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오케스트라 발전을 위해 모든 한국 오케스트라를 진단합니다. 1~ 10까지의 등급을 부여하고 아래와 같이 세계
오케스트라의 각 파트의 역량을 제시하여, 우리나라 오케스트라 각 파트를 진단해 봅니다. 저는 이런 방식으로 오케.
각 파트를 분석하는 것이 옳은 일인지 망설임도 있었습니다. 그동안 우리나라 지방 오케스트라에 관해 크게 관심을
갖고 있지 않았었고 근자에 들어 매체를 통해 지방 오케스트라를 살펴 보던중 양적으로는 크게 성장한 우리나라 오케.가
깊숙하게 분석을 해보니 앙상블 질적으로는 발전의 폭이 커 보이지 않았고, 10년 전보다 오케스트라 전체 단원이 극심한
매너리즘에 빠져 오히려 퇴보한 경우도 인지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비판을 무릅쓰고 글을 쓰기로 결정했습니다.
제 글로 인해 많은 분이 상처를 입을 수도 있을 것이라는 점 매우 가슴 아프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고국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제가 오케스트라 발전을 위해 아주 작은 바램으로 기록한 글이 조금이라도 우리나라 오케스트라 발전에 도움 되기를
간절하게 바래봅니다. 실제 공연을 참여해 글을 써야 올바른 방법입니다. 그러나 발전된 매체를 통해 전해지는 실황 연주
기록도 음원 작업같이 분칠을 많이 해 실체와 많은 차이를 보이는 것보다는 더 좋을 수 있고, 홀마다 좌석에 따라 전혀
달리 들려 오케스트라 발란스 확인에 오류를 범할 수 있는 것 역시 방지하는 이점도 있어 이 방법을 택했습니다."
10 (세계 최정상급 上) - rco의 모든 현 파트, 오보에, 클라리넷, 목관 특수 악기, 트럼펫, brso - 오보에, hr - 목관 특수악기
라디오 프랑스 파리 - 오보에, 트럼펫, 빈 필 - 플룻, brso - 오보에, Danish National Symphony - 플룻 솔로 Ulla Miilmann.
9 (세계 최정상급) - rco - 바순, 금관 악기. brso - 클라리넷, hr - 플륫, ndr - 오보에, 빈 필 - 현 파트, 클라리넷, 호른.
베를린 필 - 콘트라 파곳, 호른. hr - 목관 특수악기, dresden staatskapelle - 현 파트, 오보에.
8 (메이저급)
7 (준 메이저급)
6 (세계 오케스트라 평균 급)
5 (이하)
부산 시립 교향악단 Busan Philharmonic Orchestra
참고 연주곡
Daphnis et Chloé Maurice Ravel 2022, 4, 8 (최수열)
9. Sinfonie in d-Moll op. 125 Ludwig van Beethoven 2019, 12, 28 (최수열)
Eine Alpensinfonie op. 64 Richard Strauss 2019, 4, 18
Symphony No. 9 in D minor, Op. 125, Ludwig van Beethoven 2015.12, 17
Maurice Ravel: La Valse 2021, 4, 9 (최수열)
5. Sinfonie in d-Moll op. 47 Dmitri Schostakowitsch 2021. 9,3 (서진)
Don Juan Richard Strauss 2021, 4,9 (최수열)
지휘자; 5.5
악장; 5.5 1st 바이올린 5.5
2nd 바이올린; 5 비올라; 5
첼로; 4 콘트라바스; 4
플룻; 6.5 오보에; 6.5
클라리넷; 6.5 바순; 5.5
호른; 5 트럼펫; 5
트럼본; 5.5 튜바; 6
팀파니; 5 타악기; 5
지휘자 정명훈이 2006년 서울 시향을 맡으면서 제일 먼저 전 단원의 오디션으로 오케스트라를 재조직했다.
피아니스트의 길을 접고 1975년 22세의 나이부터 지휘자 수업을 받은 그는 1978년 줄리니의 로스엔젤레스 필의
부지휘자로 들어가 전문 지휘자의 길로 진로를 바꾼다. 30년 넘게 세계 정상급 오케스트라를 살펴봤던 그가
서울 시향을 맡아 오케스트라를 볼 때, 메너리즘에 빠져있는 기존 단원으로는 오케스트라를 성장시킬 한계를 인지
했고 엄청난 후폭풍을 각오하면서까지 오디션을 단행한다. 국가 시스템으로 치면 거의 쿠데타에 비견할 수 있는
전 세계 오케스트라 역사상으로도 매우 드문 오케스트라의 재조직이었다. 이후 서울 시향은 시향착오도 있었지만
급성장했고 세계 메이저급 오케스트라 문턱에서 불미스러운 일로 정명훈이 그만두자, 10년 주기로 오는 메너리즘
함정과 겹쳐 서울 시향은 걷잡을 수 없는 나락에 빠진다. 거의 같은 시기 정명훈이 맡았던 라디오 프랑스 필에서는
전임 지휘자 Marek Janowsk가 11년간 이 오케스트라를 맡아 고질적인 자유분방한 프랑스 앙상블을 단단한 독일식
앙상블로 바꾸어 발전된 상태에서 맡아 비교적 수월하게 자기 뜻에 맞게 발전시킬 수 있었다. 서울 시향과는 달리
폭 넓은 프랑스의 클래식 인프라로 그가 맡은 15년간은 라디오 프랑스 필의 최전성기를 맞는다. 필자는 그가 서울
시향과 5년 정도만 더 함께 했었다면 메이저급 오케스트라로 성장했을 것이라는 안타까운 생각을 해본다.
그가 서울 시향과 함께한 시기는 지휘자로서 금쪽같은 시간의 황금기인 나이였다. 그가 조국을 위한 마음에서 서울
시향을 맡았지만, 만약 그 시기에 유럽에서 잘 갖춰진 오케스트라와 함께 했다면 지금보다도 더 많은 결과물로 세계
클래식 음악계에서 더욱 존중받는 음악인이 되었을 것이다. 그는 북한 음악 발전을 위해 북한 음악인을 프랑스로
초청해 라디오 프랑스 필과 공동 연주회를 갖는 등 정치인이 할 수 없는, 같은 동족에 긍지를 심어주기 위한 일까지도
우리 민족을 위해 힘을 쏟았다.
이 글을 쓰기 위해 우리나라 오케스트라들을 살펴볼수록 예술에서조차 지역주의에 폐단을 느낄 수 있었다. 부산 시향도
과거에 타지역 출신을 우대한 것에 지역 출신들의 반발이 있었고 재임용 오디션에서의 지휘자와 마찰을 보였었다.
오케스트라는 다른 기관과 달리 생물과 같은 시간 예술을 하는 예술 단체다. 원활한 세대교체 없이는 절대 발전을 이룰 수
없는 매우 특수한 경우의 직업이다. 예를 들어 영국 축구 Premier League에서는 단 한 시즌도 선수의 세대교체 없이는
팀을 지탱하지 못한다. 최상의 조합을 이루기 위해 시즌 중에도 약한 고리에 선수를 보강하고 또 보강한다. 세계에서 존중
받는 볼쇼이 발레단 역시 주기적인 세대교체로 최정상급의 공연을 유지하고 있다. 오케스트라 단원은 일반 공무원, 사회
직장인과는 다른 특수 직업군이다. 우리나라 오케스트라 연주인들은 이것을 간과하는 경우를 자주 보이는데 시간예술의
특성상 지휘자가 오케스트라 발전을 위해 재임용 오디션을 해야 하는 경우 이를 따를 수밖에 없다.
독일의 메이저급 오케스트라에서 종신 단원의 위치를 부여받았다고 해도 자신이 오케스트라 앙상블에 피해를 줄 정도에
들어서면 스스로 은퇴하는 전통이 있다. 물론 은퇴를 해도 촘촘히 짜여 있는 유럽의 사회 보장제도에 의한 미래의 두려움이
없는 이유도 있지만 우리의 경우 직장을 잃을 경우 생활에 직접적으로 어려움이 있어 그들과 비교하는 것에는 큰 간극이
있고 이런 문제를 섣불리 거론하는 것 자체가 현실적인 어려운 문제를 안고 있다. 필자가 살펴본 지방 오케스트라에서 가장
큰 문제점은 단원의 정체로 인한 세대교체 시기를 놓치는 경우다. 부산 시향의 경우 근자에 목관 수석의 교체를 통해 과거
보다 양질의 단원이 확보된 것이 긍적적 모습이었고 현 파트는 발란스의 문제점과 음량의 부족, 정돈되지 않은 거친 앙상블이
눈에 띄었다. 이것은 단원 개개인의 기량 차이로 인한 것이어서 다른 문제보다도 심각하게 생각해야 할 것 같아 보인다.
오케스트라는 상임 지휘자의 능력 이상 성장할 수 없다. 오케스트라가 성장하려면 오케스트라보다 월등한 능력을 갖춘
지휘자가 오케스트라를 맡아 적어도 10년 이상을 함께 해야 결과물이 만들어진다. 이것은 세계 모든 오케스트라의 성장
원리라고 보면 된다. 오슬로 필은 1979년 검증이 덜 끝난 36세의 라트비아 출신 마리스 얀손스에 오케스트라를 맡기고 동반
성장하여 모범적인 오케스트라의 결과물을 함께 만들어 간다. 2002년까지 23년간 그의 지도력으로 오케스트라의 전성기를
이룬다. 부산 시향의 역대 상임 지휘자를 살펴보면 오케스트라 성장에 동력이 될 지휘자의 모습은 보이질 않는다. 5명의
외국인 지휘자는 한결같이 부산 시향 성장에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은 최악의 선택이었고 특히 클래식 음악의 변방국인 중국
출신 지휘자를 지명하여 6년간 세월을 허비한 것은 선정에 참여한 사람들에게 책임을 물어야 할 정도로 심각해 보인다.
지휘자 선정에서 부산 시향은 전혀 안목이 없었음이 증명되었다. 세계 클래식 음악계의 동정만 살펴보았어도 인지할 수
있었던 매우 기초적 검증에 소홀하여 거의 20년간의 발전에 정체를 보여주었다. 지휘자를 선택하는 방법은 상대 평가에 의한
검증이 필요하다. 세계 클래식 음악 전문 지휘자는 냉정한 잣대로 정교하게 등급이 나뉘어 진다. 이것은 세계 클래식 음악계의
동정만 살펴보아도 인지할 수 있는 그리 어렵지않는 방법이다. 부산 시향의 앞날을 책임지는 위치에 있는 사람이라면
우리나라 지휘자는 말할 것도 없이 세계 지휘자의 동향을 파악하고, 적어도 2~3년 앞서 다음 지휘자를 정해 놓아야 한다.
글 초입에 지휘자 정명훈과 서울 시향을 언급한 이유는 정명훈의 서울 시향이 우리나라 오케스트라 역사상 가장 뚜렷하게
성장한 모범적인 결과물을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전 세계 오케스트라의 시스템과 성장 과정, 세대교체를 해나가는 방법,
지휘자 선정 방법 등을 관찰하여 부산 시향에 적합한 시스템을 갖춰 오케스트라를 발전시켰으면 하는 바램을 해 본다.
필자가 수도 없이 말한 생물과도 같은 공연예술, 시간예술의 근본을 이해하고 그것을 토대로 모든 시스템을 갖춰가는 것만이
오케스트라를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6, März, 2024. Hamburg franciscopaik.
세계에서 가장 존중받고 있는 rco의 경우 목관 파트 수석 8명 전원이 타국 출신이고 19명의 정단원 중 네덜란드 출신은 5명
밖에 안될 정도로 오로지 최정상급 오케스트라를 유지하기 위해 최선책을 택하고 있다. 유럽의 메이저급 오케스트라에서
과거 자국인 음악가들에게만 기회를 부여했던 시간을 지나 유럽의 연주인은 물론 동양의 음악인에게도 개방하여 악단의
발전에 힘을 쏟고 있지만 점점 줄어드는 클래식 전공자로 많은 메이저급 오케스트라도 자신이 원하는 단원을 찾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세계는 점점 더 글로벌화가 되어가는데 이 흐름에 순응하지 않으면 발전의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다.
RCO (Koninklijk Concertgebouworkest)
목관 파트 *** 직책, 출신국, 입단 시기, 약식 경력. ***
flute:
Emily Beynon - principal (영국) *1999 Alain Marion Hague and Amsterdam 교수
Kersten McCall - principal (독일) *2005 Aurèle Nicolet - third prize 2000 ARD
Julie Moulin (프랑스) *2011 Lyon Conservatoire - RCO Academy Rotterdam Conservatoire 교수
Maria Semotyuk-Schlaffke (우크라이나) *2007 Hochschule für Musik Karlsruhe
Vincent Cortvrint - Piccolo (벨기에) *1996
2024년 현재, 파트 평균 재직 기간; 20.2 년.
oboe:
Alexei Ogrintchouk - principal (러시아) *2005 CNSMP, Genève (1998) London & Royal Conservatoire Hague 교수
Ivan Podyomov - principal (러시아) *2016 ARD (2011), 2nd Concours Genève (2010) Hochschule Luzern 교수
Nicoline Alt - Oboe (네덜란드) *1998 European Union Youth Orchestra
Alexander Krimer - Oboe ( Belarus) *2020 North International Competition 2019 cnsmp
Miriam Pastor Burgos - cor anglais (스페인) *2012 principal Komische Oper (2011-2012).
파트 평균 재직 기간; 13.8년
clarinet:
Calogero Palermo - principal (이태리) *2015 Teatro dell’Opera di Roma principal
Olivier Patey - principal (프랑스) *2013 ARD - principal Rotterdam Philharmonic
Hein Wiedijk - clarinet (네덜란드) *1996 Conservatory in Amsterdam
Arno Piters - es clarinet (네덜란드) *2003 Mahler Jugendorch.
Davide Lattuada - bass clarinet (이태리) *2006 Orch. dell’Accademia di Santa Cecilia
파트 평균 재직 기간; 17.4년
bassoon:
Gustavo Núñez - principal (우루과이) *1995 Klaus Thunemann - Geneva Competition
Andrea Cellacchi - principal (이태리) *2022 Matthias Rácz Zurich University.- Muri Competition
Helma van den Brink - bassoon (네덜란드) *2005 Gustavo Núñez European Union Youth Orch.
Simon Van Holen - kontra bassoon (=) *2012 Gustavo Núñez, Gustav Mahler Jugendorch
"Jos de Lange - bassoon (네덜란드) *1982 Amsterdam Bach Soloists 2023년 은퇴 "
파트 평균 재직 기간; 20.2년
목관 파트 전체 평균 재직 기간; 17.9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