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UND 함수 계열은 3가지가 있습니다.
ROUND(반올림), ROUNDUP(올림),ROUNDDOWN(내림) 3종류가 있습니다.
함수의 구성은 =ROUND함수(①,②)
인수가 2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① : 보통은 필기 시험에서는 간단한 소수부를 포함한 수치값을 입력, 실기시험에서는 또 다른 함수를 인수로 입력되도록 합니다.(평균, 표준편차, 분산, 데이터베이스함수...)
② : 저는 두번째 인수를 표시할 위치 또는 반올림/올림/버림 위치라고 정의 합니다.
아래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소수점 부터 소수부는 반드시 표시할 위치의 의미(반올림을 받은 자리 표시)를 가지며
양의 정수 부분인 일의자리부터는 반올림/올림/버림 위치(반올림을 하는 자리 표시)가 됩니다.
예를 들면 =ROUND(12.456, 2)라면 두번째 인수가 2라는 사실은 소수부 둘째자리까지 의무적으로 표시해야 하므로 세번째 자리에서 반올림이 이루어지게 되는겁니다.(반올림을 받은 자리는 소수부 2째자리가 되며 반올림을 하는 자리는 3째자리가 되는겁니다.)
=ROUND(12.456, 0)이라면 두번째 인수가 0이기 때문에 소수부까지 의무적으로 표현하므로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이 발생하여 정수만 표시 하게 됩니다.
여러 예를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ROUND(12.456,2)=12.46, =ROUND(12.456,0)=12
또 =ROUND(124564,-2)라면 -2라는 사실이 십의자리임을 알고 그 위치 즉 십의자리가 바로 반올림 위치가 되는거지요.(즉 반올림을 한자리가 십의자리가 됩니다.)
=ROUND(124564,-4)라면 -4라는 사실이 천의자리임을 알고 천의자리가 바로 반올림 위치가 되는겁니다.
=ROUND(124564,-2)=124600, =ROUND(124564,-4)=120000
결론은 두번째 인수는 0을 포함한 음수부분과 양수부분으로 나누어지며 양수부분은 그 위치가 바로 반올림/올림/버림이 되며 0을포함한 음수부분은 그 위치가 의무적으로 표시할 위치가되는겁니다...
첫댓글 감사합니다. 열심히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