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센서 시장 동향 | |||||||||||||||||||||||||||||||||||||||||||||||||||||||||||||||||||||||||||||||||||||||||||||||||||||||||||||||||||||||||||||||
게시일 | 2018-03-29 | 작성자 | 김우정 | ||||||||||||||||||||||||||||||||||||||||||||||||||||||||||||||||||||||||||||||||||||||||||||||||||||||||||||||||||||||||||||
---|---|---|---|---|---|---|---|---|---|---|---|---|---|---|---|---|---|---|---|---|---|---|---|---|---|---|---|---|---|---|---|---|---|---|---|---|---|---|---|---|---|---|---|---|---|---|---|---|---|---|---|---|---|---|---|---|---|---|---|---|---|---|---|---|---|---|---|---|---|---|---|---|---|---|---|---|---|---|---|---|---|---|---|---|---|---|---|---|---|---|---|---|---|---|---|---|---|---|---|---|---|---|---|---|---|---|---|---|---|---|---|---|---|---|---|---|---|---|---|---|---|---|---|---|---|---|---|
국가 | 중국 | ||||||||||||||||||||||||||||||||||||||||||||||||||||||||||||||||||||||||||||||||||||||||||||||||||||||||||||||||||||||||||||||
무역관 | 광저우무역관 | ||||||||||||||||||||||||||||||||||||||||||||||||||||||||||||||||||||||||||||||||||||||||||||||||||||||||||||||||||||||||||||||
HSCODE | 903190 | ||||||||||||||||||||||||||||||||||||||||||||||||||||||||||||||||||||||||||||||||||||||||||||||||||||||||||||||||||||||||||||||
- 4차 산업혁명 핵심 부품 중 하나로 시장 잠재력 커 – - 수입 센서 비중 및 선호도 높아 –
□ 상품명 및 HS 코드
ㅇ 상품명 : 센서(传感器) ㅇ HS코드 : 9031.90
관세율 및 증치세율
자료원: TradeNAVI
□ 선정사유
ㅇ 센서 시장은 잠재력이 매우 큰 시장임. - 일본 경제 전문지 닛케이 베리타스는 향후 10년 내 전세계 센서가 1조 개까지 보급되는 트릴리온(Trillion) 센서 시대가 올 것으로 전망했으며, 시장조사기관 BBC 리서치는 센서 시장 규모를 2021년 220조 원으로 전망함. - 자율주행 자동차, 안전산업, 생활소비재 등으로 센서 사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으며 스마트폰은 약 20개 이상의 센서가 들어감.
ㅇ 중국 센서시장은 수입 제품의 비중이 큼. - 중국 총 센서 수입액은 2017년 14억 1867만 달러로 중국 첨단 센서 시장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중국 첨단 센서 시장은 독일, 일본, 미국 등 첨단기술을 보유한 해외 기업들이 차지한 상황임. - 중국은 센서를 활용한 응용 제품 및 완성품 시장 점유율은 높지만 센서 자급률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 중국 국산 센서는 품질 미흡, 정밀도 부족의 이유로 외국산에 비해 구매율이 매우 낮음. - 한국 센서는 가격 대비 효율이 우수해 최근 구입량이 늘어나는 추세임.
□ 시장규모 및 동향
ㅇ 센서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부품 중 하나임. - 최근 중국 센서 시장은 계속 성장세가 유지되며 연평균 성장속도는 20%를 넘어섬. 2017년 시장 규모는 1300억 위안에 달함. - 향후 5년간 중국 센서 총 생산량은 1조 개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며, 2021년에는 시장규모가 5937억 위안으로 확대될 전망임.
ㅇ 한중시스템 IC협력연구원에 따르면 중국 정부 차원에서 센서 산업을 반도체 산업과 동일한 산업 수준으로 인식하고 법인세 감면, 외자 협력 환경 조성, 국가펀드 조성 등 막대한 투자 지원이 이뤄진다고 함. - 최근 중국은 응용 시장의 수요가 확대됨에 따라 집중적인 연구개발로 센서 자급률을 높이기 위한 지원을 강화하는 추세임.
2009~2017년 중국 센서 시장 규모 단위 : 억 위안, % 자료원: 前瞻产业研究院
ㅇ 센서 종류별로는 유량센서, 압력센서, 온도센서가 각각 21%, 19%, 14%로 가장 많았으며 응용 분야별로는 공업, 자동차 전지, 통신 전지, 소비 전지 등이 있음. 중국 산업과 자동차 전지 분야의 센서가 약 42%로 가장 많지만 전자 통신 전지 응용시장의 발전 속도가 가장 빠른 편임.
중국 센서 제품 및 응용 구조 자료원: 前瞻产业研究院
ㅇ 중국 센서 기업들은 해외기업을 주요 산업 발달 지역별로 밀집해 소재하는 특징을 보이며 창장삼각주, 주장삼각주, 동북지역, 베이징∙톈진 지역, 중부지역 등에 중심지역을 형성함.
중국 센서 기업 분포 현황
자료원: 前瞻产业研究院
□ 주요 경쟁 기업
ㅇ 중국 첨단센서 시장은 OMRON(일본) 제품의 비중의 비중이 크며 대부분 외국 기업이 시장을 차지함. 한국 대표 기업으로는 오토닉스가 있음.
중국 시장의 주요 외국 기업
자료원: 각사 홈페이지 및 공식계정 등 공개자료
□ 수입동향 및 필요 인증
ㅇ HS코드 9031.90 기준 2017년 수입규모는 14억 1867만 달러로 전년 대비 0.9% 증가함. 해당 품목의 수입은 최근 몇 년간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임.
HS코드 9031.90 연도별 수입동향
자료원: KITA
ㅇ 국가별로는 2017년 일본에서의 수입이 2억 5470만 달러로 가장 많았으며 미국, 독일, 한국, 영국 등 국가 제품의 수입 점유율이 비교적 높음. - 한국에서의 수입은 1억 5394만 달러로 전년 대비 43.2% 증가함.
HS코드 9031.90 국가별 수입동향 단위: 천 달러, %
자료원: KITA
ㅇ 센서제품 수입을 위해서는 CPA 인증이 필요함.
□ 시사점
ㅇ 스마트홈, 웨어러블, 무인자동차 등 다양한 IoT 기기들이 끊임없이 출시됨에 따라 센서 수요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전망임. - 센서가 하나의 기능을 하느 것이 많지만 앞으로는 멀티 센서, 통합형 센서가 여러 기능을 동시에 함으로써 혁신을 촉발시킬 것으로 기대됨.
ㅇ 센서 시장은 응용분야와의 연결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현지화를 통한 시장 진입도 고려가 필요함. - 중국 내 시장 점유율이 높은 주요 기업들은 대부분 현지 생산 등 현지화 전략으로 시장을 유지해가고 있음. 특히 스마트 센서는 기술 주도형에서 응용 주도형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현지의 응용 분야 기업과의 협력이 필수적임.
ㅇ 일상생활 외 극한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센서의 수요도 증가할 건망임. - 고온, 고압, 다습한 환경에서는 센서로 취득한 데이터의 품질이 열악해 활용이 어려웠으나 향후 스마트 공장 전환 등의 영향으로 센서 수요가 급증할 전망임. - 이런 센서는 아직 시장을 주도하는 기업이 없는 상황이며 기술개발 및 투자가 필요함.
자료원: 中国新闻网, KITA, 中国国家统计局, 中国自由贸易区服务网, 中国家庭网, 苏宁易购, 前瞻产业研究院, 中投顾问, 仪器仪表网, 千家网, LGERI리포트, 디지에코보고서, 포스코경영연구원, 산업일보, SICK공식계정, 오토닉스 홈페이지, TradeNAVI, 百度, KOTRA 광저우무역관 자체 자료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