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색 글은 <삼국사기> 기록이다. 갈색 글은 다른 글의 원문 기록이다. 파란색 글은 저자의 해석이다.
4. 초고왕과 구수왕의 일본진출
초고왕(재위166~214)
초고왕(肖古王)<또는 소고(素古)라고도 하였다.>은 개루왕(蓋婁王)의 아들이다. 개루가 재위 39년에 죽자 왕위를 이었다. 초고왕은 즉위 전에 일본에 진출하여 일본에서는 스사노오신으로 불리워진다.
일본에서 근초고왕을 속고왕速古王, 또는 속고대왕速古大王으로 기록하기도 했다. 일본에는 백제 속고대왕速古大王의 후손으로서 여러 씨족 가문인 금부련錦部連, 삼선숙녜三善宿니등 직계 후예를 남겼는데 이는 일본의 고대 기록인 [신찬성씨록新撰姓氏錄]에 남아있다. 위 책에서 속고대왕 손자에 비류왕이 기록되어 있다. 함흥 지방은 고대에 소시모리라고 하였고 온조왕 때에 우곡성이라 하였다. 뒤에는 우수주(牛首州; 삼국사기)라고도 하였다. 우수주牛首州는 다른말로 오근내烏根乃라고도 했는데, 함흥 성천강城川江의 서쪽 가지 이름에 흑말천이 있다.
우수주에는 횡천현橫川縣이 있었는데 함흥 동쪽 호련천瑚漣川부근이고 우수주에 또한 자현磁縣이 있었는데 이는 함흥 서북쪽 자고성慈古城에 해당한다. 자모성은 백제 주성의 북쪽 호위성이다.
정평군은 수시리고성, 수곡성, 장곡성이 있던 곳이다. 수곡성과 장곡성은 금이강을 사이로 마주보며 수시리고성은 동쪽이었다. 수시리고성은 백제 사성(蛇城)이다. 수시리고성은 속고대왕의 딸 수세리히메가 구수대왕을 만나 결혼한 곳이다. 정평군 아래 문천군은 본래 이름이 낭자곡성으로서 서기 63년부터 백제 영역이었다. 문주왕이 백제왕이 되기 전에 있던 곳이 문천의 문주다.
[삼국사기지리지]에서 고구려, 백제의 우수주牛首州 지리 이름을 보면 우수주가 초고왕이 처음 개척한 함경남도 함흥이다.
우수주牛首州는 다른말로 오근내烏根乃라고도 했다는데 함흥 성천강城川江의 이름에 흑말천이 있다.
호원군乎原郡은 北原이라고도 했는데, 함흥 북쪽 홍원군洪原郡이다.
근평군斤平郡은 병평(幷平)이라고도 했고 심천현深川縣만 있었는데, 평주진 고성으로 고려된다.
양구군陽口郡은 신포시 양화만(陽化灣)이다. 대양산(大陽山) 아래에 있다.
성천군(犬生-川郡) 또는 야시매(也尸買)는 이원군利原郡으로 고려된다. 시리군이라고도 하였다.
대양관군大楊管郡은 마근압馬斤押이라고도 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 경성도호부의 18역(驛) 이름중에도 무녕역(撫寧驛)이 있었다. 지금 수성천輸城川이 무릉산에서 흘러내리는데 무령산이었을 수도 있다. 길주吉州의 고선화진古宣化津은 무령대왕 동생인 선화천황宣化天皇이 있던 곳으로 고려된다.
수성천의 최상류는 부령군에 있다. 그런데 이 수성천의 원류를 회령군 여이현(餘伊峴) 남쪽에서 발원하여 나온다고도 하였다. 모성군母城郡, 또는 야차홀(也次忽)은 경성 남쪽 어랑천漁郞川이 흐르는 어랑군漁郞郡의 어대진(漁大津)이다. 객련군客連郡, 또는 가혜아(加兮牙)는 명천읍(明川邑)으로 추정된다. 상아동(象牙洞)이 있다. 백록산도 있는데 이 모두가 중국인 기자의 후예와 관련된다. 기자조선이 처음 생겨났던 요녕성 조양시 객좌현의 지명들이 옮겨온 것이다.
천정군泉井郡은 원산시에 있던 덕원군德源郡이다. 내생군(奈生郡)은 고원군(高原郡)으로 고려된다. 을아차현(乙阿次縣)은 천내군으로 고려된다. 우오현(于烏縣) 또는 욱오현(郁烏縣)은 문천시 구읍내 옥평리로 고려된다. 주연현(酒淵縣)은 통천 구읍으로 고려된다. 위 기록에서 천성군 비열홀이던 안변군이 가장 남쪽인데 현 이름들은 대개 현재 국사학계 통설과 일치한다. 천정군도 역시 일치한다. 서기 160년 초고왕자는 함흥 정평에서 일본 시마네현(島根縣)의 이즈모(出雲)에 건너가서 일본 전역을 굴복시키고 일본 아마테라쓰(천조대신) 히미코卑彌呼, (즉 연오랑 세오녀 중의 세오녀)를 포함한 8명의 신녀를 후비로 삼아서 야에가끼(팔중성)에 가두고 8명의 자손을 낳았다. 그후 히미코가 탈출하여 규슈(구주)에 야마대국을 세우고, 그 아들이 가야로 건너가서 가야왕의 사위가 되어 얻은 후손이 니니기(알알이)이며, 알알이가 구주로 돌아와 아들을 낳으니 신무천황이 되었다.
백제의 동해안 진출은 마한을 병합한 온조대왕 때 서기 16년 함흥 우곡성 진출에서 시작되었다. 서기 56년에 다루왕이 우곡성을 쌓았다. 우곡성이 함흥의 우수주성이다. [삼국사기]에서 108년에 강원도 삼척三陟이 신라 파사왕婆娑王의 신라 영토로 통합되었다.
초고대왕이 백제 지방왕으로서 함흥에 거처할 때에 원산시元山市 북쪽 문천시文川市에 속고봉速高峰, 속고산速高山(722m, = 신증동국여지승람 ; 所依達山, 즉 쇠달산) 같은 백제 초고대왕의 별명인 속고왕速古王의 이름을 딴 지명이 생겨난 것이다.
그후 214년 신라가 사현성沙峴城을 수복했는데, 이는 함경남도 원산元山 남쪽 고산군高山郡 사현봉수沙峴烽燧가 있던 사현沙峴이다. 개로대왕의 참살 때에 문주대왕은 문천시의 문주로부터 신라로 내려가서 구원병 1만을 얻어올 수 있었다.
함흥 동쪽 퇴조만의 퇴조고성退朝古城(석축 4917척)은 발해 고성으로 고려된다. 그러나 서쪽에 초고대령草高臺嶺 동북에 초막산草幕山, 제봉산?峰山이 있다. 초고대령은 초고대왕령이었을 것이다. 초막산 북쪽에 가장 높은 우두산牛頭山(814m, 현재 봉화산)이 있었고 그 북쪽에 함관령이 있다. 그 서북쪽에 덕산동 초원고성草原古城이 토성인데, 1147척이다. 함흥의 동쪽 호위성이다. 함흥 서쪽 6511척의 한당고성閑堂古城이 토성인데, 동해안까지 확장된 백제 동부의 부도성인 우수주성으로 유력하다. 백제 개루대왕蓋婁大王 시대에 개루대왕의 왕자 초고왕자는 함경남도 함흥에서 바다를 건너서 일본 시마네현嶋根縣의 이즈모出雲에 진출하였고, 160년에 일본의 여왕 히미코(~247)를 정복하였다. 이는 히미코 여왕의 여사제女師弟인 와카히稚日女命(113~160년)가 초고대왕에게 죽임을 당한 해가 그녀의 고분에서 160년으로 확인되기 때문이다. 이는 효고현兵庫縣 서궁시西宮市 증암정甑岩町에 있는 월목암신사越木岩神社에 남아있는 기록이다.
일본의 최초 천황이 된 신무천황神武天皇의 증조부였던 스사노오須佐之男는 일본에서 建速須佐男, 速佐男, 素佐能雄, 素盞嗚, 素佐能雄 등으로 표기되어 왔다. 건속建速은 속速을 건국했다는 뜻이니, 일본에 속고국速古國을 처음으로 세운 분이라는 뜻이다. 시마네현嶋根縣에 처음 팔중궁을 세웠던 수가須賀라는 곳이 바로 일본의 속고국 땅이고 초고대왕의 땅이다.
여기서 스사노오須佐之男의 뜻은 쇠코왕이라는 뜻이다. 당시 발음은 지남之男, 능웅能雄(n-ung)이니 우리말 “놈”의 발음에 해당한다. 고대의 “男”에 대한 발음에서 유래되는데, 고대에는 “남”이 작위에 해당하는 높인 말이었고, 대개 아들을 의미하는데 지금은 거의 비칭卑稱으로 전락하였다.
[삼국사기]<백제기>의 소고(素古)왕이나 초고왕(肖古王)이나 [신찬성씨록]의 속고대왕(速古大王) 이나 다 쇠코왕이라는 뜻이다. "코"의 우리말 고어가 "고"이다. 따라서 쇠코왕이다.
[일본서기]에서 소산오素盞嗚라고도 표기하는데 스사노, 소산오의 뒤부분 산오, 또는 사노 sano가 바로 코를 의미한다. 이는 아프로아시아 언어Afroasiatic etymology 에서 코를 의미하여 남아 있다. 소말리아를 비롯한 아프리카 대륙 여러 언어에 남아있다.
현생 인류가 6만년전에 아프리카 아담Y에서 출발하였으므로 그 흔적이 일본에 남아있는 것이다. 또한 [고사기]나 [일본서기]에서 스사노오의 출생은 이자나기의 코에서 탄생한다. 사노가 코를 의미하는 것은 더이상 의심할 필요가 없다.
그 앞의 소가 지금 우리말 소이다. 이는 어찌해서 알 수 있는가? 656년에 세워진 야사카 신사(八坂神社)의 기원에 그 의미가 있다. 야사카 신사에 전하는 바에 따르면 제명천황 2년에 고구려사자가 일본에 올 때에 부사인 이리노사주가 신라땅 우두산에서 제사지내는 스사노오신을 야사카에 모셔와 제사지냈다고 하였다.
社?によれば、?明天皇2年(656年)、高句麗より?日した調進副使?伊利之使主(いりしおみ)が、新羅の牛頭山に祀られる素?嗚尊を山城?愛宕郡八坂?に祀り、「八坂造」の姓を賜ったのに始まるという。他にも各種の記?がある。
함흥은 신라 진흥왕 이후 신라 영토이고 고구려 사자가 통과한 곳이 된다. 그런데 백제 온조왕 초기에 우수주가 바로 함흥이다. 또한 소시모리의 전설이 있는 곳이다. 야사카신사는 본래 우두천왕을 제사지냈는데 명치유신 이후에 소사노오로 이름을 바꾸어 제사지낸다. 이후 일본은 우두천왕과 스사노오를 동일시 하기도 한다.
그러나 고구려 사자가 백제 초고왕을 모셔왔을 가능성은 적고 본래의 소시모리, 즉 우두천왕을 모셔왔을 가능성도 높다.
백제 초고왕이 그 땅 우수주를 다스릴 때에 쇠코왕이라고 하였던 것이고, 초고왕의 신사가 신라 우수주 우두산에 남아 있었을 때에 고구려사자가 일본에 오면서 가져온 것이다. 결론은 소사노오는 쇠코왕의 당시 일본말이고 백제에서는 쇠코왕, 즉 소고왕, 초고왕이라고 기록한 것이다.
현재 함경남도 문천시 속고산速高山이 쇠코산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고대 쇠달산所依達山이므로 속速을 소의所依로 풀어쓴 것이다. 또한 쇠달산에 신사神祠가 있었다고 전한다.
스사노오의 딸을 수세리공주須勢理毗賣라고 했는데, 함흥 남쪽 정평군定平郡에 수시리고성隨時里古城(400m토성)이 남아있다. 수세須勢도 중국어 발음기호표기식인 반절半切로 보면 “쉐(shu-e)”발음인데 “쇠”의 우리말 고어다. 금이강 서북쪽 사수산泗水山(1747m)도 사수泗水가 곧 쇠물이다. 한편 [일본서기]에서 스사노오, 즉 초고대왕은 신라국新羅國 소시모리曾尸茂梨에서 (아들 구수대왕과) 배를 타고 일본 이즈모出雲으로 왔다고 하였다. 한편, 금이강 남쪽에 이웃한 금야강金野江은 고대에 비류수沸流水라고도 이름했다.
백제 초고대왕肖古大王은 백제의 속국速國, 내지 별국別國을 일본 본토 시마네현嶋根縣에 세운 일본신 스사노오建速須佐男, 즉 ?남, 쇠대왕이다. 초고대왕이 건너가 세운 일본 지명인 시마네현嶋根縣은 그 이름에서 일본 팔도八島의 뿌리가 되었고 일본의 뿌리인 것이다.
초고대왕은 이즈모出雲 히가와斐伊川의 수가須賀에 야에가기八重垣 궁을 세웠다. 히가와斐伊川는 함경남도 문천시文川市 서쪽 배지이천配?伊川에서 유래한 것이다. 문천시에 매성妹城이라는 고성이 있었는데 왕비를 기린 것이라고 고려되고, 히가와의 히斐도 여신을 의미한다. 문천시에 절문루節文樓가 전해오는데 스시노오의 부인 이름도 쿠시나다櫛名田姬다. 한편 비이신사斐伊神社는 효소천황孝昭天皇 5년에 세웠다고 한다. [일본서기]에서 스사노오는 신라에서 왔고 근국根國으로 돌아갔다. 근국이 오근내현이라고 하던 함흥 우수주이다. [고사기]나 [일본서기]에서 스사노오가 이즈모에서 팔지대사八枝大蛇를 잡아 죽인 것은, 초고대왕이 일본 천조대신의 12신녀 중에서 8신녀를 잡아 팔중원八重垣에 가두고 후비로 삼은 것을 의미한다.
2년(167) 가을 7월에 몰래 군사를 보내 신라의 서쪽 변경의 두 성을 습격하여 깨뜨리고 남녀 1천 명을 사로잡아 돌아왔다. 8월에 신라 왕이 일길찬 흥선(興宣)을 보내 군사 2만 명을 거느리고 나라 동쪽의 여러 성들을 쳐들어 왔다. 신라 왕도 또 친히 정예 기병 8천 명을 거느리고 뒤이어 한수(漢水)까지 엄습하여 왔다.
5년(170) 봄 3월 그믐 병인에 일식이 있었다. 겨울 10월에 군사를 내어 신라의 변경을 침공하였다. 나사 추산으로는 5월 3일이다. 0170 May 03 19:30 P 60 1.077 0.843 70.2N 106.1E 0
21년(186) 겨울 10월에 구름은 없이 우뢰만 쳤고, 살별이 서북쪽에 나타났다가 20일만에 없어졌다. 24년(189) 여름 4월 초하루 병오에 일식이 있었다. 나사 추산으로는 양력 5월 3일이다. 0189 May 03 05:26 A 70 0.419 0.948 39.7N 90.5E 65 211 05m42s 가을 7월에 우리 군사가 신라와 구양(狗壤)에서 싸워 패배하였는데 죽은 자가 500여 명이었다. 25년(190) 가을 8월에 군사를 내서 신라의 서쪽 국경의 원산향(圓山鄕)을 습격하고 나아가 부곡성(缶谷城)을 포위하였다.
26년(191) 가을 9월에 치우기(蚩尤旗)가 각(角)과 항(亢) 별자리에 나타났다. 요거성은 경상북도 문경이나 상주로 추정된다.
40년(205) 가을 7월에 금성太白이 달을 범하였다. 45년(210) 봄 2월에 적현성(赤峴城)과 사도성(沙道城)의 두 성을 쌓고 동부(東部)의 민호(民戶)들을 옮겼다. 겨울 10월에 말갈이 사도성(沙道城)을 공격해 왔으나 이기지 못하자 성문을 불질러 태우고 달아났다.
46년(211) 가을 8월에 나라 남쪽에서 누리가 곡식을 해쳐 백성들이 굶주렸다. 겨울 11월에 얼음이 얼지 않았다. 48년(213) 가을 7월에 서부인(西部人) 회회(茴會)가 흰 사슴을 포획하여 바쳤다. 왕이 상서롭다 하여 곡식 100섬을 주었다. 49년(214) 가을 9월에 북부(北部)의 진과(眞果)에게 명하여 군사 1천 명을 거느리고 말갈의 석문성(石門城)을 습격하여 빼앗았다. 겨울 10월에 말갈이 날쌘 기병으로 쳐들어 와서 술천(述川)까지 이르렀다. 왕이 죽었다.
[고사기]에서 초고대왕은 보검인 쯔무가이대도都牟刈大刀를 규수의 왜여왕 히미코에게 보내주었다. 쯔모검은 주몽검의 다른 표기로 보인다. 앞서 소서노로 고려한 도모왕은 都慕王이라고 기록하여 한자가 틀리다.
주몽검 / 쿠사나기쯔루기
대구大邱 평리동坪里洞과 비산동飛山洞에서 출토된 청동검과 비교된다.
대구 평리동 청동검과 대구 비산동 청동검
초고대왕의 일본 후손표
구수왕(재위214~234)
구수왕(仇首王)<혹은 귀수(貴須)라고도 하였다.>은 초고왕(肖古王)의 맏아들이다. 키가 일곱 자요 위엄과 거동이 빼어났다.
《고사기》에서 초고대왕은 처음에 이즈모出雲에 정도하고 그 곳에 수가須賀(=속고速古)에 야에가기八重垣궁을 짓고 살면서 백제의 여인 쿠시나다히메櫛名田比賣와 결혼하여 일본 팔도왕인 야시마지누미노가미八嶋士奴美神를 낳았다. 이를 《일본서기》에서는 오호아나무지(대기귀신大己貴神) 또는 대국주신大國主神이라 하였는데 바로 초고대왕의 장자 구수대왕仇首大王인 것이다. 구수대왕은 일본에서 귀수왕貴首王이라고 표기하는데, 일본의 대국주신大國主神이다. 대국주신의 일본 발음인 오호아나모지大穴牟遲(=大己貴神)는 아나穴, 己가 그 발음에서 본래 귀貴를 뜻하고 모지牟遲가 우리말 머리首를 의미하므로 귀수왕貴首王을 일본말 아나모지大穴牟遲로 풀어쓴 것이다. 고구려 《동천왕묘지문》에도 백수百殊라는 왕칭王稱이 등장한다.
초고대왕은 칸오호찌히메神大市比賣와 결혼해서 오호토시노가미大年神, 우카노미타마노가미宇迦之御魂神(=海神)을 낳았다. 함흥 지방에는 만년산萬年山이 있다. 만년과 대년이 서로 통한다. 《일본서기》에서 초고대왕은 일본에서 다시 신라 땅 소시모리, 즉 함흥으로 돌아갔다.
초고대왕은 장자인 구수왕자를 《고사기》에서 초고대왕은 아시하라葦原의 시골놈(是奴, 葦原色許男, 葦原醜男)이라고 불렀다.
八千矛山大國主神社(中市): 祭神、大國主命。大國町の?氏神、神社?記よれば大國主命が高麗よりの?途、この里に寄り、八千矛山に宮殿を定め、この地を大國という地名としたとある。神社の裏山を八千矛山という。;
구수왕자 대국주신은 일본에서 도또리현의 야카미八上 공주, 니이가타의 누나가와沼河 공주, 후쿠오카의 타기리多紀理 공주 등등과 결혼하였다.
일본에 남겨진 구수왕의 후손은 백제 사반왕과 일본의 의덕천황, 그리고 관야조신, 안고숙녜, 미장련, 하무조신 등의 조상이다. 의덕천왕은 압신사에 모셔졌고 관야조신 등은 대국주신사에 모셔졌다. 214년에 구수왕자는 본국에 돌아와 백제대왕에 즉위하였고, 이즈모出雲의 야에가기八重宮에는 백제 사반왕인 사대주신事代主神을 보냈다. 이스케요리히메의 비문이 효소천황릉에서 발견되었는데 바로 백제 사반왕인 효소천황의 딸이기 때문이다. 이후 신무천황은 왜여왕 히미코를 통일 왜국왕으로 내세워 2인자로서 보좌하다가, 247년에 히미코 여왕이 죽으니, 백제 고이대왕古爾大王(재위 239~286)의 허가 없이 스스로 독립된 일본 최초 천황으로 등장한다.
3년(216) 가을 8월에 말갈이 와서 적현성(赤峴城: 함흥 덕산)을 포위하였다. 성주가 굳게 막으니 적이 퇴각하여 돌아갔다. 왕이 굳센 기병 800명을 거느리고 추격하였는데, 사도성(沙道城 함흥 낙원) 아래에서 싸워 이를 격파하여 죽이거나 사로잡은 것이 매우 많았다.
4년(217) 봄 2월에 사도성 옆에 두 개의 목책을 설치하였는데 동서로 서로 떨어진 거리가 10리였다. 적현성의 군졸을 나누어 보내 지키게 하였다. 5년(218) 왕이 군사를 보내 신라의 장산성(獐山城; 경상북도 경산)을 포위하였다.
7년(220) 겨울 10월에 왕성(王城) 서문에 불이 났다. 말갈이 북쪽 변경을 노략질하므로 군사를 보내 막았다.
9년(222) 봄 2월에 담당 관청有司에 명령하여 제방을 수축하게 하였다. 3월에 영을 내려 농사를 권장하였다. 11월 그믐 경신에 일식이 있었다. 나사(NASA) 추산으로는 양력 1월 19일이다. 0223 Jan 19 06:10 A 83 0.520 0.923 9.5N 82.0E 59 339 10m21s
11년(224) 가을 7월에 신라의 일길찬 연진(連珍)이 쳐들어 왔다.
14년(227) 봄 3월에 우박이 내렸다. 여름 4월에 크게 가물자 왕이 동명묘(東明廟; 평양 정릉사.)에 빌었더니 곧 비가 내렸다.
16년(229) 겨울 10월에 왕이 한천(寒川; 상원군 한천)에서 사냥하였다.
18년(231) 여름 4월에 우박이 내렸는데 크기가 밤栗만 하여 참새같이 작은 새들鳥雀이 맞으면 죽었다.
|
출처: 홍익인간/인류공영 원문보기 글쓴이: 솔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