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 수행 어떻게 하는가?
(청화 스님 문답)
큰스님은 한평생 유명 산천을 구름처럼 물처럼 떠돌며
오직 염불과 참선 수행에만 전념함으로써 눈이 열린 선지식으로 알려진 분이다.
☞ 어떤 수행법으로 마음을 닦는 게 좋습니까?
“염불이 근기에 맞으면 염불하고 참선이 맞으면 참선하면 된다.
염불이든 참선이든 모든 일(것)에 도가 있다.
무엇이든 열심히 해서 일념이 되면 부처의 길이 열린다.
참선이든 염불이든 일념으로 가면 도를 이루는 길이라는 점에서 똑같다.
다만 부지런히 공부해야 하는 게 중요하다.
공부하지 않으면 백천 억겁을 살아도 괴로움에서 못 벗어난다.”
☞ 간화선에는 1700 공안이 있는데 어떤 화두로 공부하는 게 바람직한가요?
“어떤 것이든 다 중요한 공안들이다.
다만 1700 공안 중에서도 이치로 아는 선, 즉 의리선(義理禪)은 곤란하다.
따라서 마땅히 ‘이 뭣 고’ 공안이나 ‘판치생모(板齒生毛)’, ‘구자무불성(狗子無佛性)’ 공안을 들어야 한다.
나머지 공안은 지식과 이치로써 풀어낼 수 있어 궁극의 경계에 도달하기 어렵다.”
염불이든 참선이든 일념이 중요
☞ 화두를 잘 드는 방법이 있습니까?
“화두를 제대로 참구(參究)해야 일념도 된다.
예컨대 처음에는 ‘조주 스님이 개에게 불성이 없다고 했는데 어째서 없다고 했을까?’라고
처음부터 끝까지 질문을 해야 한다.
이렇게 하다 보면 점차 화두가 ‘왜 그랬을까?’ ‘왜?’로 짧아지게 되고
그렇게 지속되다 보면 의문만이 가득한 일념의 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 일념 또한 번뇌 망상이 아닌가-라는 의문이 있을 수 있겠으나, 일념에는 착도 망상도 없다.
일념인데 거기에 어떤 것이 붙을 수 있겠는가.”
☞ 공부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게 무엇입니까?
“조주 스님 이후 지금까지, 장구한 세월이 흘렀지만,
조주 이전보다도 도인이 나오지 않은 원인이 어디에 있는가를 살펴보아야 한다.
나는 믿음이 부족한 것이 그 원인이라고 믿는다. 공부하려면 먼저 믿음이 있어야 한다.
초보 불자의 경우 믿음을 단단히 하기 위해서는 『지장경』을 읽어야 한다.
『지장경』을 천 독 이상 독송하게 되면 믿음이 견고해진다.
이 바탕 위에서 염불도 하고, 참선도 해야 한다.
『지장경』 독경은 일종의 기초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 『지장경』에 대해서는 스님들 사이에서도 말이 많은 것 같은데, 왜 하필 『지장경』입니까?
“그것은 믿음이 부족해서 나오는 소리다.
살생하지 말라, 사음(邪淫)하지 말라 등
마땅히 행해야 할 것들을 적어 놓은 경을 두고 비하의 소리가 나올 수 있는가.
아직 기초도 되지 않은 사람에게 『금강경』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의
사구게(四句偈)를 들려준들 알아들을 리 있겠는가.
지장경은 세속의 학력으로 친다면 초등학교에 해당한다. 집을 지을 때 터전에 해당하는 경이다.
지장보살은 이 우주에 안 계신 곳이 없다. 우주에 곽 차 있는 보살이다.
지장보살은 중생들의 눈을 뜨게 해주는 보살이고 기본이 되는 보살이므로 대원본존이라고 부른다.
일종의 담임선생님과 같은 역할을 하는 보살이다.”
☞ 이곳에 오다가 『금강경』의 ‘과거심불가득 현재심불가득 미래심불가득’을 놓고 토론을 벌였습니다.
덕산 스님이 어떻게 했어야 노파에게 떡을 얻어먹을 수 있었을까요?
“거기에 이런저런 사변을 붙이는 것은 망상이다.
마음자리에 과거, 현재, 미래라는 분별심이 자리할 곳이 도대체 어디 있는가?
사실 법이란 게 물을 것도 답할 것도, 없는 것이다.
묻고 답하는 사이에 이미 그르치기 때문이다.
아는 것은 지식이고 수행을 통해 깨닫는 것이 중요하다. 마음과 지식은 서로 상관이 없다.
허깨비일 뿐이다. 불성이 있느냐, 없느냐를 따지는 것도 허깨비 놀음이다.
오직 한 법으로 돌아가 일념이 되어야 한다. 일념이면 모든 일(것)이 끊어진다.”
☞ 마음은 어디에 있습니까?
“진리는 아는 것이 아니다. 보는 것이다.
부처님께서 『금강경』에서 당신의 가르침을 뗏목에 비유한 까닭은
가르침 자체가 방편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착을 끊으려면 일념이 되어야 한다. 일념이 되면 망상이고 착(着)이고 붙을 곳이 없다.
과거 미래 현재 어디에건 마음엔 과거와 안팎이 없다.
내가 질문 하나 던지겠다. 여기에 컵이 있다.
이 컵이 네 마음 안에 있는가? 아니면 마음 밖에 있는가?
아는 이 있거든 일러보라.…(침묵)… 마음엔 안과 밖이 없다.”
믿음 견고해야 깨달음도 가능
☞ 염불과 참선의 병행은 어떻습니까?
“염불로 신심을 다지고 화두로 마음을 깨닫는 것이니
공부에 진전이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그것도 안 될 것은 없겠지만 결론적으로는 하나에 전념하는 것보단 못하다.
우물을 파더라도 한 우물을 파야 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 수행하면서 경계할 점이 있다면 무엇입니까?
공부가 좀 된 사람들은 자칫 교만심(驕慢心)에 빠지거나 자기도 모르게 상에 빠져 있을 때가 많다.
도고마성(道高魔盛)이라고 도가 높아질수록 마장도 거세지는 법이다.
공부하는 이는 마땅히 이 점을 경계해야 한다.
그러나 경계해야 한다고 생각하면서도 그것에 매몰돼 헤매는 게 무릇 거의 모든 수행자의 공통된 병이다.
요즘 보면 간화선만이 최상이고 묵조선(黙照禪)은 하급으로 치는 이들이 많다.
그러나 이것은 잘못된 것이다.
일념의 경계에 오르게 되면 화두건 상이건 착(着)이건 아무것도 없는 의단(疑團)의 상태가 되어
말이 끊어진 상태에서 그저 묵묵히 지켜보는 것 외에 아무것도 없는 것을 묵조(黙照)라 했는데
이를 두고 분별심을 갖는 일이 횡행하니 한심한 일이다.
처음부터 비쳐 볼 수 있다면 화두가 무슨 소용인가?
날개도 나지 않은 새끼 새가 날겠다고 날치니,
그대로 놔두었다가는 떨어져 죽을 것이 확실해 대혜 스님께서 화두(공안)를 제시한 것인데,
이제와서 화두선이 최상이고 묵조선(黙照禪)은 보잘게 없다고 하니 개탄스러운 일이다.
허깨비 놀음에 휘둘리지 마라
☞ 저희 불자들에게 당부하고 싶은 말씀이 있다면?
“수행해야 한다. 아무리 많은 재산을 모으더라도 아무 소용이 없다.
수행해서 마음공부를 한 결과라야 끝내는 보람이 있는 것이다.
공부하는 데에 허깨비 놀음에 휘둘려선 안 된다.
나라는 생각, 너라는 생각, 영원하다는 생각, 고정불변하는 실체가 있다는 생각을 깨뜨리고
그 허깨비 망상에서 완전히 벗어나야 한다.
그리하면 성낼 것도, 욕심을 부려야 할 것도 다 사라진다.
딱히 꼬집어 나랄 것이 없는데, 욕을 먹든 칭찬을 듣든 흔들릴 연유가 무엇인가.
어떤 상황에서든 평상심을 잃지 않을 수 있다면 도를 이룬 것이다.”
- 법보신문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