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드민턴 스트록의 종류는 너무나도 많습니다
헤어핀, 클리어, 드리븐 클리어, 드라이브, 스매싱등등
그리고 너무나도 스피디하게 움직이기때문에
우리 뇌가 그 기술이 걸려 날아오는 콕을, 보고 움직이는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할수있습니다.
그러기때문에 콕의 방향과 그때그때 상황에 맞춰진 체계화된 공식이 있다고 보시면 될겁니다.
그중에서도 초보들이 가장 어려워 하는게 자리죠, 두명이서 하는 복식이다 보니
그 상황에 맞는 각자의 자리가 있는데, 초보들은 그자리를 잘 못찾죠?
물론 몰라서 못찾는게 아니라, 조금 민턴을 접하다보면 너무 어렵다는 생각도들고
워낙에 스피디하게 움직이다보니, 그 스피드로 인해 이론과 현실의 갭을 느낀다고해야하나,
하여튼 대부분 자리를 잘 못찾더라고요, 저도 그랬던거 같고
근데 대부분의 고수들은 장황하게 설명을 하게되고 초보입장에서는 듣다보면 들었으니
알은것도 같은데, 막상 게임을 하면 또 헷갈리기 일수지요
이와같이 배드민턴 게임에서 기술적으로 가장 기본이 되는것은
그때 그때 상항에 맞는 자기 포지션을 잡는거라 생각합니다.
이 자리라는게 되어야만이 게임을 할수있죠, 스트록 기술, 또는 스텝이 아무리 좋아도,
상항에 맞는 포지션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그 스트록에대한 기술적 완성도는 아무런 의미가 없죠,
구슬이 서말이라도 궤어야 보배라고 했던가요?
포지션 그거 생각외로 간단합니다.
기본은 두명이서 좌우로 서느냐, 앞뒤로 서느냐, 딱 두가지죠
근데 이기 초보때는 안되거던요.
내가 네트근처에 콕을 놓으면 네트를 지키고(상대방도 네트에 콕을 놓을수 있기때문에)
우리가 상대편에게 콕을 높이 뛰워주면(상대방에게 스매시 하라고 오리준거나 마찬가지)
파트너와 좌우로 흩어져서 수비 라인을 형성하라(이건쉽죠)
상대편이 우리에게 콕을 높이 뛰워주면 당연 공격을 해야겠죠?
근데 문제는 나한테 콕이오면 스매싱이던 뭐던 공격을 하면 되는데,
우리 파트너에게 콕이오면 어떻게 하느냐죠?
이게 간단하것 같아도 실전에 들어가면 초보들은 많이 헝클어지고 그러는것 같아요.
이것도 간단한게 우리 진영에 콕이 높이 떠올랐다.
근데 내콕이 아니면 무조건 앞으로 뛰가서 자세낮추고 라켓들고 기다리면 된다는겁니다.
상대편이 콕을 높이 띄우는건 공격을 하라는 말과 같거던요, 그러면 파트너가 공격을 하게 될거고,
공격을했을때, 상대편에서 리시브 할수있는 경우의 수는 두가지라고 보면.
하나는, 우리코트로 다시함 쳐봐라하면서 올려주는기고,
또 하나는, 우리 파트너의 공격에 기술을 걸어 콕을 살며시 네트에 걸칠까 말까할정도로
놓는거거던요,
첫번째 함쳐보라고 주면 뒤에 파트너가 다시 스매싱 등등으로
공격하면 되고(이때는 내는 계속 앞에서 라켓들고 대기 하고있어야겠죠)
두번째 네트 플레이를 한다면 앞에 서있는 내가 나서서
네트킬을 한다거나, 네트앞에 살짝 놓는다거나
이번에는 내가, 누뜰이 함쳐봐라하면서 띄워준다거나 이정도죠
주) 배드민턴 실력이 C급이상만 되면 왠만한 스매싱은 다 받아낼수가 있죠
수비좋은 고수분들 같은경우에는, 네트 앞에서 아무리 때려도 그 빠른공을 다 잡아내니까요,
그러면 점수를 어떻게 내느냐죠?
물론 다양한 방법으로 상대방을 흔들어서, 또는 상대방 리듬을 빼앗아 점수를 낼수도 있지만
가장 기본적이고 간단한 방법은 뒤에있는 파트너가 스매싱하고, 상대방이 스매시리턴할때
앞에있는 또다른 파트너가, 젭싸게 낚아먹는거죠, 네트킬!
그러니까 전위 플레이어가 그만큼 중요하다고 볼수있죠
물론 마지막에 누뜰이 함쳐보라고 상대편에게 콕을 띄워 줫다면
당연히 수비위치를 형성해야 되겠죠, 그러니까 네트앞에서 상대방에게 콕을 높이 올리준 내가
뒤로 빠지면서 자기 파터너와 좌우로 갈라 서야된다는거죠.
그리고 코트의 우측에선 파트너는 자기코트의 삼분의 일은
좌측에선 파트너에게 양보해줘야 한다는거죠(대부분 오른쪽잡이기때문)
말도 길어지고 설명을 더 어렵게 한거 같은데
초보때까지는,
내공 아이모 앞으로 뛰가서 자세낮추는거, 거기 가장 기본이지 쉽습니다.
글고 저도 아직 미숙하지만 전위에서 자세 낮추는거 거거 진짜 안되는것 같아요,
자세를 낮추느냐 마느냐에따라서 게임양상이 좌지우지 될수있는건데도 말이에요
복식게임에서는 항상 상대방을 배려해야 한다는 말을 자주하는데
그 이야기도 한번쯤 되새겨봐야 될것같아요
배드민턴 복식에서 파트너를 배려 하라는 말은,
내가 존나 뛰어다니고, 콕에 기술을 걸어서 상대방한테
좋은 공을 주지 말아야된다는 말의 함축적인 포현이라고 저는 보고있습니다.
너무 밋밋한 콕을 상대편에게 날리면 옆에 있는 파트너가 상대방의 스매시나 드라이브등에
속절없이 당할수 있으니, 상대편이 제대로된 기술을 걸수 없게끔 더러븐 공을 줘라 이말이죠,
고수들 하고 겜하면 정말 편하게 공을 칠수있는게
고수들은 상대방의 아픈곳, 그리고 상대방이
자기 파트너에게 참볼을 올리줄수밖에 없는 거런 스트록을 한다는거죠,
저도 처음에 여자 고수분하고 겜학고 제가 엄청 잘쳐서 이긴줄 알았는데
나중 곰곰히 생각해보니, 그 여자 고수분이 겜을 만들어준거구나 하고 뒤늦게
깨달은적이 있었습니다.
한마디로 내 개인기가 딸리면 상대방이 점수를 내지 못하게 또는
내 파트너가 쉽게 공을 칠수있도록 도와주는게 아니라,
상대방이 딱 치기 좋게 콕을 상납 하게 된다는거죠
그 상납한 콕은 상대방에게 점수를 주기위한 서비스 밖에 안된다는거죠
게임에서 높은 승률을 올리고, 여러 사람들이 선호하는 파트너가 되려면
인간사 다그러겠지만, 서로서로를 인간적으로 배려하고, 정을 나누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저사람하고 겜하면 최소한 속절없이 무너지지는 않겠지 하는 배드민턴에대한
기술적 믿음을 주는것도 중요한것 같습니다.
배드민턴 이론/전술 배드민턴 국대동영상
http://cafe.daum.net/liykore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