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Biostatistics
 
 
 
 

친구 카페

 
 
카페 게시글
우리들의 이야기 REDCap....
박상일 추천 0 조회 1,950 14.10.12 16:45 댓글 18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4.10.12 18:54

    첫댓글 대단하시네요. cardiomoon님도 그렇고, 이 카페뿐 아니라 제 주변을 봐도 의사선생님들이 통계에서 다른 분들보다 앞서가신다는 느낌이 드네요. 전 최근 좌절을 맛본 상황이라 미래에 대해 고민중입니다 ㅠㅠ 그런데 개인이 쓸 수 있나요?

  • 작성자 14.10.12 19:29

    개인은 어렵습니다만, 소속된 기관의 이메일 주소가 있으면, 기관에서 설치하는 것처럼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필요하시면 제가 근무중인 병원에 설치한 서버의 계정을 드릴 수 있습니다.

  • 작성자 14.10.12 19:31

    원하시는 아이디와, 주소 쓰시는 이메일 주소를 보내주시면 바로 계정을 만들어 드리겠습니다. redcap.cnuh.co.kr이라고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넣어 보세요..그리고 나머지 계정에 관한 것은 goodlebang@gmail.com으로 보내주세요..^^

  • 14.10.13 00:20

    음 충남대학에 계시나 보군요.. REDCap 에 대해 자세한 설명 좀 부탁드려도 될까요? 아니면 웹싸이트를 좀 알려주세요

  • 작성자 14.10.13 18:53

    project-redcap.org에 접속하시면 자세히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기관이나 교육기관이면 별 조건없이 허가를 받아 설치 하실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 메뉴 탭에 보시면 'become a partner' 가 있습니다. 거기 마지막 부분에 Electronic End-User License Agreement.를 클릭하시면 허가를 받는 과정으로 들어 가실 수 있습니다

  • 작성자 14.10.13 18:57

    해당 프로그램을 설치하기 위한 몇가지 요구사항이 있는데, 크게 어려운것은 아닙니다. 더군다나 문박사님 정도면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혼자서 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저는 근무중이 병원 전산실에 협조 요청을 하여, 공인 IP를 받고, 데스크탑 수준의 서버(윈도 7)에 설치를 하였습니다.

  • 작성자 14.10.13 19:00

    필요한 것은 SQL server 설정에 대한 지식과, SMTP(계정생성과, 데이터 변경에 대한 작업 내용 공지를 메일을 통해서 합니다) 설정만 하시면 됩니다. 저도 경험이 많지 않아서 이 이상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홈페이지에 동영상으로 된 강의가 있습니다. 필요하시면 다른 곳에서 강의했던 강의록이 있습니다.( 슬라이드가 아니고, 그냥 읽어보고 따라하실 수 있게 만든 내용입니다) 메일 주소를 알려 주시면 강의록을 보내드리겠습니다.

  • 작성자 14.10.13 19:04

    개인적으로 장점 중 장점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종이로 된 증례기록지나 노트북을 들고 다니지 않아도, 병원 어느 컴퓨터에서든지 접근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더군다나 각 변수별로 validation 기능이 있어, 특정 범위 이외의 값이 입력이 되는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가 있다는 것입니다.

  • 14.10.13 06:30

    나중에 필요하면 얘기드리겠습니다.^^ 저도 전에 병원 등록자료 관리를 잠깐 한 적이 있었는데 몇 번 고생해서 그런지 데이터 관리에 대해 관심이 좀 있습니다.

  • 14.10.13 08:51

    의사선생님들께서 임상 + 통계까지 마스터 하시면 ^_^;;; 곤란한데 ㅎㅎㅎ 아무래도 임상시험에서 통계를 떼고 볼래야 떼고 볼수가 없으니... 다들 바쁜시간을 쪼개셔서 공부하시는것 존경스럽습니다. 임상시험에서 갠적으론 너무 수도권 대학에 몰리는 현상이 심한데... 노력하시는 지방교수님들 보면 더욱더 존경스럽습니다. ㅎㅎㅎ

  • 작성자 14.10.13 18:48

    여건도 능력도 아직은 임상시험을 할 수가 없습니다..^^ 마스터라는 말씀은 과분하구요. "아는게 없다는 것을 알아야 적어도 짜가는 안된다"라는 생각으로 공부할 뿐입니다. 제 전공 분야도 잘 모르는데, 아무리 뛰어난 사람이라도 몇년 공부한다고 통계를 마스터 한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 작성자 14.10.13 18:51

    더군다나, 이 카페에 가입하고 나서, 한때 잠시나마 그런 욕심을 가졌던게 무리였다는 생각을 합니다. 그냥 재미있게 즐기려고 생각 중입니다. 가장 이상적인 것은 전공 분야로 국가 펀드를 따고, 그 돈으로 각 분야의 전문가( 통계...)를 초빙해서 팀을 꾸려가는게 가장 이상적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그 정도로 하려면 왠만한 펀드로 안되니...그냥 동네 구멍가게나, 만물상처럼 해보는거죠...저의 경우에는 그렇습니다.^^

  • 14.10.14 09:14

    @박상일 대한민국 임상하시는 분들이 모든 상일쌤~ 같은 마인드 가지고 있음... 너무 편할텐데... 갠적으로 마스터라는 표현은 당근 그런 의미는 아니였구요... 통계 담당자와 디스커션이 원활한 정도라는 의미였습니다.^_^;; 사실 PI교수님들 중에 통계를 잘몰라... 알아서 하라는식의 업무진행 형태를 많이 봐서요... 물론 본인 전공이 아니시니 그러실수 있겠지만... 하는 아쉬움은 좀 남더라구요... 그리고 펀딩에 따른 각분야의 전문가 구성이라, 정말 정말 제가 바라는 이상과 동일한 꿈이시네요... 저도 언젠가... 그런 나와 같은 꿈을 꾸는 드림팀을 꾸려보는 것이 저의 소망입니다. 나중에 쏘주라도 한잔 하시면 좋겠네요 ^_^;;

  • 작성자 14.10.14 20:34

    @김병주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쏘주 말씀도 감사하구요^^

  • 14.10.14 08:46

    저도 코세라의 그 강의 신청했읍니다. 곧 시작하는 군요

  • 14.10.14 22:34

    와~ 대단하세요~ 저희 카페 수준을 한단계 올리셨습니다...

  • 작성자 14.10.16 12:51

    ^^지금 제 수준에서 이 카페 따라가는 것도 벅찹니다. 단지 좋은 프로그램을 알게되어서 소개만 시켜드리는 것일뿐입니다. 항상 이 카페에 포스팅 되는 글들을 보면서, '언제쯤 저런걸 할 수 있으려나'라는 생각 뿐입니다.

  • 14.10.15 16:27

    ㅎㄷㄷ하십니다~. 최근에 reshape 명령어로 속 좀 썩였는데 말씀하신 기능에 관심이 가네요. 기회가 되면 한번 연락드리겠습니다. ^^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