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전 9시40분경 향토회관 후문에서 모여 (김귀열,장재호,김현민,한영애,윤시진,박명희,박연미,고수진,이산재,정천옥,진서심,배정희,이길삼,박길림,한진희,박송수.16명 참석)






중앙에 전 명산면장 김방현 공로송덕비 世居里仁(세거리인)오래도록 동내에서 어질게 살면서 性溫德明(성온덕명)따뜻한성품으로 덕을 밝게 펼쳤다. 面務代表(면무대표)면 사무를 보는대표로서 民情實行(민정실행)면민의 마음을 법대로 실행했다. 配欽節約(배흠절약)배우자를 흠모하고 절약하며 會議公平(회의공평)여럿이 모여 의논하고 공평하게 했다 厥(그 궐)公難급(달릴 급)궐공난급.빨리 달리고자 함을 어려워 했으니 刻石頌聲(각석송성)돌에 세겨 공덕을 기리어 노래한다 비가와서 잘 살피지 못하였습니다.






강진 성전면 백운동 원림 앞에서 강영석(전,군의회 의장)해설사님의 해설을 들으면서 숲길을 걸었답니다.










다산 정약용이 극찬한 강진 백운동 정원, 국가 문화재 '명승'답사 전남 강진 월출산 아래 자리잡고 있는 백운동 원림, 국가지정문화재 ‘명승’ “끌어와 바라보는, 월출산 옥판봉의 빼어남(제1경 옥판봉·玉版峰), 겨울 추위에도 피어난 독백나무 숲 꽃봉우리(제2경 산다경·山茶徑), 집둘레 심어진 100그루 홍매화 은은한 향(제3경 백매오·百梅塢)….” 다산 정약용(1762~1836)은 월출산 옥판봉 남쪽에 자리잡고 있는 백운동에 묵으면서 그 경치에 흠뻑 빠졌다. 다산은 제자인 초의선사(1786~1866)에게 ‘백운동도’를 그리게 하고 이곳 주변의 아름다운 경승 12곳을 칭송하는 시를 남겼다. “단풍 우거진 계곡바위에 떨어지는, 홍옥 같은 물방울(제4경 홍옥폭·紅玉瀑), 여섯 굽이 흐르는 물에 손님과 앉아 띄우는 술잔(제5경 유상곡수·流觴曲水), 푸른 빛 절벽 바위에 써둔, 붉은 빛깔 큰 글자(제6경 창하벽·蒼霞壁), 언덕 위 용 비늘 껍질의 사철 푸른 소나무(제7경 정유강·貞유岡), 집 앞 꽃계담에 심은 모란 빛깔(제8경 모란체·牡丹체), 산허리에 작게 만든 방의 고즈넉함(제9경 취미선방·翠微禪房), 단풍나무 붉은 비단 가람막(제10경 풍단·楓壇), 비에 씻겨 고운 뫼 바라보는 신선 머무는 작은 정자(제11경 정선대·停仙臺), 깎은 옥이 하늘로 솟아오르는 듯한 왕대 숲의 빽빽함.(제12경 운당원)” 다산의 제자인 이시헌은 물론 조선후기의 문인 김창흡·김창집·신명규·임영 등도 백운동과 관련된 다양한 시문을 남겼다. 문화재청은 담양 소쇄원, 원도 보길도 부용동과 함께 호남의 3대 정원으로 통하는 백운동의 원림(園林·정원)을 국가지정문화재 명승 제115호로 지정했다. 백운동 원림의 내정(內庭·안뜰)에는 시냇물을 끌어 마당을 돌아나가는 ‘유상곡수’의 유구가 남아 있다. 화계(花階·꽃계단)에는 선비의 덕목을 담은 소나무, 대나무, 연, 매화, 국화, 난초가 자라고 있다. 원림을 조영한 이는 조선후기 인물인 이담로(1627~1701)이다. 원림은 이담로의 본가인 백연당(강진군 성전면)에서 북쪽으로 11㎞ 떨어진 곳에 자리잡고 있다. 원림은 이담로가 손자(이언길)에게 ‘평천장(平泉莊)의 경계’를 남김으로써 지금까지 보존됐다. ‘평천장’은 당나라 시대 인물인 이덕유(787~849)가 지은 별장 이름이다. ‘평천장의 경계’란 이덕유가 “후대에 이 평천을 파는 자는 내 자손이 아니며, 나무 한그루와 돌 하나라도 남에게 주는 자는 훌륭한 자제가 아니다”라고 남겼다는 유언을 일컫는다. 별장으로 사용되던 백운동 원림은 증손자 이의권(1704~1759)이 가족과 함께 살며 주거형 별서로 변모했고, 이후 여러 후손들의 손을 거치며 현재의 모습으로 완성됐다. 문화재청은 “백운동 원림은 풍치가 뛰어날 뿐 아니라 다산과 초의선사, 이시헌 등이 차를 만들고 문화를 교류하며 풍류를 즐기던 차 문화의 산실이라는 가치까지 더해 제대로 보존·활용되어야 할 문화유산”이라고 명승 지정의 의미를 밝혔다. 강영석 의장님의 해설 내용은 상기 글과 같습니다. 성전면 서울식당에서 저렴하고 맛있는 점심을 먹고 우리들의 최종 답사지 해남 삼산면 송정리 행.





해남군 삼산면 송정리에 도착하여 간단한 제막 기념사진을 찍고 비가와서 회관 안으로.




준비해 간 떡과 빵 녹차캔을 나누며 주민들과 담소, 참석해 주신 해남 박미례회장님과 윤영애선생님 감사합니다. 오후 3시10분경 향토회관에 도착하였습니다. 모든분께 감사 드립니다.
|
첫댓글 우중에 수고하셨습니다
진도해설사님들의 노력으로 송정리에 대해서 알게되었읍니다. 빗속에서 애쓰신 진도해설사님들 감사드립니다. 특히 해남지회장님과 윤영애선생님 수고하셨읍니다...
탐구와 학습을 몸소 현장방문하시면서 해설의 노하우를 up하시는 진도 해설사님 존경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