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런 기막힌 사실을 국민이 모르고 있습니다!!
꼭 읽어 보세요!!
"일본해는 없었다"…18세기 영국 지명사전 공개 동해를 '한국해'로 표기한 18세기 영국 지명사전이 국내 최초로 일반에 공개됐습니다. 알고 보니 200년도 더 전에 우리 동해는 이미 세계에서 "한국해"로 통하고 있었습니다.
바다의 표기를 주관하는 국제수로기구가 지난 1929년 펴낸 지도엔 동해가 없습니다. 일제가 한반도를 강점하면서 '일본해'를 일방적으로 써온 결과 외국인들에게 동해는 낯선 이름이 된 지 오랩니다. 하지만, 250년 전 영국에서 펴낸 지명사전에는 동해를 '한국해'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이 사전에는 지도와 함께 바다의 이름과 위치가 정확하게 나와 있습니다. 1768년 출간된 백과사전의 대명사 브리태니커 초판에서도 동해는 'SEA OF COREA', 한국해입니다. 19세기 일본인이 직접 그린 세계지도엔 '일본해'가 아닌 '조선해'로 쓰여 있습니다. 18세기부터 일제강점기 전까진 대부분의 나라에서 동해를 '한국해'로 지칭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던 것입니다. 전문가는 동해라는 이름이 세계무대에서 사라진 것도 문제지만 '일본해'라는 표현 자체에도 잘못된 점이 있다고 지적합니다. ▶ 인터뷰 : 김신 / 경희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 "국가의 이름이 바다에 들어간 예가 일본해 밖에 없습니다. 네 나라에 둘러싸인 바다를 한 나라 이름으로 지칭하는 것은 전 세계로 봐서도 사례가 없고…" 이번에 공개된 자료들이 대한민국의 '동해 되찾기'에 어떤 힘을 실어줄지 주목됩니다. MBN 뉴스 이성훈입니다. [sunghoon@mbn.co.kr]
|
獨島를 버린 사람들이 친일파 타령을 하다니 ...
김대중 정부 말기에 대통령비서실 국정상황실장을 역임한 민주당 의원 전병헌은 역시 김대중의 후예답게 지난번 KBS가 방영한 “시청료 인상 토론회”에서 시청료 인상에 대한 부당한 처사를 이야기 하다 말고, KBS가 6.25특집으로 방영한 “백선엽 장군 다큐”를 두고 친일파를 영웅시 하려는 것이라면서 엉뚱한 시비를 걸었었다. 참으로 낯 뜨거운 파렴치한 인간의 전형을 보는 듯 했다. 어찌 그들의 입으로 친일파를 논한다는 말인가?
전병헌이 籍을 두고 있는 민주당이 동해바다 작은 섬 獨島를 어떻게 일본의 손 아귀에 던져 버렸는지 우리는 절대로 잊어서는 안 된다. 친일파 망령에 사로잡힌 저 좌파들은 반 대한민국 활동으로 지금도 대한민국에서 富를 누리고 사는 破廉恥한 사람들이다. 김대중 무리들이 국민연합이라는 이름으로 여당을 하면서 1999년 독도 영유권을 일본 마음대로 행사하도록 무슨 매국행위를 저질렀는지 알아 보자.
김대중은 1998.11.28. 新한일어업협정에 서명했다. 이를 1999. 1. 6. 국회에서 토의도 하지 않고 여당(現민주당)의 날치기로 단숨에 통과시켰으며, 같은 달 22일부터 발효되었다. 이 때 새로 그은 ‘배타적경제수역’(EEZ)에서는 독도가 '한일공동관리수역'에 들어가 우리 땅이라는 근거가 사라지게 되었다. 이로 인해 3천여 척의 쌍끌이 어선들이 일자리를 잃었고, 선박 및 어구류 제조업체들이 날벼락을 맞았다. 어민들은 통곡을 했지만 김대중은 마치 기다렸다는 듯 그 어선들을 북한에 주자고 했다.
한국인이라면 거의 다 알고 있는 “독도는 우리 땅”이라는 노래를 ‘방송금지곡’으로 지정하여 못 부르게 하였으며, 국민들이 독도를 방문하는 것조차 금지시켰다. 1999년 12월 kbs, sbs, mbc 등 방송3사가 합동으로 우리나라 땅에서 제일 먼저 떠오르는 새 천 년의 해를 촬영하려고 독도로 향했으나 해군 군함까지 출동시켜 이를 막았고 방송사들은 할 수 없이 울릉도에서 촬영한 사실이 있다.
민노당, 민주당 등 친북 종북 좌파 반역의 무리들이 스스로 우파진영의 대한민국 국민을 향해 내 지르는 가장 강력하고 일상적인 용어가 바로 親日派 타령이다. 그 것을 모르는 국민들은 없다. 그들이 당장에 저지르고 있는 반 대한민국 반역의 범죄행위를 무마하려는 음흉하고 파렴치한 수작이 바로 친일파 타령인 것이다. 대한민국 건국 이전에 있었던 친일파 문제를 건국 63년이 지난 지금도 유일한 대한민국 공격무기로 삼고 있는 저 妄靈이 화합의 대상으로 삼으려는 것 또한 모두 좌파 반역자이다.
노무현, 정동영 등이 독도를 일본에 던져버릴 때 과연 무슨 궤변을 늘어 놓았었는지 다시 한 번 상기해 보자.
노무현은 당시 여당 부총재를 거쳐 2000.8.7.해양수산부 장관(1999년, 김성진)이 됐었고 이렇게 말했다. “독도가 우리의 영토라는 점은 분명한 사실이지만 냉엄한 국제 현실 속에서는 우리 주장만 하기 힘든 부분도 있다” 이에 당시 야당 의원들은 “장관은 한국 장관인가. 일본 장관인가” 이렇게 화를 낸 바 있었다. 반기문, 한덕수. 이정빈도 이들 편에 서서 일했다.
정동영은 1999년 당시 국민회의 대변인이었다. 그는 협정의 국회비준을 촉구하면서 이를 적극 찬성하는 논평을 연일 냈다. “한일어업협정은 독도 영유권 문제와 무관한 것인데 한나라당이 독도 수호를 끼워 넣어 장외투쟁의 명분으로 삼으려는 것은 시대착오적 발상이다.”
정동영이 국민들을 바보 취급하면서 독도의 배타적경제수역(EEZ)이 한일 양국의 공동수역으로 설정되어 있었던 내막은 싹 감추고 단지 실효적 지배라는 점만을 국민들이 알고 있으면 된다는 듯이 말했던 그 對 국민 欺瞞的 발언을 잊지 말아야 한다. 지금 저들의 입으로 친일파 운운 하면서 김일성의 남침전쟁에서 대한민국을 구했던 백성엽 예비역 대장을 친일파로 공격하는 모습을 보고 있으면, 인간의 악마성에 치가 떨린다.
저들에게 지금 만약 독도를 왜 일본에 팔았느냐고 물으면 이렇게 둘러 댈 것이다. “지금 독도에 우리 국민이 살고 있고 있는데 일본이 무슨 수로 자기 땅이라고 하겠는가?” 참으로 뻔뻔한 사람들이다. 당장에 독도를 우리가 개발하거나, 연구 조사하는 것마저 대한민국이 마음대로 못하고 일본의 허락을 받아야 하는 지경인데도 그런 대답을 서슴없이 하는 것이다.
우리는 저들이 김대중과 어울려서 당시에 무슨 일을 저질렀는지를 알아 보는 데 다음과 같은 학자의 말을 듣는 것이 이해가 빠를 것이다. “일본에서 가장 저명한 국제법학자이며 국제해양법재판소 재판관을 지낸 야마오도쇼(山本 草二) 교수는 ‘일본은 독도에 대해 신 한․일어업협정체결 이전에는 할 말이 없었는데, 신 한․일어업협정 체결과 함께 비로소 말을 할 여지가 생기게 됐다’고 실토한 바 있다.” 신 한․일어업협정에 대해 이상면 서울대 국제법 교수가 한 말은 의미심장하다고 하겠다.
독도를 박정희가 어찌했다고 하는 사람들에게 다시 한번 확인시키겠다. 박정희는 독도를 철저하게 지켜 냈었다. 박정희는 1965. 6. 22. '한일어업협정'을 체결했으며, 이 협정 내용에 따르면 독도는 우리 땅이라는 전제하에 체결되었음을 누구나 쉽게 알 수가 있다. 일본은 미국에 로비를 하여 1965. 5. 17, 존슨 대통령이 방미중인 박정희를 만나 “독도를 일본과 공유하라, 공동등대를 설치하라”는 등의 압력을 넣었지만 박정희는 이에 대해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일언지하에 거절했다. (2006년 기밀문서에서 해제된 1965. 6. 15, 국무부문건 제364호에서 확인 됨)
[성정태 네티즌 논설가: http://allinkorea.net/]
|
첫댓글 속이 시원하게 가르쳐 주셔서 고맙습니다. 막연한 주장과 대응이 아닌 실효성 있는 주장과 권리행사의 이론이 필요한 때.
국민 모두가 이 사실을 알아야 할 텐데 사실 앞에서도 뭉치지 못하고 파당하는 짓거리 뇜뇜뇜들은 어느나라 족속일런지.
제 댓굴이 어인 일로 등록이 안 됐네요... 미국도, 유럽도 '일본해' 손을 들어줬으니 좌파정권들은 결국 성공한 셈이지요.
소교님, 좋은 정보 올려주셨군요, 전혀 모르고 있던 사실을 알게되어서 놀랐습니다. 고맙습니다.
정보 감사합니다. 그런데 위에서 말씀하신 내용 중에, 어업협정 당시 해양수산부 장관이 노무현이었다는 것은 다시 확인하셨으면 합니다. 제가 알기로는 김선길 씨가 장관이었습니다.
그리고 독도 관련 우표를 발행한 년도는 2004년 노무현 대통령 때였고, 그 대통령은 재임시 독도 문제에 대해 아주 강력하게 대응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독도 관련 연설도 아주 유명합니다. http://durl.me/msyiw 사이트에 노무현 대통령의 독도 연설을 들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PLAY
제가 이글을 퍼 와 그대로 올렸기에, 이번엔 IT에 들어가 확인해 보았습니다.
그당시 1999년에 해양부장관은 김성진(김선길이 아니고 )이고, 2000년 8월에 노무현이 되었답니다.
(아랫쪽에 전체 글을 모두 넣었습니다.)
"배타적 경제수역"에서 "한일공동 관리수역"으로 바뀐 것은 크게 잘못된 것이지요.
일본이 끼어들 빌미를 제공한 셈이니까요.
dj가 서명한 일을 mh이 그대로 답습했다고 보여 집니다.
관심 주시고 지적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