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19 완치자는 얼마 동안 항체를 유지할 수 있을까요?
방역 당국이 최근 관련 조사 결과를 내놨습니다. 혈장 치료제 개발을 위해 2~3회 이상 혈장을 제공한 111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감염에 따른 중화항체 생성과 지속 기간을 조사 한 겁니다.
코로나 19 확진 후 평균 3개월, 6개월이 지난 뒤에도 중화항체 생성률은 78%를 유지했습니다. 9개월 시점의 중화항체 생성률은 67%였습니다. 다소 줄어들긴 했지만 항체를 여전히 유지하고 있습니다. 방역 당국은 이런 연구 결과를 앞으로 "백신 접종을 통해 생성되는 중화항체 지속 기간 연구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항체 형성 조사, 집단 면역 형성 여부 판단 근거
백신 접종 이후 항체가 얼마나 지속되는지 알아보는 조사는 여러가지 이유에서 중요합니다. 중장기적인 백신 정책을 만들기 위한 근거가 됩니다. 특히 집단 면역 형성 여부에 대해 판단을 내릴 수 있는 자료입니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백신 종류 별로 200명 정도의 접종자들을 대상으로 중화항체가 생겼는지, 중화항체가 어느 정도 기간까지 지속되는지 등 표본 인구에 대한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나아가 "항체 형성률 추정치로 집단 면역에 대한 부분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백신 접종 후 1년은 항체 유지될 것"
전문가들은 코로나 19 백신 접종 후 적어도 1년은 항체가 유지될 것으로 봅니다. 다만, 국내 감염이 확산되고 있는 변이 바이러스도 변수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백신의 종류와 개인의 체질에 따라 항체 형성 정도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원본보기
광주 북구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코로나19 검체 채취를 하는 의료진의 페이스쉴드에 땀이 맺혀있다. [출처-연합뉴스]
"비만이면 항체 덜 생겨"
일부 연구 결과에 따르면 비만인의 경우 정상인과 비교해 항체가 덜 생긴다고 합니다. 이탈리아 국립암센터의 알도 베누티 박사팀은 화이자 백신 2차 접종을 마친 의료 종사자 248명의 접종 결과를 분석했습니다. 체질량 지수(BMI)가 높은 비만의 경우 정상체중인 사람에 비해 형성된 항체 양이 적었습니다.
http://naver.me/GcjB0sY1
첫댓글 두 방 세게 놔줘요
아이 진짜 살빼야겠네
찐허게 놔주면 안될까
제티비씨답네 ㅋㅋ 수백만이 맞았는데 248명 가지고 제목에다가 씀ㅋㅋ 그리고 유럽 비만이면 우리기준 초고도일걸. 정확하지도 않은 결과니까 신경쓰지마
진짜 비만은 장점이 없어~
모든 병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