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루섬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남전리 712-3
인문사회환경
ㆍ용도 구분 : 검색 안 됨
ㆍ지목 : 잡종지
ㆍ지자체 개발 계획 : 없음
ㆍ시설물 · 이용 현황 : 폐가
ㆍ영해기점 무인도서 : 영해기점 없음
ㆍ과거 주민 거주 여부 : 70년대까지 거주
ㆍ향후 주민 거주 가능성 : 없음
ㆍ사람 거주시 거주 목적 : 없음
ㆍ역사적 가치 : 없음
ㆍ주변 해역 이용 현황 : 없음
ㆍ타법에 의한 관리 현황 : 토지이용서비스에 검색 안 됨
자연환경 · 생태계
ㆍ지형 · 지질
- 삼각형의 형상의 섬으로 해안 사면은 급하지 않게 발달
- 퇴적기원의 편마암이 섬을 구성하고 있으며 습곡이 미세구조부터 거시구조까지 다양하게 나타고 다양한 크기의 타포니 구조가 섬 전체에 형성
ㆍ주요 해양생물
- 해양무척추동물 12종 출현. 조간대 중상부 바위틈에 복털조개, 담황줄말미잘, 대수리 우점. 상부역에 총알고둥, 갈고둥 우점
- 해조류는 파래류, 지충이 우점. 작은구슬산호말, 부챗살 출현
ㆍ주요 육상동물 : 포유류 1과 1종(시궁쥐) 관찰. 양서류 및 파충류 미 발견
ㆍ주요 조류 · 곤충
- 조류 2과 2종 관찰. 검은머리물떼새(멸종위기동물Ⅱ) 관찰. 괭이갈매기 집단번식지
- 호리꽃등에가 우점이며 아시아실잠자리, 가는실잠자리등 관찰. 구찌뽕나무 부근에 호리꽃등에, 꼬마꽃등에가 주로 서식. 중, 대형나방이 다수 관찰. 총 4과 5종이 관찰
ㆍ주요 식생 · 식물
- 관속식물 30과 47속 42종 8변종 1품종 조사
-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Ⅰ등급에는 갯장구채, 갯기름나물, 해국, 천문동, 섬갯장대, 덤불쑥, 보리밥나무, 갯메꽃 등이 조사되었으며, 귀화식물은 소리쟁이, 개망초, 미국자리공 3종이 조사
노루섬
전라남도 신안군 안좌면 반월리
인문사회환경
ㆍ용도 구분 : 보전관리지역
ㆍ지목 : 임야
ㆍ지자체 개발 계획 : 없음
ㆍ시설물 · 이용 현황 : 시설물 없음
ㆍ영해기점 무인도서 : 영해기점 없음
ㆍ과거 주민 거주 여부 : 미거주
ㆍ향후 주민 거주 가능성 : 없음
ㆍ사람 거주시 거주 목적 : 미거주
ㆍ역사적 가치 : 없음
ㆍ주변 해역 이용 현황 : 반월어촌계원 이용, 맨손어업 : 낙지, 석화, 감태, 짱둥어, 망둥어, 바지락, 고동, 칠게 채취, 양식장 : 김, 굴양식
ㆍ타법에 의한 관리 현황 : 준보전산지 〈산지관리법〉
자연환경 · 생태계
ㆍ지형 · 지질 : 중생대 백악기 안산암 및 안산암질 응회암으로 구성된 완만한 순상지형(고도 약 10m). 완만한 해식애, 시스택, 절리, 암맥 발달. 주변에 양식장과 각종 폐어구와 생활쓰레기 방치. 지형경관은 보통
ㆍ주요 해양생물
- 상부역에는 총알고둥이 우점. 암반조간대 상부에서는 총 3종의 연체동물이 출현함.
- 출현 해조류는 녹조류 1종, 홍조류 1종 총 2종. 우점종 애기가시덤불
ㆍ주요 육상동물 : 간조시 고양이과, 설치류 등의 유입이 예상
ㆍ주요 조류 · 곤충
- 전체조류 3종 99개체. 왜가리, 중대백로, 쇠백로 관찰됨. 백로류 집단 휴식지 푸른섬과 후도와 인접하여 조류가 이동이 원할함.
- 관찰된 곤충은 남방붑전나비, 아시아실잠자리, 청띠제비나비 등 6여종 출현
ㆍ주요 식생 · 식물 : 주요 식생은 곰솔군락이며, 관찰된 목본류는 팽나무, 개옻나무, 칡 등이며, 초본류는 억새, 쑥, 가막사리, 인동 등 12종이 출현하였다. 식생과 식물상 빈약함.
ㆍ주변 해역(해중) 경관 : 본도와 매우 근접하며 주변이 갯벌로 이루어짐.
노루섬
전라남도 신안군 안좌면 자라리 산 131
노루섬(장도)
전라남도 신안군 암태면 오상리
인문사회환경
ㆍ용도 구분 : 보전관리지역
ㆍ지목 : 임야
ㆍ지자체 개발 계획 : 없음
ㆍ시설물 · 이용 현황 : 우물
ㆍ영해기점 무인도서 : 영해기점 없음
ㆍ과거 주민 거주 여부 : 60여 년 전까지 1가구 거주
ㆍ향후 주민 거주 가능성 : 없음
ㆍ사람 거주시 거주 목적 : 농업 및 어업
ㆍ역사적 가치 : 없음
ㆍ주변 해역 이용 현황 : 오상어촌계원 이용, 맨손어업 : 고동, 게, 낙지, 굴, 짱뚱어, 문저리, 새우 채취, 어업 : 병어, 민어, 송어, 갑오징어, 농어, 양식업 : 김양식
ㆍ타법에 의한 관리 현황 : 준보전산지 〈산지관리법〉
자연환경 · 생태계
ㆍ지형 · 지질 : 중생대 백악기의 응회암 및 집괴암으로 구성된 순상형태의 지형(고도 약 45m). 해식애, 해식대지, 타포니, 절리, 암맥 발달. 국지적으로 니질퇴적물이 발달하고 생흔자국이 선명하게 존재. 해안에 각종 폐어구 방치. 지형경관은 보통
ㆍ주요 해양생물
- 상부에는 총알고둥이 띠 분포를 이룸, 바로 아래에는 두드럭총알고둥과 좁쌀무늬총알고동, 개울타리고둥의 분포대가 나타남. 총 12종의 해안무척추동물이 출현. 연체동물 10종, 절지동물 2종이 출현함.
-출현 해조류 녹조류 1종, 홍조류 3종, 갈조류 5종 총 9종 출현. 주 우점종 구멍갈파래, 부챗살, 바위수염
ㆍ주요 육상동물 : 관찰되지 않음
ㆍ주요 조류 · 곤충
- 전체조류 4종 7개체. 깝작도요, 왜가리, 직박구리, 붉은머리오목눈이. 간조시 갯벌 형성되어 도요 · 물떼새의 먹이장소로 이용될 가능성 있음.
- 관찰된 곤충은 굴뚝나비, 썩덩나무노린재, 어리장미가위벌 등 9여종 출현
ㆍ주요 식생 · 식물 : 주요 식생은 곰솔군락이며, 관찰된 목본류는 소사나무, 떡갈나무, 멍석딸기, 땅비싸리, 자귀나무, 정금나무, 팥배나무 등이며, 초본류는 해국, 천문동, 강아지풀, 계요등, 산국 등이 출현
ㆍ주변 해역(해중) 경관 : 일출, 일몰시 경관조망이 훌륭하며 갯벌이 발달되어 있음.
노루섬(장도)
전라남도 신안군 장산면 팽진리 산118
인문사회환경
ㆍ용도 구분 : 보전관리지역
ㆍ지목 : 임야
ㆍ지자체 개발 계획 : 없음
ㆍ시설물 · 이용 현황 : 약 20년 전에 1가구 거주했었으며 현재는 무인도, 폐가
ㆍ영해기점 무인도서 : 영해기점 없음
ㆍ과거 주민 거주 여부 : 미거주
ㆍ향후 주민 거주 가능성 : 없음
ㆍ사람 거주시 거주 목적 : 미거주
ㆍ역사적 가치 : 없음
ㆍ주변 해역 이용 현황 : 김양식장으로 이용함.
ㆍ타법에 의한 관리 현황 : 준보전산지 〈산지관리법〉
자연환경 · 생태계
ㆍ지형 · 지질 : 중생대 백악기의 유문암질응회암으로 이루어진 동-서 방향으로 신장된 형태의 섬(고도 약 20m). 암석해안 및 해빈으로 이루어짐. 폐가 및 인공 구조물. 소규모 해식대지 발달. 타포니 발달. 폐어구 방치. 주변에 양식장. 지형경관 보통
ㆍ주요 해양생물
- 상부에는 좁쌀무늬총알고둥과 총알고둥이 우점. 총 14종의 해안무척추동물이 출현. 연체동물 10종, 절지동물 4종이 출현함.
- 출현해조류 홍조류 3종, 갈조류 2종. 우점종 톳, 지충이
ㆍ주요 육상동물 : 관찰되지 않음
ㆍ주요 조류 · 곤충
- 전체조류 1종 1개체. 모래해안가 깝작도요 관찰됨.
- 관찰된 곤충은 애매미, 방아깨비, 사마귀, 밀잠자리 등 8여종 출현
ㆍ주요 식생 · 식물 : 주요식생은 곰솔군락이며, 편백나무군락이 일부 있음(식재), 주요관찰종으로는 고사리, 억새, 철쭉, 편백나무, 땅비싸리, 느릅나무, 멍석딸기, 미국자리공, 갯장구채 등이 관찰. 식생 中
ㆍ주변 해역(해중) 경관 : 모래해빈이 약간 발달해 있음.
노루섬
전라남도 신안군 팔금면 진고리
인문사회환경
ㆍ용도 구분 : 생산관리지역
ㆍ지목 : 임야
ㆍ지자체 개발 계획 : 없음
ㆍ시설물 · 이용 현황 : 염전, 대하양식장
ㆍ영해기점 무인도서 : 영해기점 없음
ㆍ과거 주민 거주 여부 : 미거주
ㆍ향후 주민 거주 가능성 : 없음
ㆍ사람 거주시 거주 목적 : 미거주
ㆍ역사적 가치 : 없음
ㆍ주변 해역 이용 현황 : 팔금어촌계원 이용, 맨손어업 : 낙지, 게, 고동, 바지락 채취, 양식장 : 대하양식장, 염전
ㆍ타법에 의한 관리 현황 : 준보전산지 〈산지관리법〉
자연환경 · 생태계
ㆍ지형 · 지질 : 주 구성 암석은 중생대 백악기 유문암 및 유문암질 응회암으로 동-서 방향으로 신장된 완만한 순상지형(고도 약 10m). 팔금면 서쪽에 위치하며, 사드라지 방조제에 의해 연결. 조간대가 넓게 발달하며, 주변에 양식장이 존재. 지형경관은 보통.
ㆍ주요 해양생물
- 상부에는 총알고둥이 우점함. 중부와 하부는 노출되지 않았음. 총 12종의 해안무척추동물이 출현. 연체동물 8종, 절지동물 4종이 출현함.
- 출현 해조류 홍조류 1종 총 1종. 꼬시래기
ㆍ주요 육상동물 : 들고양이 등의 고양이과와 기타 설치류 및 개과의 육상동물의 이용가능성 높음
ㆍ주요 조류 · 곤충
- 본도와 해안습지로 개발되어 본도에 서식하는 텃새와 도요물떼새의 이용이 예상됨.
- 관찰된 곤충은 물결나비, 밀잠자리, 큰밀잠자리, 고추좀잠자리, 된장잠자리, 외줄들명나방 등 10종임
ㆍ주요 식생 · 식물 : 주요 식생은 곰솔군락이며, 관찰된 목본류는 사스레피나무, 산벚나무, 광나무, 소사나무, 진달래, 노간주 등, 초본류는 청미래덩굴, 오이풀 등
ㆍ주변 해역(해중) 경관 : 방조제에 의해 팔금도에 연결되었음.
노루섬
경상남도 거제시 사등면 창호리 산1 외 2필지
인문사회환경
ㆍ용도 구분 : 농림지역
ㆍ지목 : 임야, 대
ㆍ지자체 개발 계획 : 없음
ㆍ시설물 · 이용 현황 : 없음
ㆍ영해기점 무인도서 : 영해기점 없음
ㆍ과거 주민 거주 여부 : 없음
ㆍ향후 주민 거주 가능성 : 없음
ㆍ과거 주민 거주 목적 : 없음
ㆍ역사적 가치 : 없음
ㆍ주변 해역 이용 현황 : 패류양식(거제135, 사등창호, 굴, 3ha, ’99.06.30-’14.06.29) 외 5건
ㆍ타법에 의한 관리 현황 : 임업용산지 〈산지관리법〉, 공익용산지 〈산지관리법〉
자연환경 · 생태계
ㆍ지형 · 지질 : 안산암질 화산암(길이 240m, 폭 50m), 사주형의 자갈해안
ㆍ주요 육상동물 : 육지와 인접해 있어 육상동물의 유입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나 현장조사에서는 미확인
ㆍ주요 해양생물
- 해양무척추동물 8종 출현, 암반조간대 일반종 출현
- 관찰된 해조류는 없었음
ㆍ주요 조류 · 곤충
- 조류는 4종으로 중대백로가 우점종
- 곤충은 33종으로 한국고유생물종 4종(실베짱이 등), 환경지표종 8종(꼬마꽃등에 등), 국가 기후변화생물지표종 2종(남방노랑나비, 암끝검은표범나비) 확인
ㆍ주요 식생 · 식물
- 관속식물은 54종이며, 상록성식물 2종, 해안지표종 14종, 남방계식물 6종이 출현
- 곰솔군락이 우세하며, 주변부에는 혼효림으로 분포, 칡군락은 봉우리사이의 평지에 형성. 예덕나무, 사스레피나무, 검노린재나무 등이 특징종
ㆍ주변 해역(해중) 경관
- 북쪽 250m 지점에 무인도인 멍에섬이 있음
- 동쪽으로 거제도와 가조도를 잇는 대교가 관찰됨
노루섬
경상남도 남해군 미조면 미조리 산411
인문사회환경
ㆍ용도 구분 : 농림지역
ㆍ지목 : 임야
ㆍ지자체 개발 계획 : 없음
ㆍ시설물 · 이용 현황 : 간이화장실
ㆍ영해기점 무인도서 : 없음
ㆍ과거 주민 거주 여부 : 없음
ㆍ향후 주민 거주 가능성 : 없음
ㆍ과거 주민 거주 목적 : 없음
ㆍ역사적 가치 : 없음
ㆍ주변 해역 이용 현황 : 없음
ㆍ타법에 의한 관리 현황 : 준보전산지 〈산지관리법〉
자연환경 · 생태계
ㆍ지형 · 지질 : 중생대 백악기 안산암질응회암으로 이루어진 대지형태의 바위섬(고도 약 10m). 암석해안. 해식애, 타포니, 절리 발달. 섬 안에 간이 화장실. 생활쓰레기 및 낚시 쓰레기 방치.
ㆍ주요 육상동물 : 관찰된 포유류, 파충류, 양서류 없음.
ㆍ주요 해양생물
- 해안무척추동물 총 16종 출현. 암반조간대로 중부에는 담황줄말미잘, 거북손, 갈고둥이 우점. 하부에는 군부와 홍합이 우점출현. 전반적으로 조무래기따개의 밀도가 높음.
- 해조류는 녹조류 2종, 갈조류 4종, 홍조류 5종으로 총 11종 출현.
ㆍ주요 조류 · 곤충
- 전체조류 2종 5개체 발견. 주위 섬들과 인접하여 조류의 왕래가 추가적으로 있을 것으로 판단됨. 암반 곳곳에 조류배설물 발견.
- 관찰된 곤충은 남방부전나비, 곰개미, 세줄애기자나방, 무당벌레애벌레, 파리류등 5종임.
ㆍ주요 식생 · 식물
- 약 10년생으로 식생높이 3m 내외이고, DBH 10-20cm의 곰솔군락이 분포.
- 식물상은 16과 22속 18종 3변종 1품종으로 총 22분류군이 출현.
ㆍ주변 해역(해중) 경관 : 암석해안. 해식애, 타포니, 절리 발달. 섬 안에 간이 화장실. 생활쓰레기 및 낚시 쓰레기 방치.
노루섬
경상남도 사천시 서포면 내구리(內鳩里) 산 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