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 출세간 마음 (로꿋따라, lokuttara, 8가지)
1. 출세간의 선한(lokuttara-kusala) 마음 4가지
① 예류도의 마음 (소따빳띠 막가찟따, sotapatti-maggacitta)
② 일래도의 마음 (사까다가미 막가찟따, sakadagami-maggacitta)
③ 불환도의 마음 (아나가미 막가찟따, anagami-maggacitta)
④ 아라한도의 마음 (아라핫따 막가찟따, arahatta-maggacitta)
2. 출세간의 과보의(lokuttara-vipaka) 마음 4가지
① 예류과의 마음 (소따빳띠 팔라찟따, sotapatti-phalacitta)
② 일래과의 마음 (사까다가미 팔라찟따, sakadagami-phalacitta)
③ 불환과의 마음 (아나가미 팔라찟따, anagami-phalacitta)
④ 아라한과의 마음 (아라핫따 팔라찟따, arahatta-phalacitta)
6 마음부수 (쩨따시까, cetasika, 54가지)
다른 것과 같아지는 (annasamana) 마음부수 13가지
1. 모든 마음에 공통되는 것 (sabba-citta-sadharana) 7가지
① 접촉 (팟사 phassa)
② 느낌 (웨다나, vedana)
③ 지각 (산냐, sanna 인식)
④ 의도 (쩨따나, cetana)
⑤ 집중 (에깍가따, ekaggata)
⑥ 생명기능 (지위띤드리야, jivitindriya)
⑦ 주의력 (마나시까라, manasikara)
2. 때때로 일어나는 것 (빠낀나까, pakinnaka) 6가지
① 일으킨 마음 (위딱까, vitakka)
② 지속적 마음 (위짜라, vicara)
③ 결심 (아디목카, adhimokkha)
④ 정진 (위리야, viriya)
⑤ 희열 (삐띠, piti)
⑥ 열의 (찬다, chanda)
불선한 (아꾸살라, akusala) 마음부수 14가지
1. 불선한 (아꾸살라, akusala) 마음부수 14가지
① 어리석음 (모하, moha)
② 양심 없음 (아히리까, ahirika)
③ 수치심 없음 (아놋땁빠, anottappa)
④ 들뜸 (웃닷짜, uddhacca)
⑤ 탐욕 (로바, lobha)
⑥ 사견 (딧티, ditthi)
⑦ 자만 (마나, mana)
⑧ 성냄 (도사, dosa)
⑨ 질투 (잇사, issa)
⑩ 인색 (맛차리야, macchariya)
⑪ 후회 (꾸꿋짜, kukucca)
⑫ 해태 (티나, thina)
⑬ 혼침 (밋다, middha)
⑭ 의심 (위찌낏차, vicikiccha)
아름다운(소바나, sobhana) 마음부수 25가지
1. 아름다움에 공통되는(sobhana-sadharana) 마음부수 19가지
① 믿음 (삿다, saddha)
② 알아차림 (사띠, sati)
③ 양심 (부끄러움, 히리, hiri)
④ 수치심 (창피함, 옷땁빠, ottappa)
⑤ 탐욕없음 (알로바, alobha)
⑥ 성냄없음 (아도사, adosa)
⑦ 중립 (따뜨라맛잣따따, tatramajjhattata)
⑧ 몸의 경안 (까야 빳삿디, kayapassaddhi)
⑨ 마음의 경안 (찟따 빳삿디, cittapassaddhi)
⑩ 몸의 가벼움 (까야 라후따, kayalahuta)
⑪ 마음의 가벼움 (찟따 라후따, cittalahuta)
⑫ 몸의 부드러움 (까야 무두따, kayamuduta)
⑬ 마음의 부드러움 (찟따 무두따, cittamuduta)
⑭ 몸의 적합함 (까야 깜만냐따, kayakammannata)
⑮ 마음의 적합함 (찟따 깜만냐따, cittakammannata)
⑯ 몸의 능숙함 (까야 빠군냐따, kayapagunnata)
⑰ 마음의 능숙함 (찟따 빠군냐따, cittapagunnata)
⑱ 몸의 올곧음 (까야 우주까따, kaya-ujukata)
⑲ 마음의 올곧음 (찟따 우주까따, citta-ujukata)
2. 절제 (위라띠, virati) 3가지
① 바른 말 (삼마 와짜, samma-vaca)
② 바른 행위 (삼마 깜만따, samma-kammanta)
③ 바른 생계 (삼마 아지와, samma-ajiva)
3. 무량 (압빠만냐, appamanna) 2가지
① 연민(까루나, karuna)
② 함께 기뻐함(무디따, mudita)
4. 어리석음 없음 (아모하, amoha) 1가지
7 인식과정 (위티찟따, vithicitta)
1. 여섯 토대 (왓투, vatthu)
① 눈 (짝쿠, cakkhu, 안) 토대
② 귀 (소따, sota, 이) 토대
③ 코 (가나, ghana, 비) 토대
④ 혀 (지와, jivha. 설) 토대
⑤ 몸 (까야, kaya, 신) 토대
⑥ 심장 (하다야, hadaya, 의) 토대
2. 여섯 문 (드와라, dvara)
① 눈의 문 (짝쿠 드와라, cakkhudvara, 안문)
② 귀의 문 (소따 드와라, sotadvara, 이문)
③ 코의 문 (가나 드와라, ghanadvara, 비문)
④ 혀의 문 (지와 드와라, jivhadvara, 설문)
⑤ 몸의 문 (까야 드와라, kayadvara, 신문)
⑥ 마음의 문 (마노 드와라, manodvara, 의문)
3. 여섯 대상 (아람마나, .rammana)
① 형상 (색깔, 루빠, rupa, 색)
② 소리 (삿다, sadda, 성)
③ 냄새 (간다, gandha, 향)
④ 맛 (라사, rasa, 미)
⑤ 접촉 (폿탑바, photthabba, 촉)
⑥ 법 (담마, dhamma, 법)
4. 여섯 의식 (윈냐나, vinnana, 식, 알음알이)
① 눈의 의식 (짝쿠 윈냐나, cakkhu-vinnana, 안식)
② 귀의 의식 (소따 윈냐나, sota-vinnana, 이식)
③ 코의 의식 (가나 윈냐나, ghana-vinnana, 비식)
④ 혀의 의식 (지와 윈냐나, jivha-vinnana, 설식)
⑤ 몸의 의식 (까야 윈냐나, kaya-vinnana, 신식)
⑥ 마음의 의식 (마노 윈냐나, mano-vinnana, 의식)
5. 여섯 인식과정 (위티, vithi)
① 눈의 문과 연결된 인식과정 (짝쿠드와라위티, cakkhudvaravithi)
② 귀의 문과 연결된 인식과정 (소따드와라위티, sotadvaravithi)
③ 코의 문과 연결된 인식과정 (가나드와라위티, ghanadvaravithi)
④ 혀의 문과 연결된 인식과정 (지와드와라위티, jivhadvaravithi)
⑤ 몸의 문과 연결된 인식과정 (까야드와라위티, kayadvaravithi)
⑥ 마음의 문과 연결된 과정 (마노드와라위티, manodvaravithi)
6. 여섯 대상의 나타남 (위사얍빠왓띠, visaya-ppavatti)
① 매우 큰 것
② 큰 것
③ 작은 것
④ 매우 작은 것
⑤ 선명한 것
⑥ 희미한 것 (오문 : ①-④, 의문 : ⑤-⑥)
7. 오문인식과정 (pancadvaravithi) : 매우 큰 대상의 경우
① 지나간 바왕가 (아띠따 바왕가, atita-bhavanga)
② 바왕가의 동요 (바왕가 짤라나, bhavanga-calana)
③ 바왕가의 끊어짐 (바왕가 웃체다, bhavanga-uccheda)
④ 오문전향 (빤짜드와라 아왓자나, pancadvara-avajjana)
⑤ 오식 (빤짜윈냐나, panca-vinnana, 안식·이식·비식·설식·신식)
⑥ 받아들임 (삼빠띠차나, sampatichana)
⑦ 조사 (산띠라나, santirana)
⑧ 결정 (옷타빠나, votthapana)
⑨-⑮ 7번의 속행 (자와나, javana)
⑯.-⑰ 2번의 등록 (따다람마나, tadarammana)
8. 의문에서 본삼매 속행과정 (appanajavana-manodvaravithi)
① 의문전향 (마노드와라 왓자나, manodvara-avajjana)
② 준비 (빠리깜마, parikamma)
③ 근접 (우빠짜라, upacara)
④ 수순 (아눌로마, anuloma)
⑤ 종성 (고뜨라부, gotrabhu)
⑥ 본삼매 (자나, jhana)
8 과정을 벗어난 마음 (위티뭇따, vithimutta)
1. 네 세상 (부미, bhumi)
① 악처세상 (아빠야 부미, apaya-bhumi)
② 욕계선처세상 (까마 수가띠 부미, kama-sugati-bhumi)
③ 색계세상 (루빠 와짜라 부미, rupa-vacara-bhumi)
④ 무색계세상 (아루빠 와짜라 부미, arup.-vacara-bhumi)
2. 악처세상 (아빠야 부미, apaya-bhumi)
① 지옥 (니라야, niraya)
② 축생계 (띠랏차나 요니, tiracchana-yoni)
③ 아귀계 (뻿띠 위사야, petti-visaya)
④ 아수라 무리 (아수라 까야, asura-kaya)
3. 욕계 선처세상 (까마 수가띠 부미, kama-sugati-bhumi)
① 인간 (마눗사, manussa)
② 사대왕천 (짜뚜 마하라지까, catu-maharajik.)
③ 삼십삼천 (제석천, 따와띰사, tavatimsa)
④ 야마천 (야마, yama)
⑤ 도솔천 (뚜시따, tusita)
⑥ 화락천 (님마나라띠, nimmanarati)
⑦ 타화자재천 (빠라님미따와사왓띠, para-nimmita-vasavatti)
4. 색계세상 (루빠와짜라 부미, rupavacarabhumi)
① 초선의 세상 (빠타맛자나 부미, pathamajjhana-bhumi)
② 이선의 세상 (두띠야자나 부미, dutiyajjhana-bhumi)
③ 삼선의 세상 (따띠얏자나 부미, tatiyajjhana-bhumi)
④ 사선의 세상 (짜뚯타자나 부미, catutthajjhana-bhumi)
5. 초선의 세상 (빠타맛자나 부미, pathamajjhana-bhumi)
① 범중천 (브라흐마 빠리삿자, brahma-parisajja)
② 범보천 (브라흐마, 뿌로히따, brahma-purohita)
③ 대범천 (마하 브라흐마, maha-brahm.)
6. 이선의 세상 (두띠야자나 부미, dutiyajjhana-bhumi)
① 소광천 (빠릿따바, parittabha)
② 무량광천 (압빠마나바, appamanabha)
③ 광음천 (아밧사라, abhassara)
7. 삼선의 세상 (따띠얏자나 부미, tatiyajjhana-bhumi)
① 소정천 (빠릿따수바, parittasubha)
② 무량정천 (압빠마나수바, appamanasubha)
③ 변정천 (수바낀하, subhakinha)
8. 사선의 세상 (짜뚯타자나 부미, catutthajjhana-bhumi)
① 광과천 (웨합팔라, veha-pphala)
② 무상유정천 (아산냐삿따, asanna-satta)
③ 정거천 (숫다와사, suddh.-vasa)
9. 정거천의 세상 (숫다와사 부미, suddhavasa-bhumi)
① 무번천 (아위하, aviha)
② 무열천 (아땁빠, atappa)
③ 선현천 (수닷사, sudassa)
④ 선견천 (수닷시, sudassi)
⑤ 색구경천 (아까닛타, akanittha)
10. 무색계세상 (아루빠와짜라 부미, arupavacarabhumi)
①공무변처 (아까사난짜야따나, akasanancayatana)
②식무변처 (윈냐난짜야따나, vinnanancayatana)
③무소유처 (아낀짠냐야따나, akincannayatana)
④비상비비상처 (네와산냐나산냐야따나, nevasannanasannayatana)
11. 재생연결 (빠띠산디, patisandhi)
① 악처의 재생연결
② 욕계 선처의 재생연결
③ 색계의 재생연결
④ 무색계의 재생연결
9 업 (깜마, kamma)
1. 기능에 따라 (kicca-vasena) : 3. 업과 업의 과보 599P~ 참조
① 생산업 (자나까, janaka)
② 돕는업 (우빳탐바까, upatthambhaka)
③ 방해업 (우빠삘까, upapilka)
④ 파괴업 (우빠가따까, upaghataka)
2. 과보를 생산하는 순서에 따라 (paka-dana-pariyayena)
① 무거운 업( 가루까, garuka)
② 임종직전의 업 (아산나, asanna)
③ 습관적인 업 (아찐나, acinna)
④ 이미 지은 업 (까땃따, katatta)
3. 성숙하는 시간에 따라 ( paka-kala-vasena)
① 금생에 받는 업 (딧타담마웨다니야, ditthadhammavedaniya)
② 다음 생에 받는 업 (우빠빳자웨다니야, upapajjavedaniya)
③ 확정되지 않은 업 (아빠라빠리야웨다니야, aparapariyavedaniya)
④ 효력을 상실한 업 (아호시깜마, ahosikamma)
4. 과보를 생산할 장소에 따라 (paka-thana-vasena)
① 불선한 업 (아꾸살라, akusala)
② 욕계 선한 업 (꾸살라, kusala)
③ 색계 선한 업 (루빠와자라 꾸살라, rupavacara-kusala)
④ 무색계 선한 업 (아루빠와자라 꾸살라, arupavacara-kusala)
5. 불선한 업 (아꾸살라 깜마, akusala-kamma)
① 몸의 불선한 업
② 말의 불선한 업
③ 마음의 불선한 업
6. 선한 업 (꾸살라 깜마, kusala-kamma)
① 몸의 선한 업
② 말의 선한 업
③ 마음의 선한 업
10 죽음과 재생연결의 과정 (쭈띠 빠띠산디, cuti-patisandhi)
1. 네 죽음의 원인
① 수명이 다함
② 생산업이 다함
③ 둘 모두 다함
④ 파괴하는 업이 끼어 듦
2. 죽을 때의 표상
① 업(깜마, kamma)
② 업의 표상 (깜마 니밋따, kamma-nimitta)
③ 태어날 곳의 표상 (가띠 니밋따, gati-nimitta)
11 물 질 (루빠, rupa)
1. 물질 (루빠, rupa)
① 사대 (마하부따, mahabhutani)
② 사대 파생물질(28) : 구체적인 물질(18), 추상적인 물질(10)
2. 물질이 일어나는 원인 4가지
① 업에서 생긴 물질 (깜마사뭇타나루빠, kamma-samutthana-rupa)
② 마음에서 생긴 물질 (찟따사뭇타나루빠, citta-samutthana-rupa)
③ 온도에서 생긴 물질 (우뚜사뭇타나루빠, utu-samutthana-rupa)
④ 음식에서 생긴 물질 (아하라사뭇타나루빠, ahara-samutthana-rupa)
구체적인 물질 (닙판나 루빠, nipphanna-rupa) 18가지
1. 근본물질 (부따 루빠, bhutarupa) 4가지
⑤ 땅의 요소 (빠타위-다뚜, pathavidhatu) : ① 단단함 ② 거침 ③ 무거움 ④ 부드러움
⑤ 매끄러움 ⑥ 가벼움
⑥ 물의 요소 (아뽀-다뚜, apodhatu) : ⑦ 흐름 ⑧ 응집
⑦ 불의 요소 (떼조-다뚜, tejodhatu) : ⑨ 따뜻함 ⓾ 차가움
⑧ 바람의 요소 (와요-다뚜, vayodhatu) : ⑪지탱 ⑫밈(움직임)
2. 감성 물질 (빠사다 루빠, pasada-rupa) 5가지
① 눈의 감성 (짝쿠-빠사다, cakkhu-pasada)
② 귀의 감성 (소따-빠사다, sota-pasada)
③ 코의 감성 (가나-빠사다, ghana-pasada)
④ 혀의 감성 (지와-빠사다, jivha-pasada)
⑤ 몸의 감성 (까야-빠사다, kaya-pasada)
3. 대상의 물질 (고짜라 루빠, gocara rupa) 4가지
① 색 (루빠, rupa, 색)
② 소리 (삿다, sadda, 성)
③ 냄새 (간다, gandha, 향)
④ 맛 (라사, rasa, 미)
접촉 (폿탑바, photthabba, 촉)은 땅, 불, 바람의 3대이다.
4. 성 (바와 루빠, bhava-rupa) 2가지
① 여성 (잇티바와, itthibhava 혹은 잇탓따, itthatta)
② 남성 (뿜바와, pumbhava, 혹은 뿌리삿따, purisatta)
5. 심장의 물질 (하다야 루빠, hadaya-rupa) 1가지
① 심장토대 (하다야 왓투, hadaya-vatthu)
6. 생명의 물질 (지위따 루빠, jivita-r.pa) 1가지
① 생명기능 (지위띤드리야, jivitindriya)
7. 음식의 물질 (아하라 루빠, ahara-rupa) 1가지
① 영양소 (오자, oja)
추상적인 물질 (아닙판나 루빠, anipphanna-rupa) 10가지
1. 한정 (빠릿체다 루빠, pariccheda-rupa) 1가지
① 공간의 요소 (아까사 다뚜, akasa-dhatu)
2. 암시 (윈냣띠 루빠, vinnatti rupa) 2가지
① 몸의 암시 (까야 윈냣띠, kaya-vinnatti)
② 말의 암시 (와찌 윈냣띠, vaci-vinnatti)
3. 변화 (위까라 루빠, vikara rupa) 3가지
① 물질의 가벼움 (루빳사 라후따, rupassa lahuta)
② 물질의 부드러움 (루빳사 무두따, rupassa muduta)
③ 물질의 적합함 (루빳사 깜만냐따, rupassa kammannata)
4. 특징 (락카나 루빠, lakkhana-rupa)
① 생성 (우빠짜야, upacaya)
② 상속 (산따띠, santati)
③ 쇠퇴 (자라따, jarata)
④ 무상함 (아닛짜따, aniccata)
깔라빠 (소립자, kalapa, 물질의 최소 구성단위) 21가지
팔원소 깔라빠 (깔라빠 최소단위, 앗타까깔라빠, atthaka-kalapa)
① 땅의 요소 (빠타위-다뚜, pathavidhatu)
② 물의 요소 (아뽀-다뚜, apodhatu)
③ 불의 요소 (떼조-다뚜, tejodhatu)
④ 바람의 요소 (와요-다뚜, vayodhatu)
⑤ 색깔 (완냐, vanna)
⑥ 냄새 (간다, gandha)
⑦ 맛 (라사, rasa)
⑧ 영양소 (오자, oja)
1. 업에서 생긴 깔라빠 (깜맛자 깔라빠, kammaja-kalapa) 9가지
① 눈 십원소 (짝쿠, cakkhu-dasaka) : 팔원소+생명+눈의 감성
② 귀 십원소 (소따, sota-dasaka) : 팔원소+생명+귀의 감성
③ 코 십원소 (가나, ghana-dasaka) : 팔원소+생명+코의 감성
④ 혀 십원소 (지와, jivha-dasaka): 팔원소+생명+혀의 감성
⑤ 몸 십원소 (까야, kaya-dasaka) : 팔원소+생명+몸의 감성
⑥ 심장 십원소 (하다야, hadaya-dasaka) : 팔원소+생명+심장토대
⑦ 여성 십원소 (잇티바와, itthibhava-dasaka) : 팔원소+생명+여성
⑧ 남성 십원소 (뿜바와, pumbhava-dasaka) : 팔원소+생명+남성
⑨ 생명 구원소 (지위따, jivita-navaka) : 팔원소+생명
2. 마음에서 생긴 깔라빠 (찟따자 깔라빠, cittaja-kal.pa) 6가지
① 마음 팔원소 (앗타까, atthaka) : 팔원소
② 몸의 암시 구원소 (나와까, navaka) : 팔원소+
③ 말의 암시 구원소 (나와까, navaka) : 팔원소+
④ 가벼움·부드러움·적합함 십일원소 (에까다사까, ekadasaka) : 팔원소+
⑤ 몸의 암시·가벼움(3) 십이원소 (드와다사까, dvadasaka) : 팔원소+
⑥ 말의 암시·소리·가벼움(3) 십삼원소 (떼라사까, terasaka) : 팔원소+
3. 온도에서 생긴 깔라빠 (웃뚜자 깔라빠, utuja-kalapa) 4가지
① 온도 팔원소 (앗타까, atthaka) : 팔원소
② 소리 구원소 (나와까, navaka) : 팔원소+
③ 가벼움(3)의 십일원소 (에까다사까, ekadasaka) : 팔원소+
④ 소리·가벼움(3) 십이원소 (드와다사까, dvadasaka) : 팔원소+
4. 음식에서 생긴 깔라빠 (아하라자 깔라빠, aharaja-kalapa) 2가지
① 음식 팔원소 (앗타까, atthaka) : 팔원소
② 가벼움·부드러움·적합함 십일원소 (에까다사까, ekadasaka) : 팔원소+
1. 원인 (까라나, karana)의 방편에 따라
① 유여열반 (사우빠디세사, sa-upadisesa)
② 무여열반 (아누빠디세사, an-upadisesa)
2. 형태에 따라
① 공 (순냐따, sunnata, 공)
② 표상 없음 (아니밋따, animitta, 무상)
③ 원함 없음 (압빠니히따, appanihita, 무원)
13 불선한 범주 (아꾸살라, akusala)
1. 번뇌 (아사와, asava)
① 감각적 욕망의 번뇌 (까마사와, kamasava)
② 존재의 번뇌 (바와사와, bhav-asava)
③ 사견의 번뇌 (딧타사와, ditthasava)
④ 무명의 번뇌 (아윗자사와, avijjasava)
2. 폭류 (거센 물결, 오가, ogha)
① 감각적 욕망의 폭류 (까모가, kamogha)
② 존재의 폭류 (바워가, bhavogha)
③ 사견의 폭류 (딧토가, ditthogha)
④ 무명의 폭류 (아윗조가, avijjogha)
3. 속박 (요가, yoga)
① 감각적 욕망의 속박 (까마요가, kamayoga)
② 존재의 속박 (바와요가, bhavayoga)
③ 사견의 속박 (딧티요가, ditthiyoga)
④ 무명의 속박 (아윗자요가, avijjayoga)
4. 몸의 매듭 (까야간타, kayagantha)
① 간탐 (아빗자, abhijjha)
② 악의 (위아빠다, vyapada)
③ 의식의 집착 (실랍바따빠라마사, silabbataparamasa)
④ 독단적 신조 (이담삿짜비니웨사, idamsaccabhinivesa)
5. 취착 (우빠다나, upadana)
① 감각적 욕망의 취착 (까무빠다나, kamupadana)
② 삿된 견해의 취착 (딧투빠다나, ditthupadana)
③ 의식의 취착 (실라바뚜빠다나, silabbatupadana)
④ 자아의 교리의 취착 (아따와두빠다나, attavadupadana)
6. 장애 (니와라나, nivarana)
① 감각적 욕망 (까맛찬다, kamacchanda)
② 악의 (위아빠다 , vyapada)
③ 해태와 혼침 (티나 밋다, thina-middha)
④ 들뜸과 후회 (웃닷짜 꾹꿋짜, uddhacca-kukkucca)
⑤ 의심 (위찌낏차, vicikiccha)
⑥ 무명 (아윗자, avijja)
7. 잠재성향 (아누사야, anusaya)
① 감각적 욕망 (까마라가, kamaraga)
② 존재의 욕망 (바와라가, bhavaraga)
③ 적의 (빠띠가, patigha)
④ 자만 (마나, mana)
⑤ 사견 (딧티, ditthi)
⑥ 의심 (위찌낏차, vicikiccha)
⑦ 무명 (아윗자, avijja)
8. 족쇄 (삼요자나, samyojana)
① 사견 (사견, ditthi) 혹은 유신견 (삭까야딧티, sakkaya-ditthi)
② 의식의 집착 (실랍바따빠라마사, silabbataparamasa)
③ 의심 (위찌낏차, vicikiccha)
④ 감각적 욕망 (까마라가, kamaraga)
⑤ 적의 (빠띠가, patigha)
⑥ 색계의 욕망 (루빠라가, ruparaga)
⑦ 무색계의 욕망 (아루빠라가, aruparaga)
⑧ 자만 (마나, mana)
⑨ 들뜸( 웃닷짜, uddhacca)
⑩ 무명 (아윗자, avijja)
9. 오염원 (낄레사, kilesa)
① 탐욕 (로바, lobha)
② 성냄 (도사, dosa)
③ 어리석음 (모하, moha)
④ 자만 (마나, mana)
⑤ 사견 (딧티, ditthi)
⑥ 의심 (위찌낏차, vicikiccha) .
⑦ 해태 (티나, thina)
⑧ 들뜸 (웃닷짜, uddhacca)
⑨ 양심 없음 (아히리까, ahirika)
⑩ 수치심 없음 (아놋땁빠, anottappa)
14 혼합된 범주 (밋사까, missaka)
1. 원인 (헤뚜, hetu)
① 탐욕 (로바, lobha)
② 성냄 (도사, dosa)
③ 어리석음 (모하, moha)
④ 탐욕없음 (아모하, alobha)
⑤ 성냄없음 (아도사, adosa)
⑥ 어리석음없음 (아모하, amoha)
2. 선의 요소 (자낭가, jhananga, 선각지)
① 일으킨 마음 (위딱까, vitakka)
② 지속적 마음 (위짜라, vicara)
③ 희열 (삐띠, piti)
④ 집중 (에깍가따, ekaggata)
⑤ 행복 (소마낫사, somanassa)
⑥ 불만족 (도마낫사, domanassa)
⑦ 평온 (우뻭카, upekkha)
[출처] 박춘덕 블로그입니다.
[출처] 법요집361-370|작성자 참살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