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사명 | 중국(다롄) 조선기자재 비즈니스 상담회 |
일시 및 장소 | 2018년 6월 21일, 다롄 신세계 호텔 |
주최 | KOTRA, 부산조선해양기자재공업협동조합 |
참가 | - (한) 유원산업, 태화칼파씰, 강림중공업, 극동일렉콤 등 총 21개사 - (중) 다롄선박중공업(DSIC) 등 조선소, 선박엔진사, 협회, 에이전트 등 총 24개사 |
주요 내용 | 1:1 비즈니스 매칭 수출상담회 |
□ 행사참가 한국 기업
ㅇ 부산 조선해양기자재공업협동조합을 통해 조선기자재기업 21개사 참가
행사참가 한국기업
기업명 | 품목명 |
유원산업 | 선박조타기 |
태화칼파씰 | 가스켓 |
마린웍스 | 전자해도표시시스템 |
지에스하이테커 | Air Vent Head, Expansion Joint |
동화뉴텍 | 에어콤프레셔 등 선박용 콤프레셔 |
윕테크 | 선박 게이트, 엘리베이터, 워터젯 |
호두 | 선박 가구, 인테리어, 구호장비 |
흥진티엔디 | 육상용, 해상용 Block Loader |
강림중공업 | 선용보일러 |
삼영기계 | 선박엔진 부품, 주조제품 |
정화선박의장 | 선박 가구 |
종합폴스타 | 선박 엔진부품 |
삼우MCP | 선박 보안장비 |
대양계기 | 선박 조명, 배전판, 센서, 계기판 |
세진기술산업 | 선박가구, 선실 인테리어 |
극동일렉콤 | 선박용 조명 기구,야간 감시 장치 등 |
삼건세기 | 선박청수공급장치 |
DSR | 정박용 피버, 와이어, 초고중량 섬유 라운드 슬링 |
유진에코씨엘 | 연마재, 아스콘, 웨이트 |
세진 | F.O Supply unit / Module unit |
코릴 | 케이블 릴 및 호스 |
□ 현지에서는 보는 중국 조선업
ㅇ 중국 선박공업협회은 영국의 클락슨리서치의 자료를 이용해 2018년 1~4월까지 선주에게 인도된 선박, 신규선박 수주, 수주잔량을 발표
- 중국은 현재 가장 많은 수주잔량을 확보하고 있어 가장 큰 조선기자재 수요처임.
- 올해는 전년에 비해 신규 선박 발주가 증가하고 있어 조선기자재에 대한 수요도 함께 증가할 것으로 보임.
- 상담회에 참가한 중국 조선소 관계자는 현재 해외에서 수입하는 조선기자재가 많으며 특히 한국 선주의 요청에 따라 한국산 비중을 점차 늘릴 계획이라고 밝힘.
세계 조선업 주요지표(2018년 1~4월)
구분 | 세계 | 중국 | 한국 | 일본 | |
선박 인도 | DWT(만) | 3117 | 1207 | 933 | 729 |
비중(%) | 100 | 38.7 | 29.9 | 25.4 | |
CGT(만) | 1186 | 403 | 343 | 289 | |
비중(%) | 100 | 34.0 | 28.9 | 24.4 | |
신규 수주 | DWT(만) | 2433 | 1015 | 1054 | 312 |
비중(%) | 100 | 41.7 | 43.3 | 12.8 | |
CGT(만) | 868 | 295 | 355 | 114 | |
비중(%) | 100 | 34.0 | 40.9 | 13.1 | |
수주 잔량 | DWT(만) | 20194 | 9150 | 5047 | 4527 |
비중(%) | 100 | 45.3 | 25.0 | 22.4 | |
CGT(만) | 762 | 2857 | 1688 | 1467 | |
비중(%) | 100 | 37.3 | 22.0 | 19.1 |
주: DWT 중량톤(Dead Weight Ton, 载重吨), CGT 표준화물선환산톤수(Compensated Gross Tonnage, 修正总吨)
자료원: 클락슨리서치(Clarkson Research Studies)
□ 주요 품목의 대중국 수출 실적
ㅇ 선박 부품, 엔진, 조명, 전기기기 등 다양한 조선기자재 기업이 참가
- 지티에이(GTA, Global Trade Atlas)에서 제공한 2018년 3월까지 중국의 대한국 수입액 및 순위에 따르면 한국은 중국의 조선기자재 수입국 중 상위를 차지고 있음.
- 특히 선박조타기(HS Code 8479.89)는 2017년 중국 전체 수입액 중 30% 비중을 차지함.
- 선박추진용 엔진, 철강 구조물 등 중국 내 수입순위 1위를 차지하는 제품도 다수 있음.
중국 선박제품 품목별 수입동향(2018년 1분기)
(단위: 백만 달러)
제품명(HS Code) | 총 수입액 | 대한국 수입액 | 중국의 대한국 수입 순위 |
선박조타기(8479.89) | 2,102 | 456 | 2위 |
전기회로의 접속용 기기(8536.69) | 287 | 23 | 3위 |
선박용 엔진 내연기관(8409.99) | 259 | 15 | 4위 |
선박추진용 엔진(8408.10) | 120 | 44 | 1위 |
선박청수공급장치(8421.21) | 96 | 7 | 5위 |
철강으로 만든 구조물(7308.90) | 72 | 25 | 1위 |
철강으로 만든 관 연결기구(7307.99) | 65 | 8 | 4위 |
연선, 로프 케이블(7312.10) | 48 | 9 | 2위 |
선박용보일러(840290) | 9 | 1 | 2위 |
자료원: 지티에이(GTA, Global Trade Atlas)
□ 현장 이야기
ㅇ 현지 조선소의 수요에 따라 조선소와 조선기자재 수출기업 간 상담 주선
- 중국 조선소는 다수의 선급 인증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을 선호했으며 중국 수출 실적이 있는 기업에 더 큰 관심을 보임.
- 조선기자재 에이전트 D사는 선박 개폐시스템, 선박 엔진부품 등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추가 상담을 준비하고 있음.
- 현지 조선소와 조선기자재 에이전트는 중국의 환경 규제 및 선박안전기준 강화에 따른 선박 안전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음.
- 실제 중국의 한 조선소는 신규 수주한 초대형 유조선(VLOC)에 한국산 조선기자재를 사용 가능성을 검토해보고 지속적으로 연락하겠다는 의향을 보임.
현장사진
|
상담회장 전경(1) |
|
한국 참가기업 단체사진 |
|
상담회 |
|
상담회 |
자료원: KOTRA 다롄 무역관 자체 촬용
□ 시사점
ㅇ 중국 현지 수요와 한국 기업의 적극적인 관심으로 이뤄진 상담회
- 비즈니스 상담 후 한국측 참가기업 대상으로 이뤄진 설문조사에서 대부분의 기업이 한자리에 모이기 힘든 중국 조선소 및 선박공장과의 상담에 크게 만족했다고 대답함.
- 중국 측 참가기업도 우수한 한국 조선기자재 기업을 만날 수 있는 유익한 상담회였다고 평가함.
ㅇ 중국 조선업계의 수요를 파악해 현지 진출전략을 세울 수 있는 기회
- 중국 조선소에 납품하기 위해서는 제품 인증자료, 제품 공급실적, 제품소개 중국어 자료를 준비해 적극적으로 조선기자재 에이전트와 조선소 산하 무역회사와 의견 조율이 필요함.
- 중국 시장진출을 준비하고 있는 한 기업은 상담회 다음날 현지 에이전트와 조선소 방문을 통해 조선소 납품을 위해 구체적으로 준비할 사항을 파악할 수 있었음.
- KOTRA 다롄 무역관은 중국 조선소의 수요를 선제적으로 파악해 수시로 한국 기업과 매칭상담을 지원할 계획임.
자료원: 중국 선박공업협회, 영국 클락슨리서치(Clarkson Research Studies), 지티에이(GTA, Global Trade Atlas), KOTRA 다롄 무역관 실사 및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