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댕댕이덩굴(방기)효능과 주의사항
댕댕이덩굴은 댕댕이덩굴과에 속하는 낙엽 덩굴식물로 우리나라 전역에 널리 분포하며, 양지바른 숲속에 많이 자생한다.
댕댕이 덩굴은 이른봄에 갓 자라나는 연한 순을 나물로 무쳐서 먹고, 그 뿌리를 한약재인 방기(木防己)로 사용한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댕댕이덩굴은 목방기 (한약재로 사용하지 않는다)로 부르는데, 학명은 Cocc ulus trilobus DC.이고, 한약재로 사용하는 분방기(紛防己)는 학명이 Stephania tetrandra S. 이며, 광방기(廣防己 Aristolochia fangchi W.) 는 사용금지 약물이다.
♡댕댕이덩굴의 특성
댕댕이덩굴은 덩굴로 자라는데, 풀처럼 보이는 나무로 길이가 3m에 이르며 들판이나 숲의 가장 자리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줄기는 가늘고 약간의 가지를 치며 잔털이 생겨나 있다.
잎은 계란모양이거나 계란모양에 가까운 둥근형태이며, 잎의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길이가 5~10 cm, 너비가 3~8㎝ 정도 된다.
4월에서 5월에 걸쳐 노란빛을 띤 흰빛의 꽃이 지름 3mm 안팎으로 피고, 열매는 둥글고 검은색으로 익는데, 흰 가루가 나온다.
♡댕댕이덩굴의 성분
분방기 뿌리에는1.2%의 알칼로이드가 들어있는데tetrandrine,fangchinoline, menisine, men isidine, cyclanoline등 이다.
분방기의알칼로이는 다른 이름으로도 불리는데 tetrandrine은 hanfangchin A 또는 fangchin in이라 부르고, fangchinoline은 hanfangchin B로, 페놀성 성분은 hanfangchin C로 부른다.
목방기 뿌리에는 trilobine, isotrilobine, magn oflorine, trilobamine, coclobine, menisarin e 등의 여러 가지 알칼로이드가 들어 있다.
♡댕댕이덩굴의 약리작용과 독성
1.분방기의 약리작용 ; hanfangchin A와 B는 모두 진통작용과소염작용이 있고, hanfangchin A는 현저한 혈압강하작용이 있다. hanfangchin A를 흰쥐를 대상으로 실험했으 때 반수치사량 L D50은 950㎎/kg이었다.
2.목방기의 약리작용 ; trilobine은 열이 나는 토 끼에 대해 해열작용이 있고, mufangchin A를 생쥐에게 정맥 주사했을때의 반수치사량LD50은 76㎎/kg이며, mufangchin B의 독성은 매우 낮 은편이다.
♡댕댕이덩굴의 효능
방기는 이뇨작용을 한다.
그래서 손발의 경련이 나 부종, 전신부종, 소변곤란, 피부의 가려움, 비만등에 사용한다.
♡광방기의 부작용 사례
벨기에에서는 1990년부터 1992년까지 아리스 토로크산 함량이 높은 광방기를 원료로 사용된 체중조절약을 복용했던 100여명의 여성환자들에게서 급성 진행성 신장 간질섬유화를 보이는 신증이 발생했고, 2년이 지난 1994년에는 이들 환 자 가운데서 방광암 또는 요도상피암이 상당수 발견되었다.
♡댕댕이덩굴 복용시 주의사항
댕댕이덩굴은 약용으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다만 댕댕이덩굴의 어린 잎을 나물로 먹을 때는 쓴맛을 빼야 하므로 데친 뒤 찬물에 담가서 잘 우려내고 조금만 먹는 것이 좋다.

첫댓글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좋은 시간 보내세요