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ilibuster(필리버스터), freebooter(프리부터), free(프리), friend(프렌드) #4
위에 제시된 4가지 단어는 모두 어원적으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그 관련성에 대해 몇 차례로 나누어 다루고 있습니다. 그 네 번째 글인 이 글에서는 “filibuster(필리버스터)”의 “fili-”, “freebooter”의 “free”, 그리고 “friend”의 어원과 의미를 간단하게 살펴보겠습니다.

이들은 “to love(사랑하다)”를 의미하는 원인구어 어근 “*pri-”에서 비롯된 것으로 고대영어에서는 “not in bondage(노예가 아닌, 속박에서 벗어난), free(자유로운)”를 의미하는 “freo” 그리고 “affection/ love(애정), peace(평화)”를 의미하는 “freod”라는 어형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사랑한다면 다툼이나 싸움(war)이 없을 테니까 “사랑하다”가 “평화(peace)”로 의미 확장되는데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필요 없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사랑하다”가 어떻게 “자유”라는 의미와 연관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부연 설명이 필요할 것 같아 간단하게 설명 드리겠습니다.
게르만어파와 켈트어파의 일부 언어들에 있어 ‘노예(slaves)’와 반대 의미를 지니는 ‘씨족 중 자유민(free members of one's clan)’에 ‘사랑스러운(beloved)’ 혹은 ‘친구(friend)’가 사용되었던 것이 문헌을 통해 확인됩니다. 달리 말하자면, 노예가 아니라 자유민이 “사랑스러운 친구(beloved friend)”로 간주된 것 같습니다.

아래에는 “사랑하다”라는 의미와 관련이 있는 대표적인 단어들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friend [frend] <n.vt.> 친구, 동료, 벗, 동무, 자기편 (⇦ 사랑하는, 즉 미워하지 않는 사람)
friendship [fréndʃip] <n.> 우정, 우애, 친선, 친목, 화목, 친교, 교우
friendly [fréndli] <a.?ad.> 친한, 우호적인, 반가운, 친절한
<n.> 우호적인 사람, 아군 병사/ 선박(enemy)
• friendly fire: 아군에 의한 오발(誤發)
unfriendly [ʌnfréndli] <a.ad.> 불친절한, 박정(薄情)한, 적의가 있는, 불리한
Friday [fráidi, -dei] <n.a.ad.> 금요일(사랑․결혼의 여신인 “Frigg, Frigga”의 날)
아래에는 “자유”라는 의미와 관련이 있는 대표적인 단어들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free [fri:] <a.ad.vt.> 자유로운, 마음대로의, 한가한, 예약되어 있지 않은, 활수한, 무료의
freedom [frí:dəm] <n.> 자유, 해방, 탈피, 면제, 특권, 출입권, 시민권, 회원권
freely [frí:li] <ad.> 자유로이, 자유롭게, 마음대로, 거리낌 없이, 아낌없이, 무료로
《김성봉 영어평생교육원》은 한국 영어교육의 표준화를 위하여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우리들만의 노력으로는 이 목표를 달성하기 어렵습니다.
여러분께서 우리와 함께 해 주시지 않겠습니까?
여러분의 도움과 응원을 학수고대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