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다음은 정성일 영화 평론가의 評이다.
캐럴 리드 감독의 <제3의 사나이>(1949)는 참으로 '이상한' 영화이다. 아마도 이처럼 세련된 상업영화 스타일과 다양한 예술영화의 전통이 함께 행복하게(!) 만난 예는 없을 것이다. 이 영화는 올드 팬들에게는 향수가 되었고, 시네마데크가 오랫동안 사랑해온 리스트이며, 젊은 영화광들의 고전이면서, 영화이론의 논쟁적 장소를 마련하였다.
무대는 종전 직후 연합군 공동관리체제 아래 놓인 빈. 여기에 미국인 소설가 홀리 마틴스(조지프 코튼)가 친구 해리 라임(오손 웰스)을 찾아온다. 그러나 친구는 이미 교통사고로 죽은 다음이다. 홀리는 친구의 애인 안나(아리다 발리)를 만나본 다음 이곳을 떠나려 한다. 영국군 소령 캘로웨이(트레버 하워드)는 홀리에게 친구 해리가 가짜 페니실린을 유통시킨 혐의로 연합군의 추적을 받아왔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게다가 해리는 죽은 것이 아니었으며, 홀연히 해리 앞에 나타나 전망차 앞에서 명대사를 한다. "칠백년 평화로운 스위스에서는 뻐꾸기 시계 하나를 만들었지만, 전쟁이 이어지던 이탈리아에서는 미켈란젤로와 다빈치가 있었지." 그러나 홀리는 가짜 페니실린으로 죽어가는 아이들을 보고 해리를 고발하기로 결심한다. 함정에 빠진 해리는 홀리의 손에 죽고, 안나는 그의 곁을 떠난다.
낙엽지는 초겨울에 빈에서 촬영한 <제3의 사나이>는 원작자 그레이엄 그린 자신이 각색한 시나리오로 만들었다. 캐럴 리드는 '결코' 위대한 영화감독은 아니지만, 그는 단 한편의 걸작을 남기는 데 성공하였다. 처음부터 의도된 것은 아니지만 여기에선 영화의 백과사전적인 만남이 이루어졌다.
우선 무엇보다도 종전 직후의 황폐한 빈을 보여주는 카메라는 마치 다큐멘터리처럼 보인다. 로버트 크래스커의 흑백촬영은 존 그리어슨으로 시작하는 영국 기록영화의 전통에 서 있으며, 한편으로는 거리에서 미학을 완성시킨 이탈리안 네오 레알리즘과도 정신적 연대를 함께 하고 있다. 그러나 또 한편으로 대부분의 장면이 밤에 촬영되면서 동원된 조명과 미술, 세트는 전후 빈을 마치 독일 표현주의 영화와도 유사한 빛과 그림자의 세계로 바꿔놓는다.
의도적으로 경사 구도의 카메라 앵글로 화면을 만들었으며, 인물들은 그 사이를 떠도는 유령처럼 보인다. 말하자면 여기에는 리얼리즘과 표현주의 영화의 전통이 서로 뒤섞여 있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을 가능하게 만든 것은 할리우드의 거물 제작자 데이비드 셀즈닉의 자본이다. 그는 기꺼이 이 유럽영화에 투자했으며, <제3의 사나이>가 유럽에서 만든 필름 누아르가 되기를 원했다. 그리고 그는 자신이 원한 것을 손에 넣었다.
< 제3의 사나이>는 49년 칸 영화제에서 그랑프리를 수상했으며, 국제적인 흥행성공을 거두었다. 비록 영화적 깊이나 미학적 실험은 없지만, 마치 홀린 듯이 안톤 카라스가 연주하는 민속악기 지타의 선율을 따라 빈에서 펼쳐지는 이 영화는 수많은 명장면과 전율할 만한 이미지의 황홀감을 안겨준다.
특히 가을 낙엽이 지는 빈의 가로수 저편에서 걸어와 기다리는 홀리를 거들떠 보지도 않고 무표정하게 지나가는 안나와의 기나긴 이별의 마지막 장면은 영화사상 가장 유명한 장면의 하나이다. 영화는 때로 설명할 수 없는 감동을 안겨주기도 한다. 그것이 바로 명장면의 거절할 수 없는 유혹이다. <제3의 사나이>는 추억과 감상주의 사이에 선 아슬아슬한 기억이다.
첫댓글 아주 어렸을때 본영화 기억도 안나네요 주제가 오랜만에 즐청합니다~~
가끔 ebs 흘러간 명화?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기회있으면 다시 한번 볼가치 가 있습니다^^
어렴풋이 들어보았던 멜로디 같기도 하고 아닌것 같기도 하지만
고개를 까딱까딱하며 리듬에 몸을 맡겨보네요..
선곡하시느라 수고 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성희님의 격려가 큰힘이 되고 있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멜로디가 아름다운 곡을 들으며 마음을 추스려 봅니다.
저는 처음 들어보는 곡 이며 영화도 본적이 없습니다.
새로운 곡으로 회원님들을 즐겁게 해주는 솔마루님. 고마운 마음 전 합니다.
그냥 넘기면 안되는,역사적 의미가 있는 영화입니다,
흑백시대의 명배우들,치타로 연주한 주제곡.영화사상 최고의 라스트 신,,,등 한번 챙겨보시길 강추 합니다^^
마니들어보던 곡입니다~해설과 함께 지식을 앃고 있습니다~고맙습니다~솔마루님~
바쁜일 마치고 이제 아름다운 연주 듣고 있습니다~고운 밤 되셔여~
우리 나이쯤 영하광이라면,,,한번쯤 보셨을 겁니다,
특히 라스트 씬의 저 장면은 잊을수 없는 명장면이지요
함께 해주셔서 언제나 감사합니다^^
잘 감상 하고 갑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