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띠다’는 무엇을 가지거나, 지니거나, 두르는 것을 뜻하는 말입니다. ‘중요한 임무를 띠고 떠나다, 얼굴에 홍조를 띠었다, 미소를 띤 얼굴’과 같은 식으로 쓰입니다.
2. '띄다'의 낱말 뜻은 이렇습니다.
이에 비해 ‘띄다’는 조금 복잡한데, ‘뜨이다’의 준말로 쓰이기도 하고 ‘띄우다’의 준말로 쓰이기도 합니다. 이때의 ‘뜨이다’는 주로, 확 두드러지게 보인다는 의미입니다. ‘눈에 뜨이지 않게 조심해라, 보기 드물게 눈에 뜨이는 미인’ 등과 같은 식으로 쓰입니다. 이때, ‘뜨이지’, ‘뜨이는’ 등이 줄어들면, 각각 ‘띄지’, ‘띄는’이 됩니다. 그리고 이때의 ‘띄우다’는 둘 사이의 간격을 벌리게 한다는 뜻입니다. ‘사이를 띄우고 앉았다, 글자 사이를 띄웠다’와 같은 식으로 쓰입니다. 이때, ‘띄우고’, ‘띄었다’ 등이 줄어들면, 각각 ‘띄고, 띄었다’가 됩니다.
3. 예문을 통해 두 낱말의 차이를 살펴보겠습니다.
1) 막중한 사명을 띠고 이 땅에 태어났다. - ‘지니다’의 뜻을 지닌 ‘띠다’
2) 치마가 흘러내리지 않게 허리에 띠를 띠다. - ‘두르다’라는 뜻을 지닌 ‘띠다’
3) 눈에 띄는 발전을 하였다. - ‘두드러지게 보이는’의 뜻을 지니는 ‘뜨이다’의 준말
4) 두 낱말은 서로 띄어 써야 맞다. - ‘사이를 벌리다’라는 뜻을 지니는 ‘띄우다’의 준말
4. 다음의 뜻을 지닌 '띄우다'는 '띄다'로 줄여 쓸 수 없습니다.
한편, 둘 사이의 간격을 벌린다는 의미의 ‘띄우다’말고, ‘보내거나 부치다’라는 의미를 지닌 '띄우다'와 ‘뜨게 하다’는 의미를 지닌 ‘띄우다’도 있는데 이때는 ‘띄다’로 줄여 쓸 수 없습니다. ‘편지를 띄웠다’는 ‘편지를 보내게 했다’는 뜻인데 이 경우에는 ‘편지를 띄었다’로 줄여 쓸 수 없습니다. 그리고 ‘비행기를 띄우다’라고 할 때도 ‘비행기를 띄다’라고 줄일 수 없습니다.
5. '미소를 띄우며 나를 보낸 그 모습처럼'이란 노랫말을 아시나요?
유명한 노래의 가사 중에 ‘미소를 띄우며 나를 보낸 그 모습처럼’이란 표현이 있습니다. 만약 작사가가 이때의 '미소를 띄우며'라는 표현을, '미소를 얼굴에 머금은 채'라는 의미로 사용했다면, 그건 낱말을 잘못 사용한 것입니다. 그런 의미라면 '띠다'를 써서, ‘미소를 띠며’라고 표현해야 바른 표기가 됩니다. 만약 그것이 아니라 '미소를 나에게 보내며'라는 의미로 썼다면 그건 제대로 된 표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때는 '보내거나 부치다'라는 뜻을 지닌 '띄우다'가 그 의미에 들어맞는 표현이 되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