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갓이 비록 낡았더라도
그것을 바르게 정제하려 해야 하고
옷이 비록 거칠더라도
그것을 모두 갖추려 해야 한다.”
이는 선비의 윤리와 행실을 밝힌 《사소절(士小節)》을 쓴
조선후기 실학자 이덕무(李德懋, 1741~1793)가 한 말입니다.
이를 달리 말한다면
바로 격식을 갖추어 두루마기를 입고 갓을 쓰거나
사모관대를 차려입어 옷매무시를 바르게 하라는
“의관정제(衣冠整齊)”가 되겠지요.
실제로 조선 사람들은
의관정제를 모든 일의 근본으로 보았고
그것이 곧 한 사람의 인품을 드러내는 바탕이라 여겼습니다.
그래서
그때 사람들은
갓과 함께 갓을 보관하는 ‘갓집’을 정말 소중하게 생각했지요.
갓집의 형태는 보통 두 가지인데
하나는 겉모습이 갓과 비슷한 모양으로 만든 것이고,
다른 하나는 원추형으로 만들었습니다.
이 사진에 보이는 갓집은 덮개가 갓과 비슷하게 만들었는데,
밑바닥은 동그란 모양과 네모, 팔각, 12각형도 있지요.
▲ 선비의 윤리와 행실을 밝힌 이덕무의《사소절(士小節)》, 갓집(오른쪽)
1866년 한국에서 순교한 프랑스인 드브뤼 신부의 글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
"조선 사람 방에 들어가면 윗자리와 아랫자리가 있는데
처음에는 이것을 구분할 수 없다.
그런데 그것을 구분할 수 있는 비결은
갓을 넣어둔 갓집이 걸린 쪽을 윗자리라고 생각하면 큰 실수가 없다.
조선 사람은 자기가 가진 어떤 것보다도
모자를 가장 소중히 여기기 때문에
항상 윗자리의 가장 높은 곳에 갓집을 매어 두게 마련이다."
바로 의관정제를 선비의 근본으로 삼았던 풍속을 말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