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새내기 시절에 문학동아리를 했는데, 전통이 있었는지 70년대 학번이 많이 있었다. 97학번 새내기가 79학번 선배와 동아리방에서 소주 마시면서 이야기를 나눈다는 것은 인생에 두 번 없는 기회라서 그 때는 바싹 긴장해서 이야기를 들었다.
동아리는 전통적으로 노동운동이나 환경운동 등 진보운동에 관한 문학창작과 비평작업을 같이 했었는데, 박노해 <노동의 새벽>을 필독도서로 했을 정도였다.
선배들도 진보적이고 진보운동을 했던 추억을 하나씩 가지고 있었다. 97년에 김대중 후보가 이회창 후보와 접전을 벌이고 있었을 때 머릿고기를 파는 술집에서 까마득한 선배들과 술을 마시면서 선거방송을 보고 있었다.
신문도 안 읽으니 시국을 알 리 없고 김대중 후보가 당선되는 것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 알 리가 없었다. 다만 선배들이 옆에서 김대중 후보의 당선을 간절히 바라는 모습을 보면서 나도 김대중 후보가 당선됐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다행히 그 선거에서 김대중 후보가 이겼다. 건국 최초의 정권교체라는 자막이 뜨면서 사람들이 환호했다. 대통령 당선확정이 아마 밤 9시~10시 사이에 결정이 되었던 것 같다.
"행동하는 양심"이라는 한줄에 꽂혀 미치도록 선거운동을 한 선배
79학번 선배는 92년 대선 당시의 경험을 들려주었다. 그 선배는 김대중 후보의 선거공보에 담겨 있는 단 한 줄에 감명받고 시키지도 않은 선거운동을 하면서 미치도록 뛰어다녔다고 한다. 노태우와의 대결인지 김영삼과의 대결인지는 모르겠지만, 그 구호는 바로 "행동하는 양심"이었다.
이제까지 '양심'이라는 말은 형식적으로만 사용했고 도덕교과서에서만 보았던 것이지만, 김대중 후보의 '행동하는 양심'이라는 말에 이르러서야 그 선배는 '양심'이라는 말의 무서움을 깨달았다고 한다. "행동하지 않는 양심은 악이다"라는 어록도 마찬가지다.
김대중의 행동은 그 후 현대사 공부를 통해 생생히 알 수 있었다. 40대 기수론에서부터 내란음모죄로 사형선고를 받은 이야기, 재야 정치인으로서 활약하던 이야기. 그리고 헌책방에서 만났던 <후광 전집> 같은 책의 볼륨을 보면 김대중 대통령이 왜 '선생님'이라는 호칭에 어울리는지 알 수 있다.
논어에는 "섣달 혹독한 겨울이 지난 후에야 소나무와 측백나무가 늦게까지 지지 않는지 알게 된다."(歲寒然後知 松柏之後凋)라는 말이 있는데, 지금도 나는 노무현 대통령과 김대중 대통령이 역사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는지 다 알 수 없다. 아마 시간이 지날수록, 이명박 정권이 막바지로 갈수록 올해 함께 돌아가신 두 대통령 생각에 목을 놓아 엉엉 울 것 같다. 기형도의 시구절처럼.
어머니 무서워요 저 울음소리, 어머니조차 무서워요. 얘야, 그것은 네 속에서 울리는 소리란다. 네가 크면 너는 이 겨울을 그리워하기 위해 더 큰 소리로 울어야 한다. 「바람의 집 - 겨울 版畵 1」 중에서
첫댓글 매경한고발청향
어머니 무서워요 저 울음소리, 어머니조차 무서워요. 얘야, 그것은 네 속에서 울리는 소리란다.. - 기형도의 시를 좋아했습니다. 좋은 글 잘 봤습니다...
행동하는 양심.....이 한줄에 더 많은 사람이 꽂혀서 김대중,노무현대통령이 살아나길 기도합니다
에~혀
행동하는 양심...살아 남은 자들의 숙제인거 같습니다.
'행동하지 않는 양심은 악이다' 실천이 힘든 문구네요~ ㅜ.ㅜ
영원한 우리의 대통령으로 기억될겁니다
행동하지 않은 행동은 악이다 ....
행동하는 양심...이제 우리가 이어나가야 합니다.. 그분이 이제 없지만 그분이 이 땅에 남긴 의지를 이어 받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