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드로 효과(Diderot Effect )"
18세기 프랑스 철학자인 ‘디드로'는 어느 날 친구에게 고급 실내복을 선물을 받고
매우 기뻐했다.하지만, 그가 이 고급실내복을 입고 서재를 돌아다니는데 갑자기
자기 주변의 모든 것이 촌스럽게 느껴지는 것이 아닌가?
낡아 빠진 가구는 스타일도 제 각각이고, 엉성한 바느질 땀이 고스란히 보이는
양탄자 하며 도무지 어울리는 것이 하나도 없었다.그래서 그는 새 실내복에 맞게
낡은 것들을 하나씩 새것으로 바꿨다.
그러나 여전히 그의 마음은 편치 않았다. 실내복 하나 때문에 심리적 균형이 깨졌
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다.그는 이런 느낌을 『나의 옛 실내복과 헤어진 것에
대한 유감』이라는 ‘에세이’ 속에 담아냈다.
200년 후, 미국 하버드 대학의 경제학자인 ‘줄리엣 쇼 (Juliet Schor)’는 이 이야기
에 착안해 그의 저서 『과소비 미국』에서 ‘디드로 효과’의 개념을 제기했다.
디드로 효과란, 어떤 물건을 소유하면 이에 맞춰 관련된 다른 물건들까지 다 갖추
려는 경향을 말한다.
일상생활 속에서도 ‘디드로 효과’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급 손목시
계를 선물 받았다고 하자.그러면 이것을 차고 다니기 위해 그에 어울리는 양복,
셔츠, 허리띠, 신발, 넥타이, 가죽 지갑까지 모두 비싼 제품으로 바꾼다.
나중엔 안경까지 더 고급스런 제품으로 바꾸고, 향수를 뿌리는가 하면
헤어스타일도 바꾸고, 식사도 더 좋은 곳에서 하고 이렇게 소비가 점점 늘어나는
것이다.
보통 새 집으로 이사 갈 때 그 집에 어울리게 인테리어 공사를 새로 한다.
예컨대 바닥에는 대리석이나 원목 마루를 깔고 마호가니 등으로 만든 가구를 들
여 놓는다.이런 집에 사는데 옷을 아무렇게나 입고 다닐 수는 없는 법이다.
그래서 내친 김에 ‘입을만한’ 옷과 구두와 양말까지 구입한다.이런 식으로 ‘디드로’
처럼 다 바꿔가다 보면 어느 순간 집주인도 그 집에‘어울리지’ 않다고 생각되어
결국 불화나 이혼하게 될 수도 있다.
그런데 새것이라 하여 모두 촌스럽지 않고 세련되거나, 헌 것이라 하여 모두 불
편하거나 편리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자신이 얼마나 소중하게 간직하면서 활용
하느냐에 따라 가치가 달라진다.특히 사람은 더 그렇다. 오래 사귄 사람이 더 편
하고 더 많은 것을 공유하고 더 많이 위로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혹시 ‘디드로 효과’에 지배당하고 있는 삶을 살고 있지는 않으십니까?
새것에 너무 매달리지 않고 지금 가진 것을 소중히 다루는 분이시라면,분명 알
뜰하면서도 풍성한 삶을 엮어가고 있는 분이십니다.(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