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불교조계종 25교구 본사] 각오-2012-01-07(토)13;30
본사 [本寺]불교 브리태니커 불교에서 한 종파의 종무(宗務)를 통할하는 본부 사찰, 또는 지정된 구역 내의 사찰들인 말사(末寺)를 통합하는 큰 사찰. 본산(本山)이라고도 한다. 승려들 사이의 일상 용어로는 처음으로 출가하여 승려가 된 절을 뜻하기도 한다. 현재 한국에서 통용되고 있는 본사는 주로 대한불교조계종의 25교구 본사를 가리킨다. 역사적으로는 고려 말기부터 조선 초기까지 11종의 종파가 있었고, 이들 종파를 1407년(태종 7)에 7종으로 감축했는데, 이들 각 종파에는 모두 본사가 있었다. 1424년(세종 6)에는 이들 여러 종파를 선종(禪宗)과 교종(敎宗)으로 통합하고 양종에 각각의 본사를 두었다. 1565년(명종 20) 선교양종제가 폐지되면서 통용되지 않았던 것이 한일합방 이후 일제에 의해 불교탄압정책의 일환으로 제도적인 면에서 다른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1911년 일제는 조선사찰령을 공포하여 전국 사찰을 30개 구역으로 나누고 각 구역마다 하나의 본산을 두었다. 1924년에는 본산을 하나 더 추가함으로써 31본산제도로 확립되었다. 당시 지정된 본산은 다음과 같다. 경기도 광주군의 봉은사, 양주군의 봉선사, 수원군의 용주사, 강화군의 전등사, 충청북도 보은군의 법주사, 충청남도 공주군의 마곡사, 금산군의 보석사, 전라북도 전주시의 위봉사, 전라남도 장성군의 백양사, 순천시의 송광사·선암사, 해남군의 대흥사, 경상북도 문경군의 금룡사, 의성군의 고운사, 영천군의 은해사, 달성군의 동화사, 경주군의 기림사, 경상남도 합천군의 해인사, 양산군의 통도사, 부산직할시의 범어사, 강원도 고성군의 건봉사·유점사, 평창군의 월정사, 강원도(북한) 안변군의 석왕사, 함경남도 함흥시의 귀주사, 황해남도 해주시의 패엽사, 황해북도 황주군의 성불사, 평양특별시의 영명사, 평원군의 법흥사, 평안북도 영변군의 보현사, 전라남도 구례군의 화엄사 등이다. 해방 이후 불교정화과정에서 한국불교 종단은 조계종과 태고종으로 양분되었는데 유서 깊은 주요사찰을 거의 되찾은 조계종에서는 남한 전지역 사찰들을 25교구 본사로 조직했다. 25교구의 각 본사는 다음과 같다. 제1교구 조계사, 제2교구 용주사, 제3교구 신흥사, 제4교구 월정사, 제5교구 법주사, 제6교구 마곡사, 제7교구 수덕사, 제8교구 직지사, 제9교구 동화사, 제10교구 은해사, 제11교구 불국사, 제12교구 해인사, 제13교구 쌍계사, 제14교구 범어사, 제15교구 통도사, 제16교구 고운사, 제17교구 금산사, 제18교구 백양사, 제19교구 화엄사, 제20교구 선암사, 제21교구 송광사, 제22교구 대흥사, 제23교구 관음사, 제24교구 선운사, 제25교구 봉선사 등이다. |
|
첫댓글 남한 전지역의 25교구 본사()()()
사 월정사 법주사 마곡사 수덕사 직지사 동화사 은해사 불국사 해인사 쌍계사
사 관음사 선운사 봉선사
나무관세음보살()()()
조계사 용주사 신
범어사 통도사 고운사 금산사 백양사 화엄사 선암사 송광사 대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감사히 배워 갑니다,,
수고 하셨습니다,,~
관세음보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