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대 말께의 서귀포 전경
1960년대의 서귀포를 각각 다른 각도에서 조감하여 찍은 사진이다.
서귀포 최초의 관광호텔이 들어서고 이 호텔의 하얀 굴뚝이 시선을 끈다.
포구에 들어와 있는 배도 대형화 추세를 엿볼 수 있다.
1960년대의 관덕로 관덕로 거리를 다리 걷어붙인 한 사나이가 걸어오고 있다.
세워져 있는 지프 한 대, 우생당책방과 남도치과, 국제미싱사와 나포리미싱사, 이런 간판들이 보이고 제주여행사의 간판도 눈에 뛴다. 길은 아직 2차선이다.
1970년대의 제주시가 전경 지금 KAL호텔이 있는 쪽에서 내려다본 1970년대의 제주 시가지 모습이다.
왼쪽에 규모가 비슷한 주택단지가 들어서 있고 시내 요소요소에 개발의 기운이 들어차있다. 길도 과거에 비해서는 훨씬 넓게 빼어져 있다.
병문천 하류에서의 멸치잡이 여름날 병문천 하류에서 젊은이들이 그물로 밀려온 멸치떼를 잡고 있다. 재 깊숙이 까지 멸치떼가 밀려 오는 일은 과거에는 흔했었다.
그 하류에는 멱감는 아이들이 떼지어 있다.
탐라의 미인들 제1회 탐라미인 선발대회에서 영예롭게 선발된 탐라미인과 준탐라미인이다.
이때 탐라미인으로 선발된 사람은 高麗珍씨인데 그녀는 나중 아나운서로 중앙에서 활약한다.
철쭉제 날의 백록담 화창한 철쭉제 날 백록담에 운집한 인파이다.
이 많은 사람들이 백록담을 훼손시켰으니 오늘날 입산통제를 해야 할 정도로 황폐해진 것은 누구를 탓할 것도 없다. 철쭉보다는 사람꽃이 피어 있는 것 같다.
전국 대학생 적설기 등반 제주대학이 주최가 되어 제1회 전국 남녀대학생 적설기 한라산 등반대회가 열리고 있다.
출발에 앞서 관덕정 앞에서 식이 거행되고 있는 장면이다.
산지천의 복개 냇가에 모여 살던 무허가 주택들이 철거되고 산지천이 복개되기 시작할 무렵이다.
시멘트 기둥들이 막 세워지고 있는데, 이제 이걸 헐어내고 재개발하는 단계에 이르렀으니 세월이 여류한다는 말은 실감이 있다.
1960년대의 서문로 상가가 줄지어 서있는 서문로에 차와 사람들이 엉키어 있다.
이때 이미 도로 사정은 엉망이었던 모양이다. 약방과 건재사, 당구장들도 들어서 있다.
애월읍 중심지의 전기 점화식 애월리 중심가에서의 전기 점화가 되던 날이다. 오색 깃발이 날리고 아치에 전구도 매달려 있다.
"하나 둘 셋 하면 스위치를 누르십시오" , 신호를 기다리는 표정이 진지하다.
동문로의 포장 준공 동문로에 경사가 겹쳤다. 가고가 확장 포장되고 하수도시설도 이루어졌다.
이걸 축하하는 식이 열리는 모양이다. 오가는 자전거, 이 무렵의 주 서민 교통수단인 것 같다. <白鷺會>의 천막이 한결 시원스럽다.
고구마 썰어 말리기 산방산 부근의 밭에서 고구마를 기계로 썰어 말리는 작업이 한창이다.
하얗게 마르는 고구마, 이것들은 주로 주정의 원료로 쓰여졌다.
비양도에 해저수도 비양도에 수도 가설을 위한 해저수도를 매설하고 있다. 섬주민들의 작은 배들이 공사에 동원되었다.
비양도 기슭의 납작한 자붕틀, 미양도는 마치 기계충 오른 아이 머리 모습이다.
수도 통수식 쇠파이프를 통하여 수돗물이 나온다. 한 평생 물허벅을 지노라 등이 굽은 할머니가 컵에 물을 받아 마신다.
물맛과 감회가 어떨까. 좋은 세상 왔다고, 둘러서 있는 사람들의 표정이 너나 없이 밝다.
제주에서 서귀간 횡단도로 개통 5·16쿠데타 이후에 제주의 가장 큰 변화를 불러온 것은 한라산 동녘 기슭을 관통하여 첫 번째 횡단도로가 빼어진 것이라 할 것이다. 이로써 제주가 명실공히 1일생활권이 되었다.
바다를 배경으로 한 제주시가지 전경 三姓穴 서쪽편 언덕에서 내려다본 제주 시가지의 전경이다.
바다가 병풍처럼 둘려 있고 그 안에 제주시가지가 담겨 있다. 오른손편 지금의 KAL호텔 자리에 있는 건물은 제주여고 교사이다.
이 부근에 아직 시가지 조성이 안돼 있던 때이다.
도두동 포구의 물맞이 과거 제주시 도두동 포구가의 물맞이터이다.
그 당시에도 1등의 수질. 시멘트로 물줄기가 세게하고 본격적으로 물맞는 터를 만들어 놓았다.
이제 제주에서도 이런 장소를 찾기란 쉽지 않은 일이 되어 버렸다.
조천포구와 연북정 돛을 내리고 포구에 정박한 배가 마냥 한가롭다.
그너머로 멀리 연북정의 기와지붕이 보인다. 초가에 섞인 함석지붕, 동네 사람 몇이 둘러서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일출봉과 성산포 일출봉의서녘 기슭에 성산포 마을이 조성되기 시작 할 무렵이다.
공장으로 보이는 집 몇 채, 거기 굴뚝에서 솟아오르는 연기로 보아 탁주공장이나 패류가공공장이 아니었을까.
수매밑 포구에 떠 있는 배 두어 척, 이때 만해도 성산포는 매우 한적한 어촌이었다.
병문내 하류의 빨래터 병문내 하류의 빨래터에서 아낙네들이 세답이 한창이다. 하얀 옷이 아낙네들이 바닥의 검은 바위들로 하여 더욱 도드라져 보인다.
빨래감은 구덕에 담아 내왔다.
상여 행렬 만장과 명정을 앞세우고 상여가 지나갈 참이다. 남녀 조문객들, 이웃 사람들이 구름같이 몰려 서서 나가는 상여를 지켜보고 있다.
전봇대와 초가 등으로 미뤄 일제시대쯤으로 보인다.
제주측우소와 산지물 비탈 꼭대기에 측후소의 첨탑, 맞은편에 소나무 한 그루가 대조적이다.
비탈 중간쯤에 빨래를 넌 초가와 인입전주가 보이고 아래쪽에 산지냇가의 샘터가 보인다. 양손에 물통을 든 바지게꾼과 물 긷는 여인의 뒷모습,
그리고 앉아있는 댕기머리 처녀, 당시의 한 풍속도이다.
서당 훈장과 학동들 일제시대가 되면서 그들은 한때 개량서당을 운영한적이 있었다.
갓 쓰고 두루마기 입은 훈장에 학동들은 이미 거의가 단발을 했으며 입성도 양복을 입은 아이가 있다. 신발은 짚신과 고무신, 나막신까지 한데 섞여 있다.
물 위에 떠있는 해녀들 등대기를 드러낸 채 머리에 수건을 동이고 족새눈을 쓴 해녀들이 바다로 나가고 있다.
빗창을 든 해녀도 있어 다소 조작된 사진임을 알 수 있다. 넘실거리는 물이랑이 효과적이다.
결혼 행차 예복을 갖추어 입고 백마를 탄 신랑이 앞장서고 새각시의 가마가 뒤따랐다.
그 뒤로 말 탄 상객들이 뒤따르는 이 결혼 행차는 막 동네로 들어서고 있는데 정황을 미뤄 보아 신랑이 색시 집에 가서 색시를 데리고 신랑 집으로 돌아오는 참인 것 같다.
이런 결혼 풍습은 제주만의 독특한 것이었다.
관덕로의 변해가는 모습 일제식민지 당시 변해가는 관덕로 부근의 모습이다.
고층집이 생기고, 간판과 전봇대들이 늘고, 함석으로 된 연통들도 보이기 시작했다. 행인들은 남자와 어린이들로부터 검은색 옷을 입기 시작하는 것을 엿볼 수 있다.
관음사 마치 잘 사는 부자의 살림집같은 이 집은 그러나<관음사>란 제목이 붙어 있다.
낮은 지붕, 바깥의 유리문, 벽은 백회로 단장을 하였다. 뒷뜰의 나무들이 아직 애나무들인 점을 보아 당시 이 부근의 분위기를 읽을 수 있다.
서귀포 시가지와 문섬 일제 식민지시대인 1928년 당시의 서귀포 시가지 전경이다. 집들이 건성드믓 있고 새섬 너머에 문섬이 스름하게 누워 있다.
집들은 크고 함석지붕들이어서 신흥 시가지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오른손 편에 그 유명했던<벼락맞은 소낭>이 보인다.
제주측우소
언덕에서 조감한 제주읍 전경 지금의 제주측후소 쪽 언덕에서 내려다 본 일제시 제주읍의 전경이다. 자세히 보면 큰길 가의 집들부터 기와나 함석으로 지붕이 바뀌고 있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길가에 드문드문 전봇대, 멀리 끝부분에 해안과 수평선이 보인다.
사라봉 쪽에서 찍은 제주읍의 전경 정리되지 않은 산지내 건너 제주읍의 시가지가 납작하게 엎드려 있다.
그 때는 관덕정이 단연 두드러졌던 건물로 뚜렷한 지붕이 중심부에 보인다. 안온한 해촌의 정경인데 관덕정에서 동회하던 신작로가 그래도 뚜렷하게 뻗어 있다.
제주항 건설 이전의 산지포 주변 제주항 건설 이전의 산지포구 주변의 모습이다.
돌로 축장을 한 포구 안에 작은 배가 들어와 있고, 사람들이 작업을 한다. 멀리 탑동의 해안이 뻗어 있고 주변은 정리가 안되어 산만하다.
아득히 제주읍내의 모습도 보인다.
제주읍 오일장의 그릇시장 시장에도 개화의 물결이 많이 들어와 있는 때임을 알 수 있다.
두루마기나 오바 위에 도리우찌 모자가 갓 쓴 사람들과 어울려 있다. 그릇시장에 나온 물건도 사기그릇들에 구리주전자들도 보인다.
칠성로 입구쪽에서 서쪽을 향해 찍은 사진이다.
관덕정 마당의 제주읍 오일장 관덕정 쪽에서 동쪽을 향하여 찍은 것이다. 정면에 잠방이 위에 도리우찌를 쓴 사내가 사진 찍는 것을 의식한 듯 웃고 있다.
모인 사람들의 숫자로 보아 장의 규모를 짐작할 수 있다. 광장의 양쪽에 전봇대가 서 있는 것으로 보아 이미 전기 가설이 된 후임을 알 수 있다.
1929년의 제주도청 이제부터 사진의 일부는 1929년 조선총독부 발행의<생활상태조사> 보고서에 실린 것들이다.
이 무렵에 찍은<제주도청>. 정문 입구 정면과 청사 모습이 보인다. 정문과 벽에, 그리고 인도의 양쪽에 백회를 사용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양쪽에 거창하게 광고판이 서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