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hutterstock) |
‘낭중지추(囊中之錐)’라는 말이 있다. ‘주머니(囊) 속의 송곳(錐)’이란 말인데 ‘재능이 뛰어난 사람은 숨어 있어도 남의 눈에 드러난다’라는 의미다. 이 말은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 평원군 열전(平原君 列傳)에서 유래한다.
평원군은 중국 전국시대 조나라의 정치인으로 전국시대 말기에 활약했던 4인의 정치가, 즉 전국사군(戰國四君) 중 한 명으로 꼽히는 인물이다. 평원군은 인재를 영입하기 위하여 많은 식객을 거느리고 있었는데 그 수가 수천에 달했다고 한다.
조나라 혜문왕 때 진나라가 쳐들어와 수도인 한단(邯鄲)을 포위했다. 혜문왕은 자신의 동생이자 재상인 평원군에게 초나라에 가서 구원을 요청하라고 지시했다. 평원군은 초나라에 함께 갈 수행원으로 20명 정도가 적당하다고 보고 자신의 식객 중에서 뽑기로 했다. 19명까지는 쉽게 뽑았으나 나머지 한 명이 마땅히 떠오르지 않아 고심하고 있었다. 이때 모수(毛遂)라는 식객이 자신을 추천하였다. 평원군은 이름조차 기억나지 않는 인물이 나서기에 의아해하며 물었다.
“선생은 내 집에 온 지 얼마나 됐소?”
“삼 년 정도 됐습니다.”
"재능이 뛰어난 사람은 ‘주머니 속의 송곳(錐之處囊中)’과도 같아서 송곳 끝이 주머니를 뚫고 나오듯이 숨어 있어도 남의 눈에 드러나는 법이오. 그런데 선생은 내 집에 온 지 삼 년이나 됐다는데 내 여태 선생에 대해 칭찬하는 말 한마디 들은 적이 없소. 이는 선생의 재주가 뛰어나지 못하다는 것 아니겠소? 선생을 데려갈 수 없소이다."
“그것은 아직 제가 주머니 속에 들어있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제 저를 그 주머니에 넣어달라고 하는 것입니다. 만약 저를 진작 주머니에 넣었다면 끝이 아니라 자루까지 드러났을 것입니다.”
평원군은 모수의 언변에 감탄하여 그를 데려가기로 했다.
평원군은 초나라 왕에게, 진나라에 대항하기 위해서는 초나라를 비롯한 다른 나라들의 연합, 즉 합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그런데 초나라와의 협상은 생각보다 진척이 잘 안 되었다. 협상이 지리멸렬해지자 모수가 협상이 벌어지고 있는 단상으로 올라갔다. 초나라 왕은 “이 자는 대체 누구요?”라고 물었다. 평원군이 “제가 거느린 식객 중 한 명입니다”라고 대답하자, 초나라 왕은 “당장 내려가지 못하겠느냐? 나는 지금 네 주인과 이야기 중이다.”라며 불같이 화를 냈다.
그러나 모수는 태연하게 칼자루를 만지작거리며 “지금 왕께서는 많은 군사를 믿고 큰소리치고 계시지만 저는 그 군사들보다 더 가까이 있습니다. 왕의 목숨이 제 손에 달렸다 이 말씀입니다”라고 말했다. 순간 협상장에는 긴장이 흘렀다. 평원군 또한 모수가 무슨 행동을 하려는지 몰라 당황하였다. 모수는 침착하게 계속 말을 이어갔다.
“지금 초나라는 천하를 제패할 만한 강국입니다. 그런데 진나라의 공격에 맥없이 땅을 빼앗기고, 종묘까지 모욕당했습니다. 이는 초나라에 커다란 원한과 수치를 안긴 꼴이 아닙니까? 헌데 왕께서는 아무렇지도 않으신지요? 합종은 초나라를 위한 것이지 조나라만 위한 것이 아닙니다.”
이 말은 들은 초나라 왕은 “옳소. 선생의 말이 참으로 옳소. 우리 초나라도 합종하도록 하겠소”라고 말했다. 모수의 활약 덕분에 초나라와의 협상은 성공으로 끝났다. 평원군은 조나라와 돌아와 모수를 크게 칭찬하며 극진히 대접했다고 한다.
평원군의 말 속에 등장하는 ‘주머니 속의 송곳’은 원문에서는 ‘추지처낭중(錐之處囊中)’이었으나, 후에 낭중지추(囊中之錐)라는 사자성어로 바뀌어 사용되고 있다. 이 이야기에서 또 하나의 고사성어가 만들어진다. ‘모수자천(毛遂自薦)’, 모수가 자신을 추천하는 대목에서 유래한 말로, 자기가 자신을 추천한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요즘은 부끄럼 없이 자신을 내세우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원래 뜻은 그렇지 않다. 남들이 자신의 능력을 알아주기를 바라지만 말고, 자신의 능력을 알리려는 적극적인 자세도 필요하다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