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순위 | 품목명 | 금액(백만 달러) | 증감률(%) |
1 | 의류 및 부자재 | 70,933 | 1.4 |
2 | 자동 데이터 프로세싱설비 및 부품 | 69,525 | 11.7 |
3 | 무선 통신기기 및 부품 | 64,630 | 6.5 |
4 | 방직실, 직물 및 제품 | 53,120 | 3.1 |
5 | 집적회로 | 28,775 | 1.7 |
6 | 철재 | 27,890 | 5.9 |
자료원: 중국 해관총서
ㅇ 내수 의류시장의 성장
- 중국의 성장전략이 수출중심에서 내수중심의 성장전략으로 전환됨에 따라 내수의류시장의 규모가 커지고 있음.
- 즈옌쯔쉰(智研咨询)의 통계에 의하면, 2016년 중국의 성인 의류 시장규모는 1조1444억 위안(19조 원)으로 전년동기대비 6.4% 성장했으며, 2019년에는 그 시장규모가 1조3704억 위안(23조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됨.
중국 의류 시장규모
(단위: 억 위안)
자료원: 즈옌쯔쉰(智研咨询)
- 중국의 내수 의류소비는 여성 소비자들의 소득수준 향상 및 다양한 의류에 대한 관심 증가로 더욱 세분화되고 다양화되는 추세이며, 최근에는 고급면과 신소재에 대한 수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의류업계의 주 소비층은 고가의 브랜드를 구매하는 최고급 브랜드 소비층과 UNIQLO, ZARA, H&M 등의 스파브랜드를 선호하는 젊은 소비자층으로 분류할 수 있음.
- 전체 의류 수입액의 64.5%가 상하이(上海) 지역을 중심으로 수입됐으며(2015년도), 소득 수준이 높은 장쑤성(江苏省)과 베이징(北京)도 고급 의류 소비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 수입동향
2016년도 중국 니트의류 수입규모
HS Code | 품목명 | 수입액(백만 달러) | 증감률(%) |
6101 | 니트 혹은 크로쉐 남성외투, 케이프, 방한상의, 바람막이류 | 30.2 | 18.4 |
6102 | 니트 혹은 크로쉐 남성외투, 케이프, 방한상의, 바람막이류 | 38.7 | 6.3 |
603 | 니트 혹은 크로쉐남성정장셋트, 평상복셋트, 상의, 긴바지, 가슴보호대, 작업용 멜빵바지, 승마복 및 반바지(수영복 제외) | 195.8 | 14.8 |
6104 | 니트 혹은 크로쉐 여성정장셋트, 평상복셋트, 상의, 긴바지, 가슴보호대, 작업용 멜빵바지, 승마복 및 반바지(수영복 제외) | 346.3 | 9.3 |
6105 | 니트 혹은 크로쉐 남성 와이셔츠 | 114.8 | 0.3 |
6106 | 니트 혹은 크로쉐 여성 블라우스 | 19.9 | -1.1 |
6107 | 니트 혹은 크로쉐 남성팬티, 삼각팬티, 파자마, 목욕가운, 일반가운 류 | 41.6 | -22.1 |
6108 | 니트 혹은 크로쉐 여성팬티, 삼각팬티, 파자마, 목욕가운, 일반가운류 | 49.8 | 0.4 |
6109 | 니트 혹은 크로쉐 티셔츠, 러닝셔츠 및 기타 베스트 | 594.7 | -1.7 |
6110 | 니트 혹은 크로쉐라운드티, 가디건, 베스트 | 614.6 | -0.5 |
6111 | 니트 혹은 크로쉐유아복 및 액세서리 | 107.3 | 5.3 |
6112 | 니트 혹은 크로쉐 운동복, 스키복 및 수영복 | 22.2 | 0.3 |
6113 | 플라스틱이나 기타 재료에 담궈 도포한 방직물 및 고무처리한 방직물의 니트 혹은 크로쉐 의상 | 3.0 | 18.7 |
6114 | 니트 혹은 크로쉐 기타 의상 | 72.7 | 37.6 |
6115 | 니트 혹은 크로쉐 | 99.0 | 31.7 |
6116 | 니트 혹은 크로쉐 장갑 | 16.5 | 23.1 |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 경쟁동향
ㅇ 중국 의류산업 발전을 견인하는 니트산업
- 최근 10년간 생산 기술 및 노동생산성의 향상과 신제품 개발에 따라, 니트 업계구조는 한층 고도화됨. 그 결과 니트 생산량이 의류산업 전체의 절반을 차지해 중국 의류산업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
- 2014년 이미 니트 의류 수출액이 1000억 달러를 돌파했으며, 이는 중국 섬유산업에서 35.6%를 차지하는 동시 전 세계 방직무역의 1/10에 달하는 수치임.
ㅇ 중국 의류시장은 브랜드들의 치열한 전쟁터
- 중국 복장브랜드(中国服装品牌)연구센터의 통계에 따르면, 중국에는 1만 개가 넘는 패션브랜드가 존재해 브랜드의 집중도는 낮은 편임. 또한 국제 신흥브랜드들이 시장에 진입하면서 시장 내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음.
- 고가 의류시장은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미국, 영국, 한국 등의 해외 브랜드가 주를 이루고 있고, 홍콩과 대만 브랜드는 중간가격을, 중국 브랜드는 중저가 가격을 형성하고 있음.
- 빠른 트렌드 변화로 인해 온라인 채널을 통한 구매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특히 Zara, H&M 등 저가형 유럽 브랜드들이 저렴한 가격과 다양하고 세련된 디자인으로 중국 시장에서 약진하고 있음.
중국 니트의류 중고가 브랜드 가격 정도
(단위: 위안)
브랜드명 | 본사소재지 | 가격대* | 사진 | 백화점 판매가 | 온라인 판매가 |
朗姿 LANCY | 베이징 | 1,200~3,500 |
| 1,280 | 640 |
| 1,680 | 1,008 | |||
玛丝菲尔 Marisfrolg | 선전 | 1,500~5,000 |
| 2,880 | 1,728 |
| 3,280 | 1,640 | |||
| 3,980 | 1,592 | |||
雅莹 E.P | 항저우 | 1,000~3,500 |
| 2,199 | 1,399 |
| 2,699 | 2,499 | |||
玖姿 JZ | 상하이 | 1,000~2,600 |
| 1,580 | 826 |
| 1,980 | 1,089 | |||
| 2,580 | 1,348 | |||
珂莱蒂尔 Koradior | 선전 | 900~2,500 |
| 1,487 | 748 |
| 2,487 | 1,248 | |||
歌力思 ELLASSAY | 선전 | 1,000~3,000 |
| 2,180 | 1,090 |
| 2,680 | 1,340 | |||
| 4,980 | 2,490 |
주: 백화점 판매가 기준
자료원: 티몰(2017년 9월 20일 기준)
□ 주요 유통채널
ㅇ 백화점
- 백화점은 다수의 의류 브랜드가 입점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선택의 폭이 넓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인기가 가장 높은 유통채널(의류 유통채널 점유율 62%)로, 특히 중고가 의류 브랜드의 주요 구매 채널임.
ㅇ 체인점
- 의류 체인 전문점은 이미 브랜드 의류 영업의 주요 모델로 자리 잡았음. 많은 의류 업체들이 특허 경영과 직영이 결합된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음.
- 이러한 방식은 회사의 투자금액이 과도하게 늘어나는 리스크를 해결해 주며 브랜드 파워를 활용해 소비자들에게 신뢰를 줄 수 있음.
- 이런 지명도와 이미지의 상승을 위해 최근 다수의 브랜드가 대형 전문점 입점에 역량을 집중시키고 있음.
ㅇ 슈퍼마켓 및 할인점
- 중국 의류시장의 새로운 조류로 형성되고 있음. 슈퍼마켓 및 할인점에서 공급하는 의류는 디자인 면에서 비교적 경쟁력이 떨어지지만, 가격 및 품질 경쟁력이 높음.
- 몇몇 브랜드는 슈퍼마켓 및 할인점에서 지명도와 영업실적을 끌어 올리고 있음.
ㅇ 온라인 시장
- 중국 통계국에 따르면 2016년 중국의 온라인 소매시장 규모는 5만1556억 위안으로 전년동기대비 26.2% 성장했으며, 사회 소비품 소비 총액의 15.5%를 차지함.
- 중국의 전자상거래 연구센터에 따르면, 중국의 온라인 의류 시장은 다음과 같은 추세를 보이고 있음.
① 온라인 의류시장의 규모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중국 온라인 시장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음.
② 의류 전자상거래 업계는 신용도 강화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투명하고, 안전성이 보장되는 온라인 환경을 건설하고자 함.
③ 점포와 전자상거래가 서로 결합해, 온·오프라인이 융합 발전하고 있음.
④ 개성화된 주문 제작 서비스가 발전하기 시작했으며, 이에 따라 소비자의 요구가 제조과정에 반영되고 있음.
- B2C 의류 온라인 플랫폼으로 Tmall, JD와 웨이핑후이(唯品会) 등이 있음. 이런 의류 전자상거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요인으로는, 원가 절감 및 고객의 DB 획득의 용이성, 재고 문제 해결의 용이성 등이 있음.
□ 관련 정책 및 규제
ㅇ 제13차 5개년계획(2016~2020년)과 섬유산업
- 첨단 과학기술을 섬유산업에 적용, 고성능 연구 프로젝트 활성화를 통해 품질향상과 브랜드 육성을 목표로 삼음.
- 신소재개발이 10대 중점 사업 중 하나로 선정돼, 섬유와 전자 마이크로칩의 융합을 통한 스마트섬유개발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또한 질적 성장을 가로막고 있는 구조적인 생산능력 과잉을 해소하고, 혁신을 주도할 인력양성을 양성할 것임.
- 소비주도의 새로운 경제동력 구조 전환으로 소매판매액 증가할 것이며, 온라인 유통산업의 성장으로 도농 간의 소비격차가 감소할 것임.
ㅇ 섬유제품 품질 감독관리방법
- 2016년 3월 31일부터 시행됐으며 '중화인민공화국 제품품질법'에 근거해 제정
- 섬유검사전문기관이 제품의 품질감독을 실시하도록 규정했으며 국가표준, 업계표준에 부합하는 산업인증을 따르도록 강제적 법적 근거를 마련함.
- 검수 및 기록의무를 이행하지 않거나 관련 품질 요구 부합 여부 및 포장, 표지 등 요구 부합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생산을 추진한 경우에 대한 처벌조항 명시함.
ㅇ 한-중 FTA와 섬유 관련 원산지규칙
- 중국은 2016년 수입관세 조정방안을 통해 787개 제품에 대해 수입관세율(잠정세율)을 대폭 낮추기로 함. 기존에 의류에 적용됐던 14~25%의 관세율은 조정 후 7~13%로 인하돼 일반세율(최혜국 세율)에 비해 절반 가깝게 인하됨.
- 섬유분야의 원산지기준은 세번 변경 기준 또는 역내부가가치기준 모두 선택적으로 적용 가능하며 역내 부가가치 기준도 40%로 완화됨.
- 섬유사는 역내 방적 또는 방사공정 수행 시 원산지로 인정하고, 직물은 역내산 원사를 사용해 제직 또는 편직공정을 수행하거나 역내 부가가치 40% 이상 발생 시 원산지로 인정함.
- 의류의 경우 원사나 원단은 제3국산 사용이 가능하고 역내에서 재단과 봉제공정을 수행하거나 부가가치 40% 이상 발생 시 원산지로 인정. 특히 한반도 역외가공지역 생산품에 대해서도 국내산으로 인정함.
- 원산지 증명서는 별도 합의된 양식에 따라 한-중 양국정부가 지정한 기관에서 발급된 것 만을 인정함.
- 단, 700달러 이하의 물품에 대해서는 원산지 증명서 제출이 면제. 원산지 검증은 수입국 정부의 의뢰를 받아 수출국 정부가 간접적으로 원산지 검증을 실시함.
2016년도 섬유류의 한-중 FTA 수출입 활용률
수출활용률 | 수입활용률 |
21.6% | 60.0% |
자료원: 관세청
ㅇ 중국 산업인증 및 표준
- 중국의 강제성표준 질량요구에 부합하지 않은 제품은 중국시장에 진입 불가, 국가강제성 표준은 GB로 표시되며 의류업계의 표준 Code는 FZ와 FZ/T로 구분함.
- 2010년 12월 1일부터 '날염기업종합에너지소모계산법 및 기본정액'이 실시돼 방직업계표준 60항을 구성했음. 7개 전문영역은 면방직날염 9항, 모방직 15항, 마방직 7항, 실크4항, 니트11항, 밴드 4항, 방직기계와 부품 10항으로 나누어 60항의 표준 중 3항은 국제표준을 따르고 그 중 1항은 ISO표준을 나머지 2항은 ISA 표준을 적용함.
- 2010년 1월 1일부터 GB/T 23314-2009(넥타이) 국가표준을 처음으로 실시해 넥타이 관련 용어를 정리하고 넥타이 면료의 포름알데히드 함량, pH값, 염색견뢰도, 분해가능한 아로마틱 아민 및 이취 등의 지표를 지정해 강제시행함.
- 2010년 1월 1일부터 국가표준 GB/T 23328-2009(직조교복)을 실시해 직조교복에 대한 검측방법과 검험분류규칙, 포장, 운수, 저장 등의 기술특징 등을 규정함.
- 국가표준 GB/T 23330-2009(의료방수성능 요구)는 유럽표준 EN343:2003을 참고해 기본 방수요구를 제정함.
- 2011년 8월 '국가방직제품 기본안전기술규범'이 새롭게 개정됨. 기존의 0~24개월의 영아 연령을 0~36개월로 늘리는 한편, 제품에 적용되는 표준을 기입하도록 하고 포름알데히드 함량, pH값, 염색견뢰도, 분해 가능한 아로마틱 아민 등 유해물질에 대한 감독이 더욱 엄격해짐.
- FZ/T 73022-2012(니트보온내의) 국가표준은 보온내의의 품질을 검증하기 위해 제정한 것으로 니트 보온내의의 사이즈, 품질테스트 방법, 판정 규칙, 제품 사용설명과 포장을 규정하고 보온내의의 포장에 보온율과 환경보호지표 등을 기입하도록 강제하는 한편 보온율은 30% 이하로 낮출 수 없도록 규정함.
- 새롭게 개정된 GB5296.4-2012(소비자사용 설명제 4부분: 방직품과 의류)가 기존의 GB 5296.4-1998(소비자사용 설명 방직품과 의류사용 설명)을 대체하게 돼 새로운 표준은 강제성 요구의 내용과 국제표준을 추가하는 동시 적용되지 아니하는 범위를 명확하게 규정해 각항의 내용에 주석을 달아 설명하도록 함.
- 국가표준 GB 31701-2015는 '영아 및 아동방직제품안전기술규범'으로 2018년 6월 1일부터 전면 강제시행 됨. 이는 중국의 첫 영아 및 아동방직품(아동복)에 대한 강제성 국가표준으로 영아와 아동의 안전요구를 ABC 세가지로 나누어 영아용 제품은 A류의 요구를 만족해야 하며 아동의 피부에 직접 접촉되는 방직제품은 최소 B류의 조건에 부합하도록 강제했으며, 피부에 직접 맞닿지 않은 아동방직제품은 C류로 분류했음. 또한 모든 아동복에는 안전분류표시를 하도록 했으며 '영유아 용품'이라고 기입하도록 강제함.
- 2017년 12월에 '방직품비직조포시험방법(GB/T 24218.16-2017)'과 '방직품 이취제거성능측정(GB/T33610.2-2017)', '방직품흡음성능검측과 평가(GB/T33620-2017)' 등이 실시될 예정임.
□ 시사점
ㅇ 빠른 대처능력 필요
- 트렌드와 가격 민감성에 빠르게 반응할 수 있는 대처능력을 키워야 함.
- 패스트패션의 특성인 저렴한 가격 마케팅으로 인해 업체들이 제조가격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음. 이에 한국산 제품의 가격경쟁력 강화가 필요함.
- 저렴한 가격을 무기로 하는 중국산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중국산이 넘볼 수 없는 고품질 신소재 개발이나 수준 높은 디자인이 필수임.
ㅇ 빠르게 변하는 동북지역 유통구조와 채널에 적응
- 전통 유통시장을 통한 판매는 이미 한계에 도달했음. 따라서 전자상거래를 통한 다각화된 유통채널 확보가 시급함.
- 중국의 온라인 시장규모는 매년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동북지역도 전자상거래를 통한 의류 구입 비중도 나날이 높아지고 있음.
- 타오바오(淘宝)나 징동(京东)외에도 디자이너 제품을 소규모로 유통하는 중소 패션몰에 입점해 동북소비자를 공략할 필요성이 있음.
- 동북지역이 연해지역에 비해 다소 침체돼 시장성 판단에 비관적인 견해들이 있지만, 동북지역의 틈새시장 공략을 위해 지역 유통상을 찾아 공략하는 것이 중요함.
- 한국 원단이 중국 및 기타 경쟁국제품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감성 염색 및 동북기후조건에 특화된 기능성 제품을 개발이 필요함.
ㅇ 시장정보와 마케팅 정보 확보
- 동북시장 시장개척을 위한 마케팅 전문인력을 자체적으로 확보하는데 비용적 및 시간적으로 한계가 있음.
- 따라서 현지 컨설팅 정보를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정부에서 지원하는 지원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할 필요성이 있음.
- 현지의 대리상, 백화점 입점, 홈쇼핑 등 판매물류형태로 공유되고 있는 정보들을 동종업계에서 서로 공유함으로 윈윈할 수 있는 기회를 창출할 필요성이 있음.
자료원: 중국 해관총서, 智研咨询, Global Trade Atlas, 중국국기통계국, 티몰(T-mall), 관세청 中国产业信息网, KITA, KOTRA 선양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