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배 작약효능 및 복용방법
산적 작약과 산백 작약은 산행시 드물게 보지만 너무 아름답고 희귀해서 채취하지 않고 보고는것 만으로 기분이 좋은 산작약이다.
재배 작약은 우리나라에서 원예용으로 많이 재배하고 있으며, 그 꽃이 이뻐 관상화로 많이 쓰입니다.
작약은 이 꽃의 뿌리를 말하는데, 한방에서 약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흔하게 먹는 쌍화차의 재료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근래 들어서 작약의 효능이 많이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차로 만들어 마시고 있습니다.
색깔에 따라 백작약, 적작약으로 구분이 되는데, 주로 약용, 식용으로 사용되는 작약은 적작약을 의미합니다.
건강에 다양한 이로움을 가져다준다고 하는데, 어떤 효능을 가지고 있는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작약 효능
1. 여성건강
작약의 가장 대표적인 효능으로 여성의 건강에 효과가 좋다고 합니다.
작약은 한방에서 보혈효능이 있다고 하며, 이러한 효능으로 인해 갑자기 생리가 나오지 않거나 많이 나오는 생리불순이나 생리통의 완화에 도움이 많이 된다고 하네요.
여성의 생식기능과 관련하여 효과가 좋아서 각종 여성질환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2. 근육이완, 통증완화
작약이 함유하고 있는 아프파라긴 성분은 근육을 이완시켜주고 통증을 완화시키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격한 운동 뒤에 찾아오는 근육경련이나 근육통 등을 완화시켜주고, 생리통이나 두통, 치통등을 완화하는데도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3. 혈전 예방
작약은 혈소판의 혈전을 예방하고 어혈을 풀어주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피가 뭉치는 것을 억제하여,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만들어주고 이로인해 혈관이 확장되어 혈압을 다소 낮추는데도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혈액순환이 촉진되어 각종 성인병의 예방에도 간접적인 도움이 되고, 손발이 차가운 냉증을 완화하는데도 효과적이라고 하네요
4. 위장건강, 이뇨작용
작약은 위에서 위액이 과다하게 분비되는 것을 막고 위액분비를 조절하는데 도움을 주며, 염증을 억제하는데 뛰어나기 때문에 위궤양이나 위경련 등의 위장질환을 예방하는데 좋습니다.
또한 이뇨작용을 촉진시켜, 체내 노폐물과 독소를 배출하는데 도움을 주며, 소변을 보고 난 뒤에 잔뇨가 남는 증상을 완화시켜 배출이 잘 되도록 만들어준다고 하네요
작약 성분
배당체와 알카로이드 유기산 정유 펙틴질 나무진 당분 등이 들어 있다.
효능은 피를 보하며 땀나기를 멈춘다.
복통 부스럼 유행병 요통 등에 쓰고 속을 편안하게 하며 대소변을 잘 나가게 한다.
오장을 보강하며 배가 부른 것, 월경이 통하지 않는 것 등을 낫게 하고 어혈을 흩어지게 하며 고름을 삭힌다.
붉은 것은 오줌을 잘 누게 하며 열을 내린다.
흰 것은 아픈 것을 멈추고 피를 헤쳐준다.
또한 눈병에도 효과가 있으며 눈을 맑게 하는 작용도 한다.
복통 월경과다 각기 류머티스에 효과가 있다.
* 동의학적인 작용 및 용도 *
1. 백작약(가작약)
피를 보하며 월경을 고르게 한다.
혈허증 월경이상, 생리통 등에 쓴다.
당귀 숙지황 천궁 등을 배합하여 쓰는 것이 좋다.
2. 음을 가다듬으며 출혈을 멈춘다.
코피 토혈 장풍으로 혈변을 눌때 붕루 이슬 월경과다 베인곳에 쓴다.
3. 간을 부드럽게 하며 아픔을 멈춘다.
간기가 막혀 명치 끝이 아프고 헛배가 부르며 옆구리가 결리고 팔다리가 아픈데, 이질로 뒤가 묵직한데 쓴다.
옆구리가 아플 때에는 시호 기각을 배합하여 쓰고 복통에는 감, 이질에 목향 황련을 배합하여 쓰는 것이 좋다.
4. 작약은 피를 잘 돌게 하며 월경을 통하게 한다.
월경이 막혔거나 젖이 적은데 쓴다.
천궁 당귀 도인 홍화 등을 배합하여 쓰는 것이 좋다.
5. 어혈을 헤치며 통증을 멈춘다.
어혈이 뭉쳐 가슴과 옆구리가 결리거나 질박손상으로 아픈데에 쓴다.
당귀미 현호색 도인 황화 등을 배합해 쓰는 것이 좋다.
6. 양혈하며 출혈을 멈춘다.
혈열로 코피가 나거나 붕루 이슬 등이 있을 때에 쓴다.
생지황 목단피 측백엽 등을 배합하여 쓰는 것이 좋다.
7. 간열을 사하며 눈을 밝게 한다.
간열로 눈이 벌개진데 쓴다.
결명자 석결명을 배합해 쓰는 것이 좋다.
8. 영분의 열을 없애며 옹종을 가라앉힌다. 뽀드라지 뽀드라지몰림에 쓴다.
당귀 금은화 감초를 배합한다.
*현대의학적인 작용 및 용도*
진정약, 진통약, 보약으로 복통, 위경련, 배장근의 경련성 통증, 현기증, 류머티스질병, 적리, 식은땀나기, 자궁출혈, 월경과다에 쓴다.
작약은 진정 및 진통작용이 더 세고 가작약은 보하는 작용이 세다.
*활용하기*
1. 복통
가작약 12g, 감초(구은 것) 4g에 물 200㎖를 붓고 150㎖가 되도록 달여 먹는다 (의방유취)
2. 월경과다
월경이 그치지 않고 계속 내릴 때에는 가작약, 향부자, 약쑥을 각각 6g을 물에 달여 먹는다. (의방유취)
3. 각기
각기병으로 다리가 붓고 아플때에는 가작약과 감초를 6:1의 비율로 섞어 함께 가루내어 1번에 4g씩 물을 먹는다 (의방유취)
4. 류머티스
풍독으로 뼈마디가 아플 때에는 가작약 20g, 호골(졸인 젖을 발라 구워서 가르낸 것)을 비단자루에 담아 술 500㎖에 5일간 담가서 그술을 한번에 조금씩 하루에 2~3번 먹으면 효험이 있다는게 복용자들의 경험담이다.
5. 양기를 돕고 정을 보강한다.
명문의 화가 약한데서 생긴 음위증, 유정 등에 쓴다.
음양곽, 토사자를 배합하는 것이 좋다.
6. 비를 덥게 하며 설사를 멈춘다.
명문의 화가 약한데서 오는 설사중 특히 새벽설사에 쓴다. 육두구, 기자를 배합하는 것이 좋다.
7. 방광을 덥게 하며 오줌량을 줄인다.
방광이 허냉하며 오줌이 자주 마려운데, 야뇨증 등에 쓴다.
토사자, 금앵자, 상표초 등을 배합하는 것이 좋다.
8. 뼈를 든든하게 하며 허리힘을 세게 한다. 하초의 한냉으로 허리가 시리며 아픈데 쓴다.
두충, 속단, 우슬을 배합하는 것이 좋다.

첫댓글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좋은 시간 보내세요
꽃도 이쁘고, 효능도 좋고^^
감사합니다.좋은 시간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