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ㅊ 창계서원 안내문

# 창계서원 안내문을 살펴보는 서봉......곳곳을 촬영하기 위하여 담넘어 보고 있는 민교장.

# 영성각

# 영성각 안내문

====창계서원===
창계서원(滄溪書院)
위치 :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 가운리
창계서원은 나주임씨의 집성촌중 하나인 다시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문중인물인 임영(林泳)을 배향하고 있다.
▷ 임영(林泳: 1649-1696)
이곳에 배향된 임영(林泳)은 숙종때 문신, 본관은 나주, 호는 창계(滄溪)이며 사가독서 하고 이조정랑.검상.부제학.대사헌 등을 거쳐 참판을 역임했다. 숙종 20년 대사간, 개성부유수, 부제학, 대사헌, 전라도관찰사를 역임했다. 송시열(宋時烈) ·송준길(宋浚吉)에게도 사사한 기호학파(畿湖學派) 학자였으나 이기론(理氣論)에 있어서는 이이(李珥)의 학설을 따르지 않고 다소 다른 견해를 제시하여 이황(李滉)과 이이의 절충적인 입장을 취했다. 문집으로는 《창계집(滄溪集)》이 있으며 이곳 나주 창계서원(滄溪書院)에 배향되었다.
▷ 창계집(滄溪集)
임영(林泳)의 시문집. 1708년(숙종34) 동생 임정(林淨)이 편집, 간행하였다. 총 27권 14책으로 되어 있다. 목판본으로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 建順門

# 전남 나주에 여기 저기에 흩어져 있는 문화재....청계정

# 청계정 문화재를 돌아보고 나오면서 고개를 개우뚱하고 있는 서봉선장.? 왜 우리의 문화재를 이렇게 방치하고 있는가? 참으로 안타까운 마음 금할길 없도다.....

첫댓글 큰 은행 나무군요.사당을 짓고 그 옆에 은행나무를 심었는지...사당과 은행나무가 같이 오랜세월을 같이 왔네요...여행을 되돌아 보는 사진 고맙습니다..
내가 젤 좋아하는 은행나무.... 저기 보이는 저 사내의 모습이 서봉과 꼭 닮았군요... 왜 은행나무만 보면 가슴이 설레는지... 전생에 은행나무였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