역량을 배워야 하는 것이 실습생의 모습이라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약자의 마음을 100% 공감할 수는 없겠지만, 저는 약자의 마음을 잘 헤아리고 싶습니다. 오늘 음주영 선생님과 이명순 선생님의 말씀을 듣다 보니, 약자와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다움’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저부터 약자들의 입장에서 바라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2) 보완점
없습니다.
3) 슈퍼비전 요청 사항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