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7 소심한 서울의 택시운전사 덕배역을 맡은 최민식, 덕배의 서울 살이를 위트와 입담으로 풀어낸 장진.
둘의 환상적인 만남으로 탄생한 택시드리벌. 연일 매진행렬을 기록.
2000 대중에게 친숙한 연기파배우 권해효가 덕배역으로 출현. 97년에 버금가는 흥행성공.
2004 연극열전 아홉번째 작품으로 선정!
흥행성과 작품성 모두를 인정받은 “택시드리벌”이 “연극열전”의 아홉 번째 작품으로 흥행 몰이에 나선다.
주인공 장덕배의 비극적인 사랑을 중심으로 다소 무겁게 진행되는 이야기와
주인공의 택시에 타고 내리는 손님들을 통해 풍자되는 “서울”이라는 곳의 이야기를 장진 특유의 희화적 코드로 풀어낸다.
“택시”라는 공간을 통해 타락과 순수, 유혹과 갈등의 소용돌이 속에서
현대인의 조급하고 이기적인 심리를 단적으로 표현해 내는 공간으로 활용하며,
작품 전체적으로는 각박한 현실을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조심스레 가슴속 깊이 묻어두었던, 소중하고도 아름다운 추억을 영원히 잊지 말 것을 경고한다.
장르나 형식이 중요하지 않은 남자 - 장진
그에게는 여러 가지 재주가 있다.
희곡 쓰기, 연출하기, 시나리오 쓰기, 영화 감독하기, 영화 제작하기, MC, 리포터하기, 배우하기 등 항상 무언가를 준비하고 늘 분주하게 움직이는 그가 2000년 “택시드리벌” 이후 4년 만에 다시 이 작품을 선보인다. ‘장진’은 1997년 소시민의 애환을 담은 “택시드리벌”로 일약 연극계의 샛별로 떠오른 장르 불문의 전방위 멀티플레이어다. 1995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희곡 부문에 '천호동 구사거리'가 당선된 뒤, '허탕', '택시드리벌', ‘웰컴투 동막골’ 등을 통해 기획력, 완성도, 작품성과 흥행성을 모두 갖춘 작품들을 잇달아 무대에 올렸다. 자기만의 뚜렷한 작품세계를 구축하여 두터운 매니아 층을 형성하고 있으며 주류의 예술인이 아닌 자유로운 비주류의 예술가로서 살고 싶어 하는 것을 작품으로 쏟아내고 있다.
카리스마 넘치는 개성. 연기파 배우 대거 출연- 정재영,강성진,장영남,김일웅,이민정 외
매 작품마다 강한 눈빛에서 뿜어 나오는 카리스마로 관객을 압도해 온 배우.
연극과 영화를 오가며 탄탄한 연기력을 인정 받아온 배우 정재영!!
영화 <실미도>의 한상필역, <킬라들의 수다>의 재영역, <피도 눈물도 없이>의 독불이역 등 그 동안 영화를 통해서 선 굵은 연기와 강한 이미지를 선보이던 그가 영화<아는 여자>를 통해서는 잔뜩 들어가 있던 눈과 어깨의 힘을 다 빼고 대단한 변신을 시도했다.
이와 함께 2004년 연극열전에서 올려지는 “택시드리벌”에서도 기존 작품들에서 보여주었던 이미지와는 정반대인 사소한 것에도 항상 고민을 하는 소시민 “장덕배” 역을 맡아 또 다른 연기 변신을 시도한다.
정재영과 함께 “이 보다 더 악역을 소화해 낼 수 있는 배우는 없다”
개성파 연기의 선두주자로 많은 영화에서 독특한 캐릭터를 보여준 강성진!!
또한 소시민 장덕배 역할을 소화하기에 여념이 없다.
이 두 배우가 펼쳐놓는 세상이야기를 골라 보는 재미도 있을 것이다.
히든카드를 살짝 공개합니다.
언제, 어떻게, 어디서, 출연할지 아무도 모르는
까메오를 잡아라!
총알택시처럼 나타났다 사라지는 까메오 출연을 기대하세요!
문화창작집단 수다
연극, 영화감독 장진을 주축으로 하여 문화계 전반의 젊은 창작자들이 모여 만든 "젊은 문화 벤처! 문화 창작 집단 수다."
수다는 1999년 영화, 연극, 매니지먼트, PPL 등에서 활동하고 있는 젊은 크리에이터들이 신나게 일하고 성과를 공정하게 분배받는 환경을 만들어 문화소비자들에게 양질의 문화소비재를 공급하고자 만들어 졌다.
"허탕", "아름다운 사인", "박수칠 때 떠나라", 등의 작품에서 '고객 만족도'와 '흥행성'을 인정받은 수다의 색깔 있는 또 하나의 시도 "진술".
수다는 멀티프러덕션으로써 연대화된 제작시스템을 지향, 의욕적인 작품발굴과 지원으로 잠시 주춤했던 공연계에 역동적인 활력을 불어넣는다.
작품내용
개인택시 기사인 장덕배는 이 거대도시가 만들어낸 나약하고 소심한 전형적인 소시민이다.
어느 날 누군지 모를 여자가 장덕배의 택시에 가방을 두고 내리고 장덕배는 그 가방의 주인을 상상하며 그 환영을 사랑하게 된다.
여기서 그가 꿈꾸는 사랑의 대상은 그의 과거의 잔재로 있는 첫사랑과 동일하며 그사랑의 방식은 꿈이다.
이건 이세상-혹은 도시-에 대한 작은 변혁이며 장덕배 자신이 시행한 아름다운 혁명이다.
사랑이란 걸 할 수 없을 걸로 믿었던 한 남자의 새로운 연애, 그것은 반역이다. 꿈을 꿀 수 없는 세상, 그리하여 꿈을 꾸는 것이 대단한 모험이 되고 혁명이 되고 결국 그 꿈을 꾼 이유로 처형당하고 마는 이 찝찝한 세상의 낭만...
장덕배가 삶을 지탱하는 유일한 보유공간인 택시는 현대 사회에서 짜증과 염세의 공간으로 혹은 억압된 도시구속의 탈출구로 대변된다.
그 안에선 모든 이들이 거리낌없이 자신들의 객기와 체제로의 돌발적 적개심을 표출시킨다. 정치를 욕하고 정체를 한탄하며 자신의 동료, 친구, 애인을 들먹이고 개인적 충돌을 설욕하기도, 회개하기도 한다. 그리고 그 모든 사람들이 장덕배란 한 인간을 생성시켰으며 그것은 곧 이 도시의 산물이기도 하다.
여기서 택시란 공간은 공해와 무지로서, 이기적인 혼돈의 천국, 그 가운데 머무르는 낙오자 혹은 하부구조들의 안식처로, 연극은
이 공간을 통해 우리의 세상을 그리려 하고 있다. 그리하여 하룻밤 동안 일어나는 한 소시민-택시드라이버-의 몽환과 그의 생계적 공간을 통해 우리의 세상을 들쑤시고 분해하여 고통이 있다면 치유해보고 즐거움이 있다면 확인해 보려는 작은 은유의 이야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