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작년인가 사서 읽다가 책장에 그냥 꽂아두었다가 문뜩 빨간색이 눈에 다시 띄어 읽어 버렸다.
순수 소설의 미학적 품격을 유지하면서도 연극 무대를 연상케 하는 등장 인물의 내러티브(narrative)와 사라진 엄마를 추적하는 추리 소설적 기법을 활용해 읽는 재미를 높인 것도 주요 원인인 듯하다.
그리고 구성이 독특하다. 제3자의 시선으로 사건이 전개되는 것도, 또는 ‘나’를 주인공으로 전개되는 것도 아니다. 엄마를 잃어버린 시점으로부터 가족 여러 명의 시선을 통해 이야기가 전개된다.70대가 되어버린, 그리고 그렇게 길을 잃어버린 엄마의 모습이 그런 느낌으로 다가오는 것 같아 가슴이 찡했다.묵묵히 가족만을 위해 자신은 스스로 희생을 강요하며 살아가는 우리네 모든 엄마는 여자이며 또 한 사람의 딸이다.
이보다 구구절절한 소설도, 영화도, 드라마도 많았었다. 세상의 어머니, 특히 대한의 어머니들은 모두 그렇게 자식을 향한 조건 없는 사랑과 희생을 스스로 강요하는 삶을 마다 하지 않고 살아온 것이다. 정작 자신의 행복은 아랑곳하지 않은 채. 그래서 대한의 딸들은 보다 엄마와 가까우면서도 정작 좋지 않은 사이가 되기도 한 듯하다.
그 저변엔 ‘나는 엄마처럼 살지 않으리라’는 다짐이 깔려 있을 법하다. 그래서 힘들게 살아온 엄마들의 모습이 대견스럽기도 하고, 또 한편으론 그저 묵묵히 참으며 살아온 엄마의 모습이 안쓰럽고 미안하고, 그러면서도 딸로서의 ‘속 터지는 마음’이 엄마에 대한 속절없는 미움으로 남기도 하는 것인지도 모를 일이다.“시집가서 딱 너 같은 딸을 낳아서 키워봐라.” 지금 난 나와 똑 같은 이시대의 또 다른 엄마로 살고 있다. 그 키우는 과정이 녹녹하지는 않다.
그렇지만 왜 그렇게 엄마가 말했는지에 대해서는 아주 많이 느끼고 있다.
엄마를 잃어버린다는 일이 가능할까? 잃어버렸다는 표현 자체에서 이 소설에서 엄마의 위치가 어떤지 추측할 수 있었다. 엄마가 실종되었다거나, 없어진 것이 아니라 엄마를 잃어버렸다는 것은 엄마가 주체가 아니라는 것이라는 느낌이 들었기 때문이다. 앞으로의 시대를 살아가면서 엄마를,아니 나를 또 나의 딸들을 잃고 살면 안되겠다. 그리고 이 시대를 놓치고 가는 일은 없어야 되겠다.
첫댓글 엄마를 부탁해..이책을 읽고 난후 엄마에게 전화를 걸어 그냥 무슨말이든 해야겠다 싶어 전화를 걸었어요.이시대 모든 자식들은 꼭 읽어보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